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공교육[ 公敎育, public education ]이란?
▷사교육[ 私敎育, private education ]이란?
1. 공교육(학교교육)의 실태
2. 공교육의 문제점
3. 사교육(과외)의 실태
4. 사교육(과외)의 문제점
5. 사교육과 공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
6. 외국의 학교교육
1) 미국의 학교 교육
2) 독일의 학교 교육
3) 프랑스의 학교 교육
<<결론>>
▷사교육[ 私敎育, private education ]이란?
1. 공교육(학교교육)의 실태
2. 공교육의 문제점
3. 사교육(과외)의 실태
4. 사교육(과외)의 문제점
5. 사교육과 공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
6. 외국의 학교교육
1) 미국의 학교 교육
2) 독일의 학교 교육
3) 프랑스의 학교 교육
<<결론>>
본문내용
는데 필요한 보통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초등학교 졸업생의 1/3은 5~13학년까지의 9년과정의 김나지움으로 진학을 한다. 11~13학년까지의 3년간을 심화과정으로 두고 학생들의 관심과 적성 및 희망하는 대학 학과에 따라 과목을 선택적으로 배우도록 되어있다. 9년간의 과정을 이수하면 대학 입학 자격시험(abitur)을 치를 자격 주어지며 대학 진학의 방향이 결정된다.
독일의 학교가 유형별로 다양화 되어있는 까닭에 전문교사의 양성도 이에 따라 상이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모든 교사는 대학 졸업을 전제로 하고 있으나 그 교육과정을 실로 다양하다. 모든 교사 지망생은 2차의 국가 시험과 3년간의 실습과정을 마치도록 되었다. 특히 대학 진학을 위한 김나지움을 담당하는 교사의 경우에는 상당한 수준의 전문적 지식이 요구되고 있으며 상당수의 교사가 해당 분야의 박사학위를 소지하고 있다. 한편 교사에게는 교과 운영권이 일임되어 있어 소신껏 학습을 운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 학급당 20~25명 정도로 교사들이 학습 능력의 개인차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다. 이에 따라 비슷한 수준의 소수학생들을 대상으로 집중적이고 심도 있는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또한 수준에 맞는 교재와 교구 개발이 활성화되어 주입식 수업을 지양하고 학생들이 활동을 통해 기본원리를 깨닫게 한고 있다. 주입식 교육 중심의 우리 나라의 학교교육이 배워야 할 부분이다.
**독일 학교 교육의 제도적 장치와 교육적 환경에 힘입어, 기본 교육은 실용화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진로에 따라서 수준별로 집중화된 수업이 선택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점은 다양한 교육적 요구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해주며 이로 인해 공교육에 대한 일반의 신뢰가 매우 높다는 점은 우리가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3) 프랑스의 학교 교육
프랑스 파리 시내에는 서울 시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설 학원은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프랑스에도 대학 입학 자격시험인 “ 바칼로레아”라는 국가 시험이 있지만 이 시험에 대비한 교육은 거의 전적으로 학교 교육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크게 다르다.
프랑스의 각급 학교는 국가 교육과정의 통제를 받으며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질 관리도 국가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외형적인 모습만을 따진다면 프랑스의 학교교육은 우리 나라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 학교 수준에서 전개되고 있는 교육의 모습. 학생들이 느끼는 학습 부담, 학부모들의 교육 만족도 등에 있어서는 프랑스와 우리의 학교 교육에는 상당한 격차가 있다.
①학습 부진아에 대한 학교의 책임있는 교육
중학교 1학년을 중등교육을 받기 위한 “적응기관”으로 보고 이 시기에 학교가 학업 곤란을 겪고 있는 학생들에 대한 책임을 갖고 이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주는 특별 교육을 제공하도록 하는 정책을 도입하고 있다. 학교는 학습 부진아 반을 따로 운영하여 보충지도를 하고 있다.
한편, 프랑스의 학교 교육에는 “유급제도”가 있어서 상급 학년이나 학교로 진급 또는 진학하기에 능력이 부족한 학생들은 유급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유급은 한편으로 haus 학생들에게 가혹한 처사로 보이지만 학교가 학습 능력을 부족하거나 원하는 학교에 진학하지 못한 학생들에게 별도의 교육비 없이 계속 책임을 진다는 점에서 사설 학원에 교과 보충을 위한 교육이나 재수생 교육을 떠넘기는 우리의 공교육과는 좋은 대조를 보인다.
②학생들의 학습을 전적으로 책임지는 학교 교육
프랑스의 학교 교육,특히 초등학교에서 독특한 것은 학과 공부는 전적으로 학교 교육을 통해서 학습되고 보충된다는 점이다. 수요일 오전 수업만 하고 토요일은 쉬는 등의 형대로 대부분 주 5일제 수업을 하고 있다. 수업 중 “개별지도학습 ” 은 정규 교육과정에 포함된 교과 시간으로 담임이 전 교과목에 걸쳐서 아동들을 수준별 그룹으로 나누어 지도하거나 개별화된 지도를 한다. 정규 수업 시간이 끝난 후에도 “학습(etudess)”이라 불리는 학과 공부를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는데 이는 학습 부진아의 학습지도 , 맞벌이 자녀의 숙제나 학습 지도 등을 위한 것으로 공립학교의 경우 무상으로 제공된다.
