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문화와 지역축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문화와 지역축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지역축제의 개념과 현황
1. 지역축제의 개념
2. 지역축제의 효과
3. 지역 축제의 현황
4. 지역 축제의 문제점

Ⅲ. Hi Seoul Festival의 주요행사
1. 기본방향
2. 행사목적
3. 추진체계
1) 축제사무국 구성 및 추진체계
2) 시민모임구성
3) 행정지원체계
4) 자치구, 유관기관.단체 협조 지원
5) festival 추진일정
4. 행사구성 및 내용
<인터뷰>

Ⅲ. Hi Seoul Festival의 성과

Ⅳ. Hi Seoul Festival의 문제점
1. 축제 전체를 상징하는 주제의 부재
2. 다양하고 적극적인 시민참여 부족
3. 시민의식의 부족
4. 행사 진행상의 문제점 부각
5. 사전홍보의 미흡
6. 수익성있는 문화상품의 부재

Ⅴ. Hi Seoul Festival의 개선방안
1. 다양한 시민참여를 확대
2. 축제기념품개발
3. 먹거리장터의 개선
4. 자원봉사자의 교육
5. 뚜렷한 주제의식의 확립
6. 구성과 기획의 치밀한 준비
7. 새로운 프로그램의 도입

Ⅵ.결론

본문내용

, 그루지아 라샤리포크앙상블, 키르키즈스탄 전통기악연주 등이 있었다. 그리고, ‘세계 속의 서울문화도시 서울’의 위상을 재정립하는 문화관광축제의 성격을 최대한 살려서 세계 각국의 대사관을 통한 교류의 장을 마련하는 ‘지구촌 한마당’, 세계 각국의 청소년들과 국내의 청소년들의 상호 문화체험의 장으로 ‘세계청소년문화촌’, 아시아 전통의 사자춤 문화를 한자리에서 비교감상할 수 있는 ‘아시아 사자춤’, 그리고 세계 도시 축하공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③ 전통 한마당
국악대축제에서는 ‘신뺑파전’이라는 흥겨운 전통극을, 조선조 왕비와 궁녀들의 연례행사였던 친잠례를 직접 체험하는 ‘조선조 친잠례’, 지역별 전통문화공연을 통한 친목의 장 ‘서울한마당’, 전통의 제례행렬 ‘종묘제례’, 지역축제와 결합한 행렬 ‘조선통신사의 길’ 등을 보여준다.
행사명
날짜
구 역
청계천 복원 기념행진
- 시민걷기대회, 외국인마라톤대회
5.25
청계천 고가도로
세계인 한마당
- 지구촌한마당, 실크로드음악회
- 세계청소년문화촌
- 세계도시축하공연, 한중일사자춤
5.24~25
열린마당 및 덕수궁 시청앞광장 일대
전통 한마당
- 국악대축제, 조선조친잠례
- 서울한마당
- 종묘제례, 조선통신사의길
5.24~25
덕수궁 , 열린마당
체험 한마당
- 희망시장, 작은연꽃등만들기
- 애니메이션 체험
- 문자행위예술, 한방머드쇼
5.24~25
덕수궁 주변 , 프레스센타앞, 시청앞 광장
이색 한마당
- 애완동물콘테스트/퍼레이드
- 인라인스케이팅, 바디페인팅
- 코스튬플레이, 페이스페인팅
- 비디오경연대회
5.24~25
광화문 및 시청 앞 광장, 종로일대, 행사장 전역
청소년 한마당
- 서울유스챔피언대회, 대학로문화축제
5.24~25
광화문사거리, 시청앞광장,대학로
특별 프로그램
- 청도소싸움, 어머니대합창
- 미디어아트, 시낭송 회
- 수문장교대식
- 조선시대 궁중조회 상참의례
5.24~25
동대문운동장, 세종문화회관 앞
시청앞광장, 문학의집, 경복궁 홍례문 앞
경복궁 강녕전, 사정전 일원
먹거리 한마당 - 거리음식축제
5.24~25
시청후정, 한국통신 앞 세종문화회관 앞
시민 공모한마당
5.24~25
광화문~시청앞
④ 체험 한마당
자신이 제작하거나 소장하고 있는 물건을 가져와 물물교환하며 마음을 나누는 알뜰장터인 벼룩시장(24~25일 10:00~ 덕수궁 돌담길 일대)을 두어. 해외여행수집품, 음반, 책, 장난감, 인형 등 다양한 물품을 적절히 분류하여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그리고, 작은연꽃등만들기(24~25일 14:00~18:00 덕수궁 앞)는 말 그대로 작은 연꽃등을 시민들이 직접 만들며 소원을 담고 기원하는 행사를 가지며, 만화속의 주인공이 되어 가상으로 제작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애니메이션 체험’, 글씨를 쓰고 새기는 이색 체험으로 대형 붓글씨를 에드벌룬에 띄우는 문자행위 예술 등을 실시했다.
