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의 이해]한국 대중문화의 형성과정과 문제점 및 향후과제(A+리포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중문화의 이해]한국 대중문화의 형성과정과 문제점 및 향후과제(A+리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대중문화의 의미

Ⅲ. 대중문화의 특성

Ⅳ. 한국 대중문화의 변화와 성격
1. 대중문화의 역사적 성격
2. 대중적 미디어의 탄생
3. 문화예술의 대중화
4. 민중 시대의 대중문화론
5. 포스트모던시대의 대중문화론

Ⅴ. 한국 대중문화의 문제점

Ⅵ. 한국 대중문화의 과제
1. 저질문화의 범람
2. 민중론적 문화 게이트키핑
3. 언론의 포스트모던적 대중문화 수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스탠드에는 대중적 주간지, 저급지들이 쌓여 있다. 여행자들이 대중지를 찾기 때문이다.
역마다, 정거장마다 쌓여 있는 대중오락을 위한 숱한 저급지들, 그리고 대중소설류들은 서양 대중문화 초기의 영국 사회에도 있었다. 우리의 고속도로와 철도를 따라 공급되는 대중지는 당시 영국의 이른바 철도문학이라는(railway literature) 저급 대중문화를 방불케 한다. 유럽에서는 산업혁명 이후 먼 기차여행중 교통수단이 발달하면서 이에 따라 여행중 무료함을 덜어주기 위해 시작된 대중적 읽을거리의 등장은 대중문화의 발달과 전사회적 확산을 가져왔다. 여행객들은 기차 안에서 무료함을 잊기 위해서 또는 대중적 오락을 위해서 읽을 거리를 찾았다. 대중들의 읽을 거리로서 그리고 도피물로서 저급한 대중잡지나 대중소설들이 현대적 대중문학의 시작이라 하겠다. 저급한 대중문예물들은 당시 영국 사회에서 공장노동자들, 하층사람들이 그들의 현실생활의 어려움을 잠시라도 잊게 하는 현실도피물이었고, 특별한 지적 자격을 갖추지 않고도 나름대로 즐길 수 있었던 대중 오락이었다.
현대 대중문화 연구에서 중심지인 영국 버밍엄대학의 Center for Contemporary Cultural Studies를 이끌고 있는 호가트, W.윌리엄스, E.P.톰슨 등이 이를 주목하면서 문화연구의 한 맥을 이루었다.
1960년대 한국 사회에서 대중적 주간지의 등장도 문학대중화의 현대적 시작이라 하겠고, 이 시대의 저급한 대중적 읽을거리는 역시 영국 사회의 철도문학이 그러했던 것처럼 한국의 여행자들이 고속버스 안에서의 무료함을 잊기 위해, 또 오락을 위해서 찾는 읽을거리가 되었던 현실도피적 내용물이다. 그래서 고속버스나 기차로 먼 여행을 떠나는 한국 여행자들은 누구나 대중지 한 권을 들고 차 내에 들어간다. 말하자면 우리의 대중적 주간지들은 영국의 철도문학물처럼 고속도스 문학물 것이다. 이러한 대중적 주간지들과 저급한 대중문학물은 한국의 일반 서민들, 공장 노동자들이 매일매일 겪는 생활의 어려움을 잊게 하는 현실도피물이었으며 가난한 사람들이 쉽게 향유할 수 있는 문화이며, 값싸게 즐거움을 주는 대중적 오락이었다.
현대 한국의 대중문화를 생산하는 또 하나의 산업인 방송산업의 경우를 보면, 1961년 서울의 문화방송 라디오가 개국할 때까지 국영방송인 KBS라디오의 독점시대였다. 비록 기독교방송이 있었지만 이는 복음방송이라는 특수 방송이었고, 문화방송이라는 상업국이 있었으나 이는 부산의 문화방송으로서 지방국이었을 뿐 아니라 1959년에 개국되었다. 결국 한국 사회에서 방송은 1960년대에 들어설 때까지 국영방송에 의한 정부홍보와 국민계도가 중심이 되는 방송문화였다. 라디오 수신기 보급률이 극히 낮았기 때문에 방송미디어는 아직 대중적 전파매체라 하기 어려웠다. 1960년대 들어오면서 한국의 방송매체의 대중적 시대가 시작되었다.