③공교육 주도의 다양한 특기. 적성 프로그램
프랑스에서 학교가 쉬는 날이나 방과 후 중에 운영되는 다양한 특기, 적성프로그램은 전적으로 공공 기관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파리시는 학생들이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파리 시의 각 구에는 음악, 미술, 수영, 무용 등을 담당하는 기관이 있으며 학생들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등록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수업을 받게 된다. 비용에 비해 양질의 교육이 제공되기 때문에 학부모들은 사설 학원보다는 이러한 기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선호한다. 이는 특기, 적성 프로그램보다 사설 학원이나 과외 교사에 의한 교육을 더 선호하는 우리의 현실과 매우 대조적이다.
<<결론>>
우리 나라는 아직 교육정책이 제대로 자리 잡지 못한 것 같다. 학생과 교사사이에 불신은 점점 커져만가고 학교 교육은 필요없다는 생각은 학생들의 머리 속을 채우고 교사는 학생들의 마네킹이 되어만 가고 있다. 학생을 믿지 못하는 교사, 교사를 믿지 못하는 부모..... 이런 것이 우리 나라 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공교육과 사교육 모두 교육정책이 제대로 잡히고 서로에게 믿음이 있다면 그 문제점은 모두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앞에서 말했듯이 우리 나라와 다른 나라의 다른 점은 학교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크다는 것과 교육과정의 다양화와 부진학생들에 대한 책임 의식 등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가장 큰 차이는 이로 인한 학교 교육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신뢰인 것 같다. 선진국의 교육제도가 무조건 우수하다고 따르자는 것이 아니다. 다만 그 곳에서 현재 우리 학교 교육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교훈을 얻었으면 좋겠다. 좋은 제도를 우리 나라 실정에 맞춰 받아드리는 것도 좋을 것 같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태초에 이러한 문제가 거론되지 않도록 우리 나라의 교육이 진정한 참된 인간육성을 지향하는 전인교육이 이루어지는 그날이 하루 빨리 오기만을 소망한다.
초등학교 졸업생의 1/3은 5~13학년까지의 9년과정의 김나지움으로 진학을 한다. 11~13학년까지의 3년간을 심화과정으로 두고 학생들의 관심과 적성 및 희망하는 대학 학과에 따라 과목을 선택적으로 배우도록 되어있다. 9년간의 과정을 이수하면 대학 입학 자격시험(abitur)을 치를 자격 주어지며 대학 진학의 방향이 결정된다.
독일의 학교가 유형별로 다양화 되어있는 까닭에 전문교사의 양성도 이에 따라 상이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모든 교사는 대학 졸업을 전제로 하고 있으나 그 교육과정을 실로 다양하다. 모든 교사 지망생은 2차의 국가 시험과 3년간의 실습과정을 마치도록 되었다. 특히 대학 진학을 위한 김나지움을 담당하는 교사의 경우에는 상당한 수준의 전문적 지식이 요구되고 있으며 상당수의 교사가 해당 분야의 박사학위를 소지하고 있다. 한편 교사에게는 교과 운영권이 일임되어 있어 소신껏 학습을 운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 학급당 20~25명 정도로 교사들이 학습 능력의 개인차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다. 이에 따라 비슷한 수준의 소수학생들을 대상으로 집중적이고 심도 있는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또한 수준에 맞는 교재와 교구 개발이 활성화되어 주입식 수업을 지양하고 학생들이 활동을 통해 기본원리를 깨닫게 한고 있다. 주입식 교육 중심의 우리 나라의 학교교육이 배워야 할 부분이다.
**독일 학교 교육의 제도적 장치와 교육적 환경에 힘입어, 기본 교육은 실용화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진로에 따라서 수준별로 집중화된 수업이 선택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점은 다양한 교육적 요구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해주며 이로 인해 공교육에 대한 일반의 신뢰가 매우 높다는 점은 우리가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3) 프랑스의 학교 교육
프랑스 파리 시내에는 서울 시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설 학원은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프랑스에도 대학 입학 자격시험인 “ 바칼로레아”라는 국가 시험이 있지만 이 시험에 대비한 교육은 거의 전적으로 학교 교육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크게 다르다.
프랑스의 각급 학교는 국가 교육과정의 통제를 받으며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질 관리도 국가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외형적인 모습만을 따진다면 프랑스의 학교교육은 우리 나라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 학교 수준에서 전개되고 있는 교육의 모습. 학생들이 느끼는 학습 부담, 학부모들의 교육 만족도 등에 있어서는 프랑스와 우리의 학교 교육에는 상당한 격차가 있다.
