목차
1. 서론
2. 잡가의 담당층과 특성
3. 잡가에 나타난 유흥성
4. 현대 대중 가요에 나타난 유흥성
5. 결론
2. 잡가의 담당층과 특성
3. 잡가에 나타난 유흥성
4. 현대 대중 가요에 나타난 유흥성
5. 결론
본문내용
하며 어느새 난 또 너에게 전화를 걸어
할말도 없는데 이 애기 저 애기 몇 시간씩 또 너와 애길 나누지
햇살이 창가에 머무는 아침엔 눈뜨면 제일먼저 널 생각하고
오늘은 널 만나 또 무엇을 할까 콧노랠 부르면서 즐겁게 샤워를 해
재미있는 영화를 보는게 더 날까 아니면 교외로 나가는게 날까
아니야 즐겁게 쇼핑을 즐기며 니가 깜짝 놀라게 선물을 사줘야지
숨겨둔 비상금을 모두 털어서라도
위의 두 곡은 사랑에 대해서 노래를 하고 있다.는 내가 너를 사랑하니까 너의 마음을 열어서 나를 받아들이라는 노래이다. 애틋한 사랑에 대한 애원을 하고 있다. 사랑을 애원하는 것은 봄에 잔디밭에서 햇살을 받으면서 한없이 뒹구는 느낌처럼 산뜻하고 낭만적이다. 그러나 'BOUNCE with me'처럼 후렴구가 쓰이는데 그것이 애정요소를 표현하는 데 어색한 느낌을 주고 있다. <초련>은 이제 막 사랑을 시작하는 연인의 감정을 표현하고 있다. 시작하는 연인이라면 항상 생각하고, 항상 같이 있고 싶고, 상대에게 잘해주고 싶은 마음은 누구나 같을 것이다. 그런 마음을 소박하고 사실적으로 표현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역시 여기서도 '오레오레오'라는 후렴구가 쓰이는데, 이는 애틋한 사랑의 시작을 표현하기에는 어색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럼 애정의 요소를 노래하는데 왜 이처럼 어색한 후렴구가 쓰인 것일까? 그것은 사랑에 대한 애틋함을 표현하기보다는 현대인의 유흥적 요소를 자극하는데 중점을 두었기 때문이다. 이 두 노래는 애정적 양상을 갖춘 노래이지만, 가사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유흥을 유발하기 위해서 만들어 졌다. 다시 말해 곡에 중점을 두고 창작하였으며, 그 곡에 대중들이 가장 쉽게 공유할 수 있는 내용인 애정의 내용을 작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위의 노래에서 일차적인 요소는 곡에 있으며, 가사의 내용은 다음의 요소이다.
즉, 위에서 살펴 본 현대의 대중가요는 유흥적 요소를 위하여 그 곡에 많은 중점을 두고 있다.
5. 결론
18세기 이후에 근대적 요소의 사회적 변화는 도시라는 공간을 창출시켰다. 도시에 인구가 이동하면서 잡가라는 새로운 장르를 창출시켰음을 언급하였다. 도시에서의 생활은 농촌에서의 생활과는 다른 양상을 띠었으며, 또한 농촌에서 향유되던 민요처럼 유흥과 생활이 합하여질 수 없었다. 따라서, 유흥을 즐기게 할 수 있는 담당계층이 있으며, 잡가에서의 유흥을 향유하는 층도 달리 있었다. 즉, 생활과 유흥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잡가에서 나타나는 유흥성은 상자연을 즐기던 사대부계층을 따라하던 모습이 있었고, 도시의 상공업에서 벌어들인 재력을 바탕으로 호화찬란하게 향락적 유흥을 즐겨, 기존의 사대부가 보여주던 모습과는 다른 이완된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또한 서민계층에서는 소박하고 솔직한 유흥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현대의 대중가요는 춤으로 유흥을 즐기는 것이었고, 그것이 솔직하고 적나라하게 향락적인 내용을 나타내거나, 내용과는 상관없이 음악에서 유흥적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잡가나 현대의 대중가요는 둘 다 유흥적 요소를 추구한다는 데는 공통점이 있으나, 현대가요가 더 적나라하고 향락적이라는 데서는 차이점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1. 이노형, 「한국 근대 대중가요의 역사적 전개 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논문, 1992
2. 임형택·고미숙,「한국고전시가선」, 창작과 비평사, 1997
3. 노미원, 「1910년대 유행한 잡가의 한 고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부속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5
4. 이노형, 「잡가의 유형과 그 담당층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87
5. 하희정, 「잡가의 장르적 성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87
6. 고미숙, 「대중가요의 선구, 20세기초반 잡가 연구」『역사비평』1994년 봄, 역사문제연구소, 1994
7. 고미숙, 「20세기 초 잡가의 양식적 특질과 시대적 의미」『창작과 비평』88, 창작과 비평사, 1995
8. 박애경, 「유행과의 형성과 과정 연구」『연세어문학』25,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3
9. 박애경, 「조선후기 시가 통속화 양상에 대한 연구-잡가를 중심으로」『연세어문학』,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5
※ 수정 한 내용
1. 갈래에 대한 논의를 서론에 첨가.
