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부수(部首)의 정의(定義)
2. 부수의 뜻과 예--- 1획~17획
1. 부수(部首)의 정의(定義)
2. 부수의 뜻과 예--- 1획~17획
본문내용
와 관련하여 배의 종류나 배의 각 부위 용구 명칭, 타는 것 등으로 활용됨.
예) 航(항)건너다 , 般(반)옮기다 , 船(선)배
艮(간)어렵다: 사람의 눈을 뒤로 돌린 모습을 나타낸 글자로, 눈을 뜨고 멈춰 물러서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확대시켜 \'거스르다\', \'어그러지다\' 등의 뜻을 나타냄.
예) 良(량)어질다
色(색)색: 아래 부분의 \'巴\' 모양은 사람이 무릎을 꿇고 앉아 있는 모양의 글자{병부절-2획 부수}의 자세한 표현이고 위 부분도 역시 사람의 모양[人]으로 사람 위에 사람이 있는 모양에서 \'남녀 사이의 애정(愛情) - 색\'이란 뜻을 지닌 것으로 봄. 후에 \'색깔, 얼굴색\'의 의미가 확대됨.
예) 色(색)빛,낯,색
艸(초)풀: 풀들이 여기저기에 돋아나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부수의 활용은 \'풀\'과 관련하여 풀의 종류, 명칭이나 풀의 상태나 풀로 만든 물건 등으로 활용.
예) 花(화)꽃,아름답다 , 芳(방)꽃답다 , 英(영)꽃
(호)범: 호랑이의 얼굴과 가죽 무늬{虎皮}를 본뜬 글자로 설명하는 학설과 호랑이의 머리 부분과 앞다리를 본뜬 글자로 설명하는 학설이 있음. 의미는 모두 \'호랑이\'를 나타냄.
예) 虎(호)범 , 處(처)곳,머무르다 , 虛(허)비다
(충)벌레: 본래 뱀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뱀 가운데 살모사(殺母蛇)를 의미하는 글자의 본래자로 보는 경우임. 또한 현재 \'벌레\'를 의미하는 \'蟲(충)\'과 동일한 글자이기도 함. 부수의 활용은 일반적으로 \'벌레\'와 관련하여 곤충 등과 같은 작은 동물들의 의미로 활용되거나, 뱀에서 출발한 글자로 인해 뱀이나 개구리 등과 같은 작은 양서류나 파충류 등의 이름에도 사용되고, 물 속의 어류를 제외한 동물들의 이름에도 활용됨.
예) 蛇(사)뱀 , 蜂(봉)벌 , 蜜(밀)꿀
血(혈)피: 고대 제사에 사용하던 제물(祭物) 가운데 희생물(犧牲物)로 사용하던 소나 양 등의 피를 그릇에 담아 놓은 모양을 표현했는데, 그릇{皿(명)} 위에 핏방울의 형상{`}을 더해 \'희생의 피\'를 의미해서 널리 \'피\'의 의미로 사용됨.
예) 衆(중)무리,많다
行(행)다니다: 사방으로 갈라진 네거리의 길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길\'의 의미에서 \'오고 가다\'의 의미로 확대된 것으로 봄.
예) 術(술)길,꾀,기술 . 街(가)거리 , 衛(위)막다,지키다
衣(의)옷: 저고리의 동정과 옷고름을 동여맨 모습 형상화. 부수의 활용은 \'옷\'과 관련하여 의류의 종류나 옷의 상태, 옷과 관련한 동작 등의 의미로 활용됨.
예) 表(표)겉,나타내다 , 衰(쇠)쇠하다 , 補(보)기우다
(아)덮다: 천이나 보자기 등으로 물건을 덮어놓은 모양을 본뜬 글자로, 위와 아래에서 덮고 가리는 모양에서 \'덮는다\'는 뜻으로 사용됨.
예) 西(서)서녘 , 要(요)구하다
<7획>
見(견)보다: 눈을 의미하는 \'目\'과 사람이 무릎을 꿇고 앉아 있는 모습을 결합해 눈으로 \'본다\'는 의미를 나타낸 글자. 부수의 활용은 보는 행위와 관련된 의미로 활용.
