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목차
제1장 교육행정의 기본개념
제2장 교육행정 이론의 발전
제3장 교육행정과 조직
제4장 사회체제와 교육행정
제5장 중앙과 지방의 교육행정
제6장 인간의 욕구와 동기 및 인간관
제7장 의사결정과 참여
제8장 지도자 행위
제9장 인간관계와 갈등
제10장 장학행위
제11장 교원인사
제12장 교육재정
제13장 교육시설
제14장 학제와 교육개혁
제15장 학교경영
제16장 학급경영
제2장 교육행정 이론의 발전
제3장 교육행정과 조직
제4장 사회체제와 교육행정
제5장 중앙과 지방의 교육행정
제6장 인간의 욕구와 동기 및 인간관
제7장 의사결정과 참여
제8장 지도자 행위
제9장 인간관계와 갈등
제10장 장학행위
제11장 교원인사
제12장 교육재정
제13장 교육시설
제14장 학제와 교육개혁
제15장 학교경영
제16장 학급경영
본문내용
제 1장 교육행정의 기본개념
제 1절 교육행정과 교육경영
1. 교육행정과 경영
흔히 기업의 목표는 가시적인 것이거나 수량화, 물량화할 수 있어서 분명하여 그 성패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교육의 목표는 불분명하여 측정곤란하기 때문에 결과에 대한 책임에서 안이했던 것이 사실이다. 학습자 개개인의 평가, 기관 자체평가 및 외부의 기관평가 등 다양한 형태의 목표 달성도를 측정하려는 움직임은 교육계에도 불어왔다. 경영마인드와 기업가 정신이 필요하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교육행정가는 전체적 책임을 진,S 최고 경영자로써, 기업의 경영처럼 목표를 분명히 해야 한다. 학습자는 국가와 사회에 약속하고 구성원의 공통적 인식으로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해야 한다. 교육행정이 교육경영이라는 말과 같은 의미로, 상호 교환적으로 쓰이게 된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다.
2. 교육경영과 관리
경영 우위론에서 최고경영자는 조직을 대표하고 결과에 대한 최종적 책임을 지닌 사람이다. 중간 관리층은 최고경영층의 보조자이면서, 그들의 의사를 집행하고 일선 관리층을 지휘한다. 일선관리층은 교육계의 교사와 같이 최일선에서 근무하는 사람을 직접 감독하는 장학사를 말한다. 경영우위론에서 경영은 의사결정과 방침을 결정하고, 고나리는 이것의 규제를 받으면서 타율적으로 과업을 수행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관리 우위론은 administration을 행정이 아닌 관리로 보는 경우에 성립된다. 국가관리의 차원에서 단위기관이나 조직의 운영은 경영이 된다. 교육감은 관내의 초,중,교ㅗ등학교를 모두 관리하지만 단위 학교의 교장은 학교경영을 하는 것이다.
제 2절 교육행정의 정의
1. 국가공권설
교육행정은 일반행정의 일부로서 교육에 관한 행정이라는 입장으로 공권적 해석, 법규해석적 정의라고도 한다. 즉 교육관계 법규와 정책의 테두리 안에서 교육을 관리하는 작용을 교육행정이라고 일컫는다. \'교육에 관한 행정, 교육을 대상으로 하는 행정\'으로 교육은 공교육을 의미하고, 교육보다는 행정을 더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다.
2. 조건정비설
교육행정을 수단적, 봉사적 활동으로 보는 민주적 입장으로 교육행정의 기능적 해석이라고도 한다. \'교육을 위한 행정\'이며 교육을 행정보다 중요시한다. 행정은 교육의 수단으로서 교육을 위한 보조적 봉사활동이라고 행정을 보는 것이다.
3. 행정행위설
교육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여러 사람의 협동적 행위라고 교육행정을 본다. 학교나 교육기관의 특수성보다는 조직 운영상의 공통점을 강조한다. 이 입장은 사회과학이나 행동과학의 영향을 받아 교육행정의 이론화를 주장하는 견해이다. 행정은 집단을 전제로 하고, 공동목표를 상위목표로 하여 각양각색의 하위목표를 가진 사람들과 더불어 이루어지며, 합리적 협동행위를 이룩하려는 것이다.
4. 포괄설
법규해석적 정의는 엄격한 삼권분립이 불가능하며, 조건정비설은 국가의 정책적 배려와 법령의 한계를 무시했고, 합리적 협동행위는 교육행정의 특수성을 무시하고 지나치게 추상적이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교육행정의 궁극적 목적은 어디까지나 일선 교육의 목적으로 효과적으로 달성하도록 지원하고 봉사하는 데 있다.