①학습 부진아에 대한 학교의 책임있는 교육
중학교 1학년을 중등교육을 받기 위한 “적응기관”으로 보고 이 시기에 학교가 학업 곤란을 겪고 있는 학생들에 대한 책임을 갖고 이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주는 특별 교육을 제공하도록 하는 정책을 도입하고 있다. 학교는 학습 부진아 반을 따로 운영하여 보충지도를 하고 있다.
한편, 프랑스의 학교 교육에는 “유급제도”가 있어서 상급 학년이나 학교로 진급 또는 진학하기에 능력이 부족한 학생들은 유급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유급은 한편으로 haus 학생들에게 가혹한 처사로 보이지만 학교가 학습 능력을 부족하거나 원하는 학교에 진학하지 못한 학생들에게 별도의 교육비 없이 계속 책임을 진다는 점에서 사설 학원에 교과 보충을 위한 교육이나 재수생 교육을 떠넘기는 우리의 공교육과는 좋은 대조를 보인다.
②학생들의 학습을 전적으로 책임지는 학교 교육
프랑스의 학교 교육,특히 초등학교에서 독특한 것은 학과 공부는 전적으로 학교 교육을 통해서 학습되고 보충된다는 점이다. 수요일 오전 수업만 하고 토요일은 쉬는 등의 형대로 대부분 주 5일제 수업을 하고 있다. 수업 중 “개별지도학습 ” 은 정규 교육과정에 포함된 교과 시간으로 담임이 전 교과목에 걸쳐서 아동들을 수준별 그룹으로 나누어 지도하거나 개별화된 지도를 한다. 정규 수업 시간이 끝난 후에도 “학습(etudess)”이라 불리는 학과 공부를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는데 이는 학습 부진아의 학습지도 , 맞벌이 자녀의 숙제나 학습 지도 등을 위한 것으로 공립학교의 경우 무상으로 제공된다.
③공교육 주도의 다양한 특기. 적성 프로그램
프랑스에서 학교가 쉬는 날이나 방과 후 중에 운영되는 다양한 특기, 적성프로그램은 전적으로 공공 기관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파리시는 학생들이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파리 시의 각 구에는 음악, 미술, 수영, 무용 등을 담당하는 기관이 있으며 학생들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등록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수업을 받게 된다. 비용에 비해 양질의 교육이 제공되기 때문에 학부모들은 사설 학원보다는 이러한 기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선호한다. 이는 특기, 적성 프로그램보다 사설 학원이나 과외 교사에 의한 교육을 더 선호하는 우리의 현실과 매우 대조적이다.
<<결론>>
우리 나라는 아직 교육정책이 제대로 자리 잡지 못한 것 같다. 학생과 교사사이에 불신은 점점 커져만가고 학교 교육은 필요없다는 생각은 학생들의 머리 속을 채우고 교사는 학생들의 마네킹이 되어만 가고 있다. 학생을 믿지 못하는 교사, 교사를 믿지 못하는 부모..... 이런 것이 우리 나라 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공교육과 사교육 모두 교육정책이 제대로 잡히고 서로에게 믿음이 있다면 그 문제점은 모두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앞에서 말했듯이 우리 나라와 다른 나라의 다른 점은 학교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크다는 것과 교육과정의 다양화와 부진학생들에 대한 책임 의식 등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가장 큰 차이는 이로 인한 학교 교육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신뢰인 것 같다. 선진국의 교육제도가 무조건 우수하다고 따르자는 것이 아니다. 다만 그 곳에서 현재 우리 학교 교육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교훈을 얻었으면 좋겠다. 좋은 제도를 우리 나라 실정에 맞춰 받아드리는 것도 좋을 것 같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태초에 이러한 문제가 거론되지 않도록 우리 나라의 교육이 진정한 참된 인간육성을 지향하는 전인교육이 이루어지는 그날이 하루 빨리 오기만을 소망한다.
추천자료
- 기러기가족에 관한 총체적 이해
- “사교육 문제”에 대한 대책:공교육 교육력 강화를 중심으로
- 학교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논문
- 공교육의 붕괴 그 원인과 해결방안
- 우리나라 사교육의 현황, 문제점, 개선방안
- [공교육 위기설]공교육 붕괴의 원인과 실태 조사, 땅에 떨어진 공교육 위상과 사교육 시장의 ...
- 학교 독서교육(독서지도)의 필요성, 학교 독서교육(독서지도)의 사례, 학교 독서교육(독서지...
- [한국교육개혁]우리나라교육문제점과 해결방안(대책,대안)
- [통일 준비 방안] 학교 통일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 외국의 통일교육 사례, 시사점 및 향후 ...
- [학교교육][미국의 학교교육 사례][학교교육의 제고 방안]학교교육의 목적, 학교교육의 수준,...
- 자립형사립고등학교대하여
- [청소년교육론] 학교 폭력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및 제안
- 장애아동 통합교육, 특수학교의 현황 및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 우리나라 교육현실의 문제점을 논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평생학습의 활용방안을 논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