모든 상업 라디오 중앙국들과 텔레비전 중앙국들이 모두 1960년대에 개국했기 때문이다. 라디오의 경우를보면, 1961년에 서울의 문화(상업)라디오가, 1963년에는 동아(상업)라디오가, 1964년에는 동양(상업)라디오가 각각 개국하였다. 텔레비전의 경우를 보면, 1961년에 국영 KBS가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하여 1963년에는 상업활동을 시작하였고, 1964년에는 동양라디오의 상업 텔레비전 방송이 시작되었고, 1969년에는 문화 라디오의 상업 텔레비전 방송이 시작되었다. 그리하여 1960년을 넘기 전에 서울의 상업 라디오 3국과 텔레비전 3국이 모두 개국하였다. 그리하여 상업 주간지들, 저급 대중문학물들과 함께 본격적인 전파미디어에 의한 대중문화의 시대에 들어갈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1960년대는 한국의 방송 대중문화 매체에서 커뮤니케이션의 한쪽 끝인 송신자의 탄생시대이다. 즉 대중문화 내용물 생산체제, 즉 대중지의 창간과 방송국의 개국이 시작된 시기였지 생산된 메시지가 대중적으로 송신되고 수용되는 대중문화의 수용체계는 아직 확립되지 않은 때였다. 대중문화 커뮤니케이션 통로도 또 다른 쪽 끝이랄 수 있는 신문보급망의 확산과 방송의 수신기, 수상기 보급 증가로 미디어 내용물이 대중적으로 수용되는 시기는 1970년대에 들어서이다. 1969년까지만 해도 전국의 텔레비전 수상기 보급대는 약 25만 대에 불과하였지만, 1975년에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보급이 100만 대를 돌파하게 된다. 1970년대 중반에 이르러 지방의 수상기 보급률이 서울을 앞지르게 되었고, 텔레비전 문화가 지방까지 깊숙이 파고들게 되었다. 1970년데를 다 넘기기 전에 한국 사회에서는 텔레비전 보급대수가 600만 대에 이르게 되어 전국은 거의 텔레비전 수상기 보급 포화상태에 육박하였다. 동양 라디오와 동아 라디오는 거의 서울 중심의 방송사였지만 KBS와 문화방송은 전국 네트워크 방송사이다. 이 두 네트워크는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라디오?텔레비전의 지방망을 크게 확장했다. 특히 문화방송의 네트워크가 그러하다. 문화 상업라디오의 경우, 1967년 지방 네트워크를 포함해서 불과 7개국이었는데 1970년에 21개국, 1971년에는 25개국으로 확장되었다. 1970년대에 들어서서 미디어, 특히 텔레비전 미디어는 어떠한 대중문화의 미디어 중에서도 가장 대중적이며, 가장 강력한 미디어가 되었다. 현대 한국의 대중문화는 전파문화를 의미하게 되었고 특히 텔레비전 문화를 의미하게 되었다. 전국적으로 고속도로망이 확산되고 전국이 일일권으로 되었던 시대는 1970년대에 이르러서이다.
3. 문화예술의 대중화
1970년대에 오면 부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봐야 하겠지만, 이미 대중적 여가와 대중적 풍요가 시작되고 대중문화 현상이 더욱 가속화되었다. 이때에 이르면 대중문화 현상은 매스미디어뿐 아니라 문화예술 전반에 나타난다. 대중의 문화적 욕구도 크게 늘어나고 대중의 문화수용은 이른바 문화폭발(culture explosion)\' 현상처럼 보였다. 문화폭발 현상이란 Alvin Toffler가 1950년대 미국의 문화현상을 가리키면서 한 말이다. 1950년대의 미국에서는 고급 문화예술을 하는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 그 증가가 일찍이 볼 수 없었던 가히 폭발적이었기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8.06.23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54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