예) 視(시)보다,견주다 , 親(친)친하다 , 覽(람)보다
角(각)뿔: 뿔의 무늬까지 표시한 뾰족한 짐승의 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뿔\'의 의미로 사용되고 후에 뾰족하다는 의미에서 돌출(突出)되고 모난 것의 의미인 \'모서리\', \'작도\'의 뜻이 파생되었고 뿔을 잡는다는 의미에서 \'견주다\', \'싸우다\'는 의미까지 사용됨. 부수의 활용은 뿔의 동작이나 상태를 의미하거나 뿔로 만든 물건 등으로 활용됨.
예) 解(해)풀다,가르다 , ,觸(촉)닿다,범하다
言(언)말씀: 혀를 입 밖으로 길게 뽑고 있는 모양에서 끝에 가로선을 더해 \'말하다\'는 의미를 도출해 낸 글자로 봄. \'말\'이나 말하는 것과 관련된 행위 등의 의미로 활용됨.
예) 訂(정)바로잡다 , 訓(훈)가르치다 , 許(허)허락하다
谷(곡)골: 산 속 골짜기에서 물이 흘러내리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윗부분의 빗금 4개는 흐르는 물의 표현이고 아래의 \'口\'는 골짜기를 표현함 것임. 글자의 의미도 산 속 골짜기에서 흐르는 물길이나 골짜기를 의미함.
예) 谷(곡)골
豆(두)콩: 본래 제사를 지낼 때 제수(祭需)를 담아 올리던 받침이 높이 달린 나무그릇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제기(祭器)를 뜻인데, 위의 \'ㅡ\'은 뚜껑의 표시이고 그 아래 \'\'은 담는 부분, 아래의 \'ㅛ\'는 받침을 표현한 것임. 후에 콩의 의미인 \' \'과 통용해 \'콩\'의 의미로 가차(假借)되어 사용됨. 부수의 활용은 콩의 종류나 콩으로 만든 음식 등의 의미로 사용되거나 제기(祭器)의 의미로도 활용됨.
예) 豈(기)어찌 , 豊(풍)성하다
豕(시)돼지: 돼지의 주둥이와 몸통, 다리, 꼬리 등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돼지의 의미로 사용됨. 특히 중국 민족의 식생활에 돼지의 비중이 높음으로 해서 \'돼지\'를 의미하는 글자가 많은 특성이 있음. 돼지의 종류나 돼지와 닮은 동물들의 의미로 활용됨.]
예) 豚(돈)돼지 , 象(상)꼬끼리 , 豪(호)뛰어나다
(치)벌레. (체)해태: 짐승이 먹이를 잡기 위해 몸을 웅크리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사냥을 하는 맹수들을 의미함. 후에 신령스러운 동물인 \'해태\'를 의미하기도 하고, 별도로 발이 없는 지렁이 같은 벌레를 가리키기도 함. 부수의 활용은 맹수들의 종류나 용맹스러운 기상 등과 관련된 의미로 활용됨. 아울러 명칭에 있어서도 돼지 시[豕]와 유사한 자형을 하고 있어 \'갖은돼지시\'라 부르는 것은 부적절한 표현임.
예) 貌 (모) 모양
貝(패)조개: 조개가 껍질을 벌리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조개\'의 뜻으로 사용됨.
부수의 활용은 고대에 조개를 화폐로 사용했었던 일로 인해 \'재물\'이나 \'재화\'의 유통, 축적, 소유 등의 의미로 활용됨.
예) 財(재)재물 , 貧(빈)가난하다 , 貪(탐)탐하다
赤(적)붉다: 위 부분에 사람의 의미인 \'大\'와 아래에 불의 의미인 \'火\'가 결합하여 \'사람이 불을 쬔다\'는 의미에서 \'붉다\'는 의미를 도출해낸 글자로 보는 경우와 위 부분의 \'大\'를 그냥 \'크다\'로 보아 \'크게 불이 탄다\'는 의미에서 \'붉다\' 또는 \'밝게 드러낸다\'는 의미로 보는 경우도 있음. 부수의 활용은 붉은 것과 관련된 색깔이나 물건, 붉게 변한다는 등의 의미로 활용됨.
예) 赤 (적)
예) 航(항)건너다 , 般(반)옮기다 , 船(선)배
艮(간)어렵다: 사람의 눈을 뒤로 돌린 모습을 나타낸 글자로, 눈을 뜨고 멈춰 물러서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확대시켜 \'거스르다\', \'어그러지다\' 등의 뜻을 나타냄.