2. 통속성의 성격에 대한 내용 각주 첨가
3. '강호가도의 유흥'을 '강호가도의 풍류'로 수정
4. 유행가요의 농촌 보급에 따른 농촌의 도시적 성격을 각주로 전환
5. 오타 수정
할말도 없는데 이 애기 저 애기 몇 시간씩 또 너와 애길 나누지
햇살이 창가에 머무는 아침엔 눈뜨면 제일먼저 널 생각하고
오늘은 널 만나 또 무엇을 할까 콧노랠 부르면서 즐겁게 샤워를 해
재미있는 영화를 보는게 더 날까 아니면 교외로 나가는게 날까
아니야 즐겁게 쇼핑을 즐기며 니가 깜짝 놀라게 선물을 사줘야지
숨겨둔 비상금을 모두 털어서라도
위의 두 곡은 사랑에 대해서 노래를 하고 있다.
그럼 애정의 요소를 노래하는데 왜 이처럼 어색한 후렴구가 쓰인 것일까? 그것은 사랑에 대한 애틋함을 표현하기보다는 현대인의 유흥적 요소를 자극하는데 중점을 두었기 때문이다. 이 두 노래는 애정적 양상을 갖춘 노래이지만, 가사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유흥을 유발하기 위해서 만들어 졌다. 다시 말해 곡에 중점을 두고 창작하였으며, 그 곡에 대중들이 가장 쉽게 공유할 수 있는 내용인 애정의 내용을 작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위의 노래에서 일차적인 요소는 곡에 있으며, 가사의 내용은 다음의 요소이다.
즉, 위에서 살펴 본 현대의 대중가요는 유흥적 요소를 위하여 그 곡에 많은 중점을 두고 있다.
5. 결론
18세기 이후에 근대적 요소의 사회적 변화는 도시라는 공간을 창출시켰다. 도시에 인구가 이동하면서 잡가라는 새로운 장르를 창출시켰음을 언급하였다. 도시에서의 생활은 농촌에서의 생활과는 다른 양상을 띠었으며, 또한 농촌에서 향유되던 민요처럼 유흥과 생활이 합하여질 수 없었다. 따라서, 유흥을 즐기게 할 수 있는 담당계층이 있으며, 잡가에서의 유흥을 향유하는 층도 달리 있었다. 즉, 생활과 유흥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잡가에서 나타나는 유흥성은 상자연을 즐기던 사대부계층을 따라하던 모습이 있었고, 도시의 상공업에서 벌어들인 재력을 바탕으로 호화찬란하게 향락적 유흥을 즐겨, 기존의 사대부가 보여주던 모습과는 다른 이완된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또한 서민계층에서는 소박하고 솔직한 유흥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현대의 대중가요는 춤으로 유흥을 즐기는 것이었고, 그것이 솔직하고 적나라하게 향락적인 내용을 나타내거나, 내용과는 상관없이 음악에서 유흥적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잡가나 현대의 대중가요는 둘 다 유흥적 요소를 추구한다는 데는 공통점이 있으나, 현대가요가 더 적나라하고 향락적이라는 데서는 차이점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1. 이노형, 「한국 근대 대중가요의 역사적 전개 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논문, 1992
2. 임형택·고미숙,「한국고전시가선」, 창작과 비평사, 1997
3. 노미원, 「1910년대 유행한 잡가의 한 고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부속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5
4. 이노형, 「잡가의 유형과 그 담당층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87
5. 하희정, 「잡가의 장르적 성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87
6. 고미숙, 「대중가요의 선구, 20세기초반 잡가 연구」『역사비평』1994년 봄, 역사문제연구소, 1994
7. 고미숙, 「20세기 초 잡가의 양식적 특질과 시대적 의미」『창작과 비평』88, 창작과 비평사, 1995
8. 박애경, 「유행과의 형성과 과정 연구」『연세어문학』25,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3
9. 박애경, 「조선후기 시가 통속화 양상에 대한 연구-잡가를 중심으로」『연세어문학』,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5
※ 수정 한 내용
1. 갈래에 대한 논의를 서론에 첨가.
2. 통속성의 성격에 대한 내용 각주 첨가
3. '강호가도의 유흥'을 '강호가도의 풍류'로 수정
4. 유행가요의 농촌 보급에 따른 농촌의 도시적 성격을 각주로 전환
5. 오타 수정
추천자료
- 한국대중문화와 중국대중문화
- 한일대중문화비교(대중음악)
- 대중 예술의 정의와 대중 예술 정책의 필요성 및 의의
- [대중사회론]대중매체에 의한 한국문화의 획일성 연구
- 대중매체의 선정성과 청소년에게 미치는 악영향
- 대중문화론
- [대중문화의 이해]한국 대중문화의 형성과정과 문제점 및 향후과제(A+리포트(
- 대중문화란 무엇인가
- [음악산업][대중음악][한국음악][미국음악][일본음악][음악][한국의 음악][미국의 음악][일본...
- 대중문화 또는 대중매체를 통한 청소년의 건전한 문화 육성방안에 대해 토론해 봅시다
- (국제브랜드관리 C형) 한국의 대중음악(K-Pop)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차별화하기 위해서 어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