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들어가는 말
II. 몸말
1. 종교의 필요성
2. 장애를 보는 종교의 일반적인 시각
3. 서있는 자리와 관점의 차이들(기독교를 중심으로)
4. 그럼에도 불구하고,
5. 이론적 토대의 변화
6. 물리적인 토대의 변화
III. 마치는 글
II. 몸말
1. 종교의 필요성
2. 장애를 보는 종교의 일반적인 시각
3. 서있는 자리와 관점의 차이들(기독교를 중심으로)
4. 그럼에도 불구하고,
5. 이론적 토대의 변화
6. 물리적인 토대의 변화
III. 마치는 글
본문내용
못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 시설중심의 장애인 선교에서, 지역중심(교회중심)의 선교를 지향해야 한다. 대부분의 교회는 지역을 기반으로 하고있고, 그 지역의 구성원들이 속해있다. 또한, 자연스럽게 사회통합의 기회를 가져올수 있으며, 그에 필요한 물적, 인적 토대들도 충분히 갖출수 있는 저력이 있다.
또한, 각 지역의 교회들을 네트워크로 묶어서, 장애인 문제를 구조적으로 변화시키는 방법도 생각해 볼수 있다.
III. 마치는 글
사실 그동안에 교회(종교)에서는 수시로 사랑과 정의를 외치면서도, 우리 주변에 열 명에 한 명꼴인 장애인들의 아픔에 대해서 너무나 담담하게 살아 왔음을 고백한다. 장애인을 동정과 시혜의 눈길로 바라보든, 경멸의 눈길로 바라보든 그것은 장애인을 바로 보는 것이 아니다. 장애인은 나의 이웃이며, 나의 또다른 모습이며, 하나님 나라의 주인인 것이다. 장애인을 위한 교회보다는, 장애인과 함께 하는 교회, 더 나아가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구분이 없는 교회로 거듭날 때 한국교회는 사회를 구원하는 횃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사회로부터 외면 당하는 교회는 참 교회가 아니며 사회가 인정하는 교회가 세상에 필요한 교회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 시설중심의 장애인 선교에서, 지역중심(교회중심)의 선교를 지향해야 한다. 대부분의 교회는 지역을 기반으로 하고있고, 그 지역의 구성원들이 속해있다. 또한, 자연스럽게 사회통합의 기회를 가져올수 있으며, 그에 필요한 물적, 인적 토대들도 충분히 갖출수 있는 저력이 있다.
또한, 각 지역의 교회들을 네트워크로 묶어서, 장애인 문제를 구조적으로 변화시키는 방법도 생각해 볼수 있다.
III. 마치는 글
사실 그동안에 교회(종교)에서는 수시로 사랑과 정의를 외치면서도, 우리 주변에 열 명에 한 명꼴인 장애인들의 아픔에 대해서 너무나 담담하게 살아 왔음을 고백한다. 장애인을 동정과 시혜의 눈길로 바라보든, 경멸의 눈길로 바라보든 그것은 장애인을 바로 보는 것이 아니다. 장애인은 나의 이웃이며, 나의 또다른 모습이며, 하나님 나라의 주인인 것이다. 장애인을 위한 교회보다는, 장애인과 함께 하는 교회, 더 나아가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구분이 없는 교회로 거듭날 때 한국교회는 사회를 구원하는 횃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사회로부터 외면 당하는 교회는 참 교회가 아니며 사회가 인정하는 교회가 세상에 필요한 교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