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노인문제의 정의
2. 노인문제의 이론
3. 노인과 관련된 사회문제
(1) 노인의 빈곤
(서울노인복지센터방문)
(2) 노인의 무위
( 시립노원노인종합복지관 내 노원고령자취업알선센터)
(3) 노인의 질병
(연세노블병원 방문)
(4) 노인의 소외
(5) 노인학대
Ⅲ. 결론
Ⅳ. comment.
≪ 참고문헌 ≫
Ⅱ. 본론
1. 노인문제의 정의
2. 노인문제의 이론
3. 노인과 관련된 사회문제
(1) 노인의 빈곤
(서울노인복지센터방문)
(2) 노인의 무위
( 시립노원노인종합복지관 내 노원고령자취업알선센터)
(3) 노인의 질병
(연세노블병원 방문)
(4) 노인의 소외
(5) 노인학대
Ⅲ. 결론
Ⅳ. comment.
≪ 참고문헌 ≫
본문내용
지정, 운영되고 있어서 광역 취업 알선망이 형성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전문인력 풀의 구축, 활용을 위한 홍보, 교육을 강화하여야 하나 낮은 지원수준으로 그 기둥이 취약한 상태이다.
▶ 보건복지부
- 보건복지부에서는 노인복지정책의 일환으로 주로 65세 이상의 노인이 취업문제를 다루고 있는데, 노인의 취업을 위한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 노인취업알선센터와 노인공동작업장의 설치, 운영을 들 수 있다.
- 노인취업알선센터는 1981년부터 보건복지부 부령에 의하여 노인취업상담 및 알선을 목적으로 대한노인회를 통하여 시행되어오던 노인능력은행을 1997년부터 개편하여 운영되어 왔는데, 현재 전국적으로 701개소가 있으며 정부는 월 50만원의 운영비를 지원하고 있다. 2001년 한 해 동안 노인취업알선센터를 통하여 22만 여명의 노인이 일자리를 구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대한노인회, 2003) 그런데 이들 중에서 장기취업자의 비중은 7.8%에불과하며 나머지는 일용직 등의 단기취업자들로서, 노인취업알선센터의 기능이 아직까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 노인공동작업장은 1986년부터 보건복지부 부령에 의하여 경로당이나 노인복지회관 등에 설치되어 지역사회 내 기업체와 협력하여 노인의 적성과 능력에 맞는 일거리를 마련하고 노인들로 하여금 공동작업에 참여하여 소득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사업이다. 2001년 현재 전국적으로 738개의 노인공동작업장이 운영되고 있으며, 공동작업장을 설치하는 경우에 정부는 선별적으로 설치비를 지원하고 있다.(보건복지부, 2002) 그러나 정부의 행정적 지원의 부족과 기업체와의 연계가 어려워 노인들이 공동작업장에서 할 수 있는 일거리를 찾기가 쉽지 않으며, 2001년 한 해 동안 157개의 노인공동작업장이 폐지된 것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기존 공동 작업장의 경우도 안정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다.
(c) 고령자 직업능력 개발훈련
- 고령자의 직업교육은 고용보험에서 직업능력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고령자의 직업훈련을 촉진하기 위한 장려금과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에서 주관하는 단기적응훈련을 통하여 실행되고 있다. 고용보험법에서는 50세 이상인 근로자가 자비로 직업훈련기관, 교육훈련기관 또는 고용촉진훈련학원에서 실시하는 훈련을 수강한 경우에 100만원 한도 내에서 고령자 수강장려금이라는 명목으로 지원하고 있다.(고용보험법 제 24조). 또한 고령자 고용촉진법(제6조)에 근거하여,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는 50세 이상인 준, 고령자를 대상으로 취업에 필요한 최소한의 단순기초기능과 소양, 산업안전교육 등을 내용으로 하는 1개월 이내의 단기적응훈련을 한국노인복지회 등 민간훈련기관에 위탁하여 실시하고 있다.2001년 현재 106개 기관에서 고령자 적합 직종 중에서 수요가 많은 경비원, 도배보조원 등 26여 개 직종을 중심으로 무료훈련실시 및 취업알선을 병행하고 있다.
그러나 고령자의 직업능력개발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일반훈련 기관에서는 수강능력부족 및 취업실적 부진 등의 이유로 준, 고령자 선발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단기 적응훈련의 경우 훈련 직종이 제한되어 있어 그 실적이 저조한 형편이다. 2001년 단기적응훈련에 참여한 인원은 모두 1,566명으로 준, 고령 실업자 12만 3천명의 1.3%수준에 불과하여 잠재적훈련 수요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노동부 2001) 결국 우리나라에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고령자 직업훈련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4) 노인빈곤관련 기관방문
▶ 일시 : 2005년 5월 11일 수요일
▶ 장소 : 서울노인복지센터
▶ 인터뷰 : - 서울시 중앙고령자취업알선센터 이태연 과장님
▶ 인터뷰 목적 : 노인의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 방안이 노인의 취업이라 생 각하여 서울시 중앙고령자취업센터를 찾았다.
