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청소년 비행의 현황
Ⅲ. 청소년 비행의 유형과 동기
Ⅳ. 청소년 비행의 원인과 실태
Ⅴ. 개선 방안
Ⅵ. 결론
Ⅱ. 청소년 비행의 현황
Ⅲ. 청소년 비행의 유형과 동기
Ⅳ. 청소년 비행의 원인과 실태
Ⅴ. 개선 방안
Ⅵ. 결론
본문내용
)
기타
9,538
(7.7)
7,641
(8.3)
11,171
(6.8)
13,662
(8.5)
12,125
(8.0)
12,100
(8.0)
11,594
(8.4)
사 행 심
1,066
(0.9)
678
(0.7)
1,157
(0.7)
1,080
(0.7)
965
(0.6)
858
(0.6)
552
(0.4)
원 한 분 노
1,492
(1.2)
993
(1.0)
2,359
(1.4)
1,806
(1.1)
1,628
(1.10
1,650
(1.1)
1,380
(1.0)
취 중(호기심)
12,346
(9.9)
9,638
(10.5)
15,057
(9.2)
13,805
(8.6)
9,305
(6.2)
9,428
(6.2)
7,591
(5.5)
우 발 적
30,813
(24.8)
21,935
(23.9)
35,956
(21.9)
40,254
(25.0)
40,887
(27.1)
41,573
(27.5)
38,648
(28.0)
유 혹
1,278
(1.0)
852
(0.9)
1,914
(1.2)
2,354
(1.5)
1,945
(1.3)
1,701
(1.1)
1,385
(1.0)
가 정 불 화
134
(0.1)
65
(0.07)
92
(0.1)
113
(0.1)
150
(0.1)
163
(0.1)
138
(0.1)
부 주 의
16,366
(13.2)
15,038
(16.4)
22,035
(13.4)
21,417
(13.3)
22,849
(15.1)
24,320
(16.1)
20,980
(15.2)
현 실 불 만
1,117
(0.9)
1,328
(1.4)
1,590
(0.1)
1,290
(0.8)
1,281
(0.8)
1,067
(0.7)
966
(0.7)
기 타
37,510
(30.2)
25,036
(27.2)
61,037
(37.2)
52,209
(32.3)
47,517
(31.5)
46,821
(31.0)
45,687
(33.1)
Ⅳ. 청소년 비행의 원인 과 실태
1. 청소년 가출
1.1. 청소년 가출의 정의
가출이란 정신적 갈등의 해결이나 생활 목표의 달성을 위해 가족을 떠나 안주의 장소를 구하려는 일종의 도피행위를 말한다. 또는 ‘일반적으로 결혼이나 혈연적 관계로 맺어져 다른 어떤 집단보다도 즐거움과 괴로움을 같이 하고 서로 의지하며 살아갈 수 있는 가족이라는 집단에서 이탈하여 독자적인 길을 걷는 상태’로 정의 내릴 수 있다.
1.2. 청소년 가출의 유형
학업중단형 가출 : 잦은 무단 결석으로 학업성적이 떨어지고 공부에 흥미를 느끼 지 못해 가출하는 경우
동정형 가출 : 이성친구나 동네 친구 등 친한 친구들이 가출하여 거리를 방황하 는 것을 돕다가 함께 가출하는 경우
시위형 가출 : 부모의 관심을 끌리 위한 가출로서 자신의 열등감이나 부모의 편 애로 인한 적대감의 폭발로 가출하는 경우
현실 탈피형 가출 : 빈곤가정의 경제적 영세성을 벗어나기 위하여, 또는 아버지의 성학대를 피하기 위하여, 등등 자신의 현재 환경에 만족하지 못하여 가출하는 경우
추방되어진 가출 : 부모가 자녀의 행동을 참지 못해 집에서 내쫓아 어쩔 수 없이 하는 가출
1.3. 가출의 원인
1.3.1. 개인적 원인
1.3.1.1. 정신적 원인
Welsh 외는 쉼터에 찾아온 가출 청소년과 일반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Rosenberg의 자아정체감 질문을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 가출청소년들이 일반 청소년들에 비해 낮은 자아정체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가출 원인으로 조사대상자들이 보고한 바에 의하면, “나는 혼자 버려진 것이 같이 느끼고 부모님은 전혀 나를 믿지 않으신다.”, “부모님은 전혀 내 입장의 이야기를 들으려고도 안 하신다” 등 과 같이 부모와의 갈등으로 인해 자신을 사랑 받지 못하는 존재로 느끼는 점이 가출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Goldberg에 의하면 가출 청소년들이 보이는 내적 갈등에도 불구하고 가출청소년들은 비가출청소년들에 비해 우울하거나 냉담해 하지는 않지만 이들은 비가출청소년드에 비해 요구가 더 많고, 긴밀한 대인관계를 참거나 유지하는 데 있어서 더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쉽게 좌절하고 일반적으로 충동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Jenkins(1971), Shinohara와 Jenkins(1967)는 다면적 인성검사(MMPI)를 사용한 조사에서 가출아동은 신경증적 불안이 크며 자아상에 대한 인식이 낮음을 밝혀냈다. 또한 같은 심리검사를 사용한 청소년 쉼터에서도 많은 청소년들(32.0%)이 이와 유사하게 반사회성, 우울, 경조, 강박적인 요인들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서 볼 때, 가출청소년들은 비가출청소년들에 비하여 낮은 자아개념을 소유하고 있으며 자신감이 결여되어 있다. 또한 대인관계가 원만치 못하고, 자기 의심이 많으며, 방어적이라는 특성을 지닌다. 그리고 이들은 비가출청소년과 비교해 볼 때 자신의 환경에 대해 낮은 통제감을 느끼며 평정감도 낮은 편에 속한다.