예) 良(량)어질다
色(색)색: 아래 부분의 \'巴\' 모양은 사람이 무릎을 꿇고 앉아 있는 모양의 글자{병부절-2획 부수}의 자세한 표현이고 위 부분도 역시 사람의 모양[人]으로 사람 위에 사람이 있는 모양에서 \'남녀 사이의 애정(愛情) - 색\'이란 뜻을 지닌 것으로 봄. 후에 \'색깔, 얼굴색\'의 의미가 확대됨.
예) 色(색)빛,낯,색
艸(초)풀: 풀들이 여기저기에 돋아나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부수의 활용은 \'풀\'과 관련하여 풀의 종류, 명칭이나 풀의 상태나 풀로 만든 물건 등으로 활용.
예) 花(화)꽃,아름답다 , 芳(방)꽃답다 , 英(영)꽃
(호)범: 호랑이의 얼굴과 가죽 무늬{虎皮}를 본뜬 글자로 설명하는 학설과 호랑이의 머리 부분과 앞다리를 본뜬 글자로 설명하는 학설이 있음. 의미는 모두 \'호랑이\'를 나타냄.
예) 虎(호)범 , 處(처)곳,머무르다 , 虛(허)비다
(충)벌레: 본래 뱀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뱀 가운데 살모사(殺母蛇)를 의미하는 글자의 본래자로 보는 경우임. 또한 현재 \'벌레\'를 의미하는 \'蟲(충)\'과 동일한 글자이기도 함. 부수의 활용은 일반적으로 \'벌레\'와 관련하여 곤충 등과 같은 작은 동물들의 의미로 활용되거나, 뱀에서 출발한 글자로 인해 뱀이나 개구리 등과 같은 작은 양서류나 파충류 등의 이름에도 사용되고, 물 속의 어류를 제외한 동물들의 이름에도 활용됨.
예) 蛇(사)뱀 , 蜂(봉)벌 , 蜜(밀)꿀
血(혈)피: 고대 제사에 사용하던 제물(祭物) 가운데 희생물(犧牲物)로 사용하던 소나 양 등의 피를 그릇에 담아 놓은 모양을 표현했는데, 그릇{皿(명)} 위에 핏방울의 형상{`}을 더해 \'희생의 피\'를 의미해서 널리 \'피\'의 의미로 사용됨.
예) 衆(중)무리,많다
行(행)다니다: 사방으로 갈라진 네거리의 길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길\'의 의미에서 \'오고 가다\'의 의미로 확대된 것으로 봄.
예) 術(술)길,꾀,기술 . 街(가)거리 , 衛(위)막다,지키다
衣(의)옷: 저고리의 동정과 옷고름을 동여맨 모습 형상화. 부수의 활용은 \'옷\'과 관련하여 의류의 종류나 옷의 상태, 옷과 관련한 동작 등의 의미로 활용됨.
예) 表(표)겉,나타내다 , 衰(쇠)쇠하다 , 補(보)기우다
(아)덮다: 천이나 보자기 등으로 물건을 덮어놓은 모양을 본뜬 글자로, 위와 아래에서 덮고 가리는 모양에서 \'덮는다\'는 뜻으로 사용됨.
예) 西(서)서녘 , 要(요)구하다
<7획>
見(견)보다: 눈을 의미하는 \'目\'과 사람이 무릎을 꿇고 앉아 있는 모습을 결합해 눈으로 \'본다\'는 의미를 나타낸 글자. 부수의 활용은 보는 행위와 관련된 의미로 활용.
예) 視(시)보다,견주다 , 親(친)친하다 , 覽(람)보다
角(각)뿔: 뿔의 무늬까지 표시한 뾰족한 짐승의 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뿔\'의 의미로 사용되고 후에 뾰족하다는 의미에서 돌출(突出)되고 모난 것의 의미인 \'모서리\', \'작도\'의 뜻이 파생되었고 뿔을 잡는다는 의미에서 \'견주다\', \'싸우다\'는 의미까지 사용됨. 부수의 활용은 뿔의 동작이나 상태를 의미하거나 뿔로 만든 물건 등으로 활용됨.