제 3절 교육행정의 영역
1. 교육행정의 주체구조대상
행정의 주체에서 보면 중앙 교육행정은 교육인적자원부가, 지방 교육행정은 특별시광역시도의 교육청이, 단위 교육기관은 교육인적자원부와 교육청의 소속 기관과 각급학교가 주체가 된다. 시도 교육청은 고등학교를, 시군구 교육청은 중학교초등하
제 1절 교육행정과 교육경영
1. 교육행정과 경영
흔히 기업의 목표는 가시적인 것이거나 수량화, 물량화할 수 있어서 분명하여 그 성패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교육의 목표는 불분명하여 측정곤란하기 때문에 결과에 대한 책임에서 안이했던 것이 사실이다. 학습자 개개인의 평가, 기관 자체평가 및 외부의 기관평가 등 다양한 형태의 목표 달성도를 측정하려는 움직임은 교육계에도 불어왔다. 경영마인드와 기업가 정신이 필요하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교육행정가는 전체적 책임을 진,S 최고 경영자로써, 기업의 경영처럼 목표를 분명히 해야 한다. 학습자는 국가와 사회에 약속하고 구성원의 공통적 인식으로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해야 한다. 교육행정이 교육경영이라는 말과 같은 의미로, 상호 교환적으로 쓰이게 된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다.
2. 교육경영과 관리
경영 우위론에서 최고경영자는 조직을 대표하고 결과에 대한 최종적 책임을 지닌 사람이다. 중간 관리층은 최고경영층의 보조자이면서, 그들의 의사를 집행하고 일선 관리층을 지휘한다. 일선관리층은 교육계의 교사와 같이 최일선에서 근무하는 사람을 직접 감독하는 장학사를 말한다. 경영우위론에서 경영은 의사결정과 방침을 결정하고, 고나리는 이것의 규제를 받으면서 타율적으로 과업을 수행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관리 우위론은 administration을 행정이 아닌 관리로 보는 경우에 성립된다. 국가관리의 차원에서 단위기관이나 조직의 운영은 경영이 된다. 교육감은 관내의 초,중,교ㅗ등학교를 모두 관리하지만 단위 학교의 교장은 학교경영을 하는 것이다.
제 2절 교육행정의 정의
1. 국가공권설
교육행정은 일반행정의 일부로서 교육에 관한 행정이라는 입장으로 공권적 해석, 법규해석적 정의라고도 한다. 즉 교육관계 법규와 정책의 테두리 안에서 교육을 관리하는 작용을 교육행정이라고 일컫는다. \'교육에 관한 행정, 교육을 대상으로 하는 행정\'으로 교육은 공교육을 의미하고, 교육보다는 행정을 더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다.
2. 조건정비설
교육행정을 수단적, 봉사적 활동으로 보는 민주적 입장으로 교육행정의 기능적 해석이라고도 한다. \'교육을 위한 행정\'이며 교육을 행정보다 중요시한다. 행정은 교육의 수단으로서 교육을 위한 보조적 봉사활동이라고 행정을 보는 것이다.
3. 행정행위설
교육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여러 사람의 협동적 행위라고 교육행정을 본다. 학교나 교육기관의 특수성보다는 조직 운영상의 공통점을 강조한다. 이 입장은 사회과학이나 행동과학의 영향을 받아 교육행정의 이론화를 주장하는 견해이다. 행정은 집단을 전제로 하고, 공동목표를 상위목표로 하여 각양각색의 하위목표를 가진 사람들과 더불어 이루어지며, 합리적 협동행위를 이룩하려는 것이다.
4. 포괄설
법규해석적 정의는 엄격한 삼권분립이 불가능하며, 조건정비설은 국가의 정책적 배려와 법령의 한계를 무시했고, 합리적 협동행위는 교육행정의 특수성을 무시하고 지나치게 추상적이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교육행정의 궁극적 목적은 어디까지나 일선 교육의 목적으로 효과적으로 달성하도록 지원하고 봉사하는 데 있다.
제 3절 교육행정의 영역
1. 교육행정의 주체구조대상
행정의 주체에서 보면 중앙 교육행정은 교육인적자원부가, 지방 교육행정은 특별시광역시도의 교육청이, 단위 교육기관은 교육인적자원부와 교육청의 소속 기관과 각급학교가 주체가 된다. 시도 교육청은 고등학교를, 시군구 교육청은 중학교초등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