1.3.1.2. 행동적 원인
악물남용, 비행, 부적절한 성적 표현, 공격성, 적절한 통제의 어려움, 피해의식, 자살기도, 가족의 기준에 대한 반발 등의 행동적인 요인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가출자의 성격을 보면, 친족성, 독립성이 결여되어 있고, 찰라적 흥미에 마음을 뺏기며, 배회하는 것을 좋아하고, 인내심이 부족하며, 게으르고 근면성이 결여되어 있다.
이정자는 가정을 이탈하는 아이들의 성격상의 징후를 방일성, 의지부연성, 유약성, 충동성, 흥분성, 경조성, 음울성, 편집성, 자아강력성, 자아유연성, 괴리성 등의 용어로 설명한다. 이러한 성격은 아이들로 하여금 주어진 상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거나 용납하기보다는 반항이나 혐오스런 대상으로 삼고 충동적인 행동을 일으키게 하는 심적인 요인이 된다. 따라서 이들은 정상적인 성격이나 자아감을 가진 아이들이라면 비행이나 가출로 유도되지 않을 불리한 상황적 요인에 처했을 때 냉정하고 긍정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충동적으로 결정하여 가출을 하게 된다고 본다.
1.3.1.3. 정상적 원인(건강함)
일부 학자들은 청소년가출을 사회문제로 여길 필요가 없고 정신병리학적인 문제도 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잇다.
기타
9,538
(7.7)
7,641
(8.3)
11,171
(6.8)
13,662
(8.5)
12,125
(8.0)
12,100
(8.0)
11,594
(8.4)
사 행 심
1,066
(0.9)
678
(0.7)
1,157
(0.7)
1,080
(0.7)
965
(0.6)
858
(0.6)
552
(0.4)
원 한 분 노
1,492
(1.2)
993
(1.0)
2,359
(1.4)
1,806
(1.1)
1,628
(1.10
1,650
(1.1)
1,380
(1.0)
취 중(호기심)
12,346
(9.9)
9,638
(10.5)
15,057
(9.2)
13,805
(8.6)
9,305
(6.2)
9,428
(6.2)
7,591
(5.5)
우 발 적
30,813
(24.8)
21,935
(23.9)
35,956
(21.9)
40,254
(25.0)
40,887
(27.1)
41,573
(27.5)
38,648
(28.0)
유 혹
1,278
(1.0)
852
(0.9)
1,914
(1.2)
2,354
(1.5)
1,945
(1.3)
1,701
(1.1)
1,385
(1.0)
가 정 불 화
134
(0.1)
65
(0.07)
92
(0.1)
113
(0.1)
150
(0.1)
163
(0.1)
138
(0.1)
부 주 의
16,366
(13.2)
15,038
(16.4)
22,035
(13.4)
21,417
(13.3)
22,849
(15.1)
24,320
(16.1)
20,980
(15.2)
현 실 불 만
1,117
(0.9)
1,328
(1.4)
1,590
(0.1)
1,290
(0.8)
1,281
(0.8)
1,067
(0.7)
966
(0.7)
기 타
37,510
(30.2)
25,036
(27.2)
61,037
(37.2)
52,209
(32.3)
47,517
(31.5)
46,821
(31.0)
45,687
(33.1)
Ⅳ. 청소년 비행의 원인 과 실태
1. 청소년 가출
1.1. 청소년 가출의 정의
가출이란 정신적 갈등의 해결이나 생활 목표의 달성을 위해 가족을 떠나 안주의 장소를 구하려는 일종의 도피행위를 말한다. 또는 ‘일반적으로 결혼이나 혈연적 관계로 맺어져 다른 어떤 집단보다도 즐거움과 괴로움을 같이 하고 서로 의지하며 살아갈 수 있는 가족이라는 집단에서 이탈하여 독자적인 길을 걷는 상태’로 정의 내릴 수 있다.