⑤ 이색 한마당
여러 애완동물들의 퍼레이드와 콘테스트, 장기자랑이 펼쳐질 ‘애완동물 콘테스트’와 ‘인라인 스케이트’,‘코스튬플레이 코스튬플레이란 당시대의 복장을 그대로 입고 행했던 연극에서 유래된 말이나 청소년들이 좋아하는 대중스타나 만화 주인공과 똑같이 분장하여 복장, 헤어스타일, 몸짓까지 흉내내는 놀이
’.‘페이스페인팅’,‘바디페인팅’ 축제현장을 생생하게 담아낼 ‘비디오 경연대회’ 등을 추진 한다.
⑥ 청소년 한마당
청소년들이 젊음을 발산하며 농구, 뮤직, 댄스 등의 경연을 벌이는 ‘서울유스챔 피언대회’와 대학동아리연합회에서 마련한 다양한 문화예술이벤트로 ‘대학로문화축제’를 가졌다.
⑦ 특별 프로그램
특별프로그램은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는 볼 수 없는 청도소싸움대회를 가지며 ,어머니대합창, 영상퍼포먼스인 미디어아트, 수문장교대식, 조선시대 궁중조회 상참의례를 보여주는 행사이다. 또한, 우리 전통의 음식 및 퓨전요리 등 장소별로 음식 테마를 설정하여 축제를 즐기는 시민들에게 다양한 먹거리를 제공하는 거리음식축제를 가진다. 그리고, 시민 공모 한마당을 통해서 그 동안 기회가 주어지지 않아 할 수 없었던 이들에게 표현하고 싶은 것들을 맘껏 표현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한다.
⑧ 시민참여 프로그램
행사 한달 전에 시민들을 대상으로 표현하고 싶은 것은 무엇이든 장르에 상관없이 공모하여 음악, 춤, 퍼포먼스, 전시, 퍼레이드 등 여러 장르에 걸쳐 접수하였다. 이후 심사를 거쳐 선정된 작품은 총 75건이며 이들 작품은 24일과 25일 세종로공원과 분수대, 동화면세점 앞 등에 마련된 행사장에서 공연되거나 전시되었다. 세종로공원에서는 락 콘서트, 분수대에서는 춤, 동아면세점 앞에서는 퓨전&락 콘서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는 전시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선정된 공모작을 몇 가지 예를 들면, 먼저 분수대에서 펼쳐지는 춤의 무대. 한국 외대 폴란드어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로, 폴란드 민속춤을 연구하는 ‘mazurka’ 모임이 준비한 폴란드 ‘kaszuby’ 지방의 전통 민속춤을 비롯하여 노원구에 거주하는 부부댄스 스포츠팀 나빌레라의 ‘부부와 함께 사랑의 춤을’도 준비돼 있다. 이들은 탱고(모던곡)와 차차차(라틴곡) 각각 1곡씩을 선보였는데, 지난 2001년 노원구 주민자치센터 프로그램경진대회에서 ‘인기상’을 수상한 전력도 있다.
그리고, 철도지하철공항을 배경으로 활동하는 Rail Artist팀이 다 나와 벌이는 Rail Art 한마당. 국내 1호 지하철 상설공연과 달리는 열차 라이브 콘서트, 락 페스티벌, 무술축제 등의 확실한 경력자들이 펼치는 퍼포먼스도 마련돼 있다.
현재 클럽 프리젠터로 활동중인 제오를 중심으로 DJ 자이브를 포함한 각 분야별 DJ들이 하나로 뭉쳐 관객과 함께 어우러지는 대규모 댄스뮤직 퍼레이드를 하며, 경기대 전자디지털음악과에 재학 중인 권혁중 씨의 인류의 평화를 주제로 한 신곡(국악곡)도 선보이고, 서울YWCA 청소년 문화공간 ‘마루’에서 활동하고 있는 음악밴드 동아리 ‘인생역전’의 청소년밴드음악공연도 마련했다.
<인터뷰- 장소/인터뷰대상>
1. 행사 준비기간
약 1년 준비로 7~8개월은 본격적인 행사준비를 하였고 나머지는 정산기간을 가졌습니다. 9월에 지난 축제 정산이 모두 끝나고 10월부터 본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5.08.04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88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