예) 解(해)풀다,가르다 , ,觸(촉)닿다,범하다
言(언)말씀: 혀를 입 밖으로 길게 뽑고 있는 모양에서 끝에 가로선을 더해 \'말하다\'는 의미를 도출해 낸 글자로 봄. \'말\'이나 말하는 것과 관련된 행위 등의 의미로 활용됨.
예) 訂(정)바로잡다 , 訓(훈)가르치다 , 許(허)허락하다
谷(곡)골: 산 속 골짜기에서 물이 흘러내리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윗부분의 빗금 4개는 흐르는 물의 표현이고 아래의 \'口\'는 골짜기를 표현함 것임. 글자의 의미도 산 속 골짜기에서 흐르는 물길이나 골짜기를 의미함.
예) 谷(곡)골
豆(두)콩: 본래 제사를 지낼 때 제수(祭需)를 담아 올리던 받침이 높이 달린 나무그릇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제기(祭器)를 뜻인데, 위의 \'ㅡ\'은 뚜껑의 표시이고 그 아래 \'\'은 담는 부분, 아래의 \'ㅛ\'는 받침을 표현한 것임. 후에 콩의 의미인 \' \'과 통용해 \'콩\'의 의미로 가차(假借)되어 사용됨. 부수의 활용은 콩의 종류나 콩으로 만든 음식 등의 의미로 사용되거나 제기(祭器)의 의미로도 활용됨.
예) 豈(기)어찌 , 豊(풍)성하다
豕(시)돼지: 돼지의 주둥이와 몸통, 다리, 꼬리 등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돼지의 의미로 사용됨. 특히 중국 민족의 식생활에 돼지의 비중이 높음으로 해서 \'돼지\'를 의미하는 글자가 많은 특성이 있음. 돼지의 종류나 돼지와 닮은 동물들의 의미로 활용됨.]
예) 豚(돈)돼지 , 象(상)꼬끼리 , 豪(호)뛰어나다
(치)벌레. (체)해태: 짐승이 먹이를 잡기 위해 몸을 웅크리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사냥을 하는 맹수들을 의미함. 후에 신령스러운 동물인 \'해태\'를 의미하기도 하고, 별도로 발이 없는 지렁이 같은 벌레를 가리키기도 함. 부수의 활용은 맹수들의 종류나 용맹스러운 기상 등과 관련된 의미로 활용됨. 아울러 명칭에 있어서도 돼지 시[豕]와 유사한 자형을 하고 있어 \'갖은돼지시\'라 부르는 것은 부적절한 표현임.
예) 貌 (모) 모양
貝(패)조개: 조개가 껍질을 벌리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조개\'의 뜻으로 사용됨.
부수의 활용은 고대에 조개를 화폐로 사용했었던 일로 인해 \'재물\'이나 \'재화\'의 유통, 축적, 소유 등의 의미로 활용됨.
예) 財(재)재물 , 貧(빈)가난하다 , 貪(탐)탐하다
赤(적)붉다: 위 부분에 사람의 의미인 \'大\'와 아래에 불의 의미인 \'火\'가 결합하여 \'사람이 불을 쬔다\'는 의미에서 \'붉다\'는 의미를 도출해낸 글자로 보는 경우와 위 부분의 \'大\'를 그냥 \'크다\'로 보아 \'크게 불이 탄다\'는 의미에서 \'붉다\' 또는 \'밝게 드러낸다\'는 의미로 보는 경우도 있음. 부수의 활용은 붉은 것과 관련된 색깔이나 물건, 붉게 변한다는 등의 의미로 활용됨.
예) 赤 (적)
추천자료
수업지도안 - 중학생을 위한 한문지도
[과외]중학 6 자전 이용법
[과외]중학 한문 1-13 반의어 접어의 짜임
[과외]중학 한문 2-11 예상 모의고사
[과외]중학 사회 3-06 부자자효 03
허신과 설문해자
한문. 강하 학습지도안
甲骨文을 통해 본 口, 手, 又, 心, 人, &#36789;의
2016년 1학기 생활한문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생활한문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생활한문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생활한문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한국어의미론-7가지 의미 유형과 관련하여 수업 시간에 논의하지 않은 예들을 더 찾아보고 그...
2018년 1학기 생활한문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