1.2. 청소년 가출의 유형
학업중단형 가출 : 잦은 무단 결석으로 학업성적이 떨어지고 공부에 흥미를 느끼 지 못해 가출하는 경우
동정형 가출 : 이성친구나 동네 친구 등 친한 친구들이 가출하여 거리를 방황하 는 것을 돕다가 함께 가출하는 경우
시위형 가출 : 부모의 관심을 끌리 위한 가출로서 자신의 열등감이나 부모의 편 애로 인한 적대감의 폭발로 가출하는 경우
현실 탈피형 가출 : 빈곤가정의 경제적 영세성을 벗어나기 위하여, 또는 아버지의 성학대를 피하기 위하여, 등등 자신의 현재 환경에 만족하지 못하여 가출하는 경우
추방되어진 가출 : 부모가 자녀의 행동을 참지 못해 집에서 내쫓아 어쩔 수 없이 하는 가출
1.3. 가출의 원인
1.3.1. 개인적 원인
1.3.1.1. 정신적 원인
Welsh 외는 쉼터에 찾아온 가출 청소년과 일반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Rosenberg의 자아정체감 질문을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 가출청소년들이 일반 청소년들에 비해 낮은 자아정체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가출 원인으로 조사대상자들이 보고한 바에 의하면, “나는 혼자 버려진 것이 같이 느끼고 부모님은 전혀 나를 믿지 않으신다.”, “부모님은 전혀 내 입장의 이야기를 들으려고도 안 하신다” 등 과 같이 부모와의 갈등으로 인해 자신을 사랑 받지 못하는 존재로 느끼는 점이 가출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Goldberg에 의하면 가출 청소년들이 보이는 내적 갈등에도 불구하고 가출청소년들은 비가출청소년들에 비해 우울하거나 냉담해 하지는 않지만 이들은 비가출청소년드에 비해 요구가 더 많고, 긴밀한 대인관계를 참거나 유지하는 데 있어서 더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쉽게 좌절하고 일반적으로 충동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Jenkins(1971), Shinohara와 Jenkins(1967)는 다면적 인성검사(MMPI)를 사용한 조사에서 가출아동은 신경증적 불안이 크며 자아상에 대한 인식이 낮음을 밝혀냈다. 또한 같은 심리검사를 사용한 청소년 쉼터에서도 많은 청소년들(32.0%)이 이와 유사하게 반사회성, 우울, 경조, 강박적인 요인들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서 볼 때, 가출청소년들은 비가출청소년들에 비하여 낮은 자아개념을 소유하고 있으며 자신감이 결여되어 있다. 또한 대인관계가 원만치 못하고, 자기 의심이 많으며, 방어적이라는 특성을 지닌다. 그리고 이들은 비가출청소년과 비교해 볼 때 자신의 환경에 대해 낮은 통제감을 느끼며 평정감도 낮은 편에 속한다.
1.3.1.2. 행동적 원인
악물남용, 비행, 부적절한 성적 표현, 공격성, 적절한 통제의 어려움, 피해의식, 자살기도, 가족의 기준에 대한 반발 등의 행동적인 요인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가출자의 성격을 보면, 친족성, 독립성이 결여되어 있고, 찰라적 흥미에 마음을 뺏기며, 배회하는 것을 좋아하고, 인내심이 부족하며, 게으르고 근면성이 결여되어 있다.
이정자는 가정을 이탈하는 아이들의 성격상의 징후를 방일성, 의지부연성, 유약성, 충동성, 흥분성, 경조성, 음울성, 편집성, 자아강력성, 자아유연성, 괴리성 등의 용어로 설명한다. 이러한 성격은 아이들로 하여금 주어진 상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거나 용납하기보다는 반항이나 혐오스런 대상으로 삼고 충동적인 행동을 일으키게 하는 심적인 요인이 된다. 따라서 이들은 정상적인 성격이나 자아감을 가진 아이들이라면 비행이나 가출로 유도되지 않을 불리한 상황적 요인에 처했을 때 냉정하고 긍정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충동적으로 결정하여 가출을 하게 된다고 본다.
1.3.1.3. 정상적 원인(건강함)
일부 학자들은 청소년가출을 사회문제로 여길 필요가 없고 정신병리학적인 문제도 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잇다.
추천자료
청소년 약물 오 남용의 실태 및 예방 대책
청소년 약물 오남용
청소년의 약물 남용
청소년 물질(약물)남용 예방및 대처방안
청소년과 약물 남용
2007 청소년 약물 남용에 관한 레포트
청소년 약물중독의 실태를 조명해 보고 외국의 약물중독이나 오남용의 문제를 방지하기 대책...
청소년 약물 남용 실태와 대책
추천레포트[청소년과 약물 남용] 청소년 약물 남용 특징, 청소년 약물 남용 원인, 청소년 약...
청소년의 비행, 청소년의 가출, 청소년의 학교폭력, 청소년의 성문제, 인터넷 중독, 약물중독...
현대사회의 청소년 문제는 매우 다양하다. 청소년의 비행, 청소년의 가출, 청소년의 학교폭력...
청소년 약물 오남용의 실태와 대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