▶ 인터뷰 내용
Q) 서울노인복지센터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서울노인복지센터는 노인문화의 중심지인 탑골공원의 성역화 작업에 따라 노인문제 해결과 노인문화의 발전을 위한 노인복지 공간으로, 2001년 4월 1일 서울시가 설립하고 대한불교조계종사회복지재단이 위탁 운영하는 노인전문사회복지기관이다.
센터에서 하는 일은 어르신들의 행복을 위해 노인정보, 상담사업, 생활복지사업, 의료복지사업, 문화복지사업, 지역복지사업, 자원개발사업, 기획사업, 연구사업, 홍보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Q) 서울시 중앙고령자취업알선센터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55세 이상의 고령자를 위한 취업알선전문기관이다. 1992년에 서울시가 12개 민간기관에 운영을 위탁하여 사업이 시작된 이후, 현재 13개 취업알선센터가 어르신의 재취업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03년부터 국내 처음으로 실버취업박람회를 개최하였고, 이어 매년 박람회를 열어 고령자 구인업체 개발과 노인재취업에 관한 사회적 인식 개선에 중요한 역할를 하고 있다. 이러한 노인취업훈련센터의 모든 데이터를 총괄 관리하는 곳이 서울시고령자취업알선센터이다.
사업 목적으로는 고령화 추세에 따른 유휴노동력을 활용하여 인력난을 해소하고 고령자의 적성과 능력에 맞는 일감을 발굴하여 취업을 알선하여 줌으로써 노인들의 실질적인 소득을 보장함과 아울러 정신적정서적인 안정감을 부여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사업 내용으로는 구직자 모집, 취업상담. 취업알선 및 사후관리, 구인처 개발 및 관리, 고령화 적합직종 개발 및 취업교육, 취업희망자의 욕구나 문제점에 대한 제반 서비스의 제공 등이 있다.
Q) 노인들이 취업하고자 하는 욕구는 어느 정도 인가요??
A) 노인들의 취업욕구는 굉장히 높은 편이다. 경제적인 이유가 70~80%, 그 외 무료한 시간 활용하기나 노인이 겪는 4苦- 빈곤, 질병, 소외, 역할의 상실- 중에서 역할의 상실로 인해 20~30%의 노인이 취업을 희망한다.
Q) 노인들이 희망하는 취업 기관으로 무엇이 있나요?
A) 노인들은 퇴직 전 자신의 사회적 지위나 능력을 활용한 사무직 또는 사무 보조직을 원하고 있지만, 현실에서는 단순노무직에 종사하게 된다. 그 이유는 컴퓨터 활용능력이 뛰어난 젊은이들에게 밀려 설 자리가 없을 뿐 아니라,
▶ 보건복지부
- 보건복지부에서는 노인복지정책의 일환으로 주로 65세 이상의 노인이 취업문제를 다루고 있는데, 노인의 취업을 위한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 노인취업알선센터와 노인공동작업장의 설치, 운영을 들 수 있다.
- 노인취업알선센터는 1981년부터 보건복지부 부령에 의하여 노인취업상담 및 알선을 목적으로 대한노인회를 통하여 시행되어오던 노인능력은행을 1997년부터 개편하여 운영되어 왔는데, 현재 전국적으로 701개소가 있으며 정부는 월 50만원의 운영비를 지원하고 있다. 2001년 한 해 동안 노인취업알선센터를 통하여 22만 여명의 노인이 일자리를 구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대한노인회, 2003) 그런데 이들 중에서 장기취업자의 비중은 7.8%에불과하며 나머지는 일용직 등의 단기취업자들로서, 노인취업알선센터의 기능이 아직까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 노인공동작업장은 1986년부터 보건복지부 부령에 의하여 경로당이나 노인복지회관 등에 설치되어 지역사회 내 기업체와 협력하여 노인의 적성과 능력에 맞는 일거리를 마련하고 노인들로 하여금 공동작업에 참여하여 소득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사업이다. 2001년 현재 전국적으로 738개의 노인공동작업장이 운영되고 있으며, 공동작업장을 설치하는 경우에 정부는 선별적으로 설치비를 지원하고 있다.(보건복지부, 2002) 그러나 정부의 행정적 지원의 부족과 기업체와의 연계가 어려워 노인들이 공동작업장에서 할 수 있는 일거리를 찾기가 쉽지 않으며, 2001년 한 해 동안 157개의 노인공동작업장이 폐지된 것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기존 공동 작업장의 경우도 안정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다.
(c) 고령자 직업능력 개발훈련
- 고령자의 직업교육은 고용보험에서 직업능력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고령자의 직업훈련을 촉진하기 위한 장려금과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에서 주관하는 단기적응훈련을 통하여 실행되고 있다. 고용보험법에서는 50세 이상인 근로자가 자비로 직업훈련기관, 교육훈련기관 또는 고용촉진훈련학원에서 실시하는 훈련을 수강한 경우에 100만원 한도 내에서 고령자 수강장려금이라는 명목으로 지원하고 있다.(고용보험법 제 24조). 또한 고령자 고용촉진법(제6조)에 근거하여,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는 50세 이상인 준, 고령자를 대상으로 취업에 필요한 최소한의 단순기초기능과 소양, 산업안전교육 등을 내용으로 하는 1개월 이내의 단기적응훈련을 한국노인복지회 등 민간훈련기관에 위탁하여 실시하고 있다.2001년 현재 106개 기관에서 고령자 적합 직종 중에서 수요가 많은 경비원, 도배보조원 등 26여 개 직종을 중심으로 무료훈련실시 및 취업알선을 병행하고 있다.
그러나 고령자의 직업능력개발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일반훈련 기관에서는 수강능력부족 및 취업실적 부진 등의 이유로 준, 고령자 선발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단기 적응훈련의 경우 훈련 직종이 제한되어 있어 그 실적이 저조한 형편이다. 2001년 단기적응훈련에 참여한 인원은 모두 1,566명으로 준, 고령 실업자 12만 3천명의 1.3%수준에 불과하여 잠재적훈련 수요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노동부 2001) 결국 우리나라에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고령자 직업훈련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4) 노인빈곤관련 기관방문
▶ 일시 : 2005년 5월 11일 수요일
▶ 장소 : 서울노인복지센터
▶ 인터뷰 : - 서울시 중앙고령자취업알선센터 이태연 과장님
▶ 인터뷰 목적 : 노인의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 방안이 노인의 취업이라 생 각하여 서울시 중앙고령자취업센터를 찾았다.
▶ 인터뷰 내용
Q) 서울노인복지센터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서울노인복지센터는 노인문화의 중심지인 탑골공원의 성역화 작업에 따라 노인문제 해결과 노인문화의 발전을 위한 노인복지 공간으로, 2001년 4월 1일 서울시가 설립하고 대한불교조계종사회복지재단이 위탁 운영하는 노인전문사회복지기관이다.
센터에서 하는 일은 어르신들의 행복을 위해 노인정보, 상담사업, 생활복지사업, 의료복지사업, 문화복지사업, 지역복지사업, 자원개발사업, 기획사업, 연구사업, 홍보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Q) 서울시 중앙고령자취업알선센터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55세 이상의 고령자를 위한 취업알선전문기관이다. 1992년에 서울시가 12개 민간기관에 운영을 위탁하여 사업이 시작된 이후, 현재 13개 취업알선센터가 어르신의 재취업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03년부터 국내 처음으로 실버취업박람회를 개최하였고, 이어 매년 박람회를 열어 고령자 구인업체 개발과 노인재취업에 관한 사회적 인식 개선에 중요한 역할를 하고 있다. 이러한 노인취업훈련센터의 모든 데이터를 총괄 관리하는 곳이 서울시고령자취업알선센터이다.
사업 목적으로는 고령화 추세에 따른 유휴노동력을 활용하여 인력난을 해소하고 고령자의 적성과 능력에 맞는 일감을 발굴하여 취업을 알선하여 줌으로써 노인들의 실질적인 소득을 보장함과 아울러 정신적정서적인 안정감을 부여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사업 내용으로는 구직자 모집, 취업상담. 취업알선 및 사후관리, 구인처 개발 및 관리, 고령화 적합직종 개발 및 취업교육, 취업희망자의 욕구나 문제점에 대한 제반 서비스의 제공 등이 있다.
Q) 노인들이 취업하고자 하는 욕구는 어느 정도 인가요??
A) 노인들의 취업욕구는 굉장히 높은 편이다. 경제적인 이유가 70~80%, 그 외 무료한 시간 활용하기나 노인이 겪는 4苦- 빈곤, 질병, 소외, 역할의 상실- 중에서 역할의 상실로 인해 20~30%의 노인이 취업을 희망한다.
Q) 노인들이 희망하는 취업 기관으로 무엇이 있나요?
A) 노인들은 퇴직 전 자신의 사회적 지위나 능력을 활용한 사무직 또는 사무 보조직을 원하고 있지만, 현실에서는 단순노무직에 종사하게 된다. 그 이유는 컴퓨터 활용능력이 뛰어난 젊은이들에게 밀려 설 자리가 없을 뿐 아니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