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국시대 동아지중해에서의 교역활동과 21세기적 의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남북국시대 동아지중해에서의 교역활동과 21세기적 의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서언

2. 장보고를 비롯한 재당신라인

3. 발해의 해상활동

4. 8~9세기 해상활동의 21세기적 의미

본문내용

육지와 멀리 떨어지지 않는 연근해 항로를 택해야 했는데 적산, 등주등에서 150km남짓 횡단하면 백령도등 황해연안의 섬들을 볼 수 있다. 이들 섬을 멀리 바라보면서 서해근해를 따라 내려오다가 중간에 고이도나 무주같은 항구등을 거쳐 청해진에 도착하게 된다.
일본으로 가는 항로는 한반도 남쪽에서 쓰시마를 횡단하거나, 제주도를 멀리서 바라보며 가는 길을 택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이처럼 중국과 한반도와 일본과의 교역에서 한반도가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는 것을 그 지리적 여건이나, 당시 상황으로 보았을 때 충분히 일어 났을 법한 일이며, 이러한 것을 배경으로 하여 당시 중요한 해상 호족세력의 ‘장보고’의 출현 배경이 아닐까 한다.
장보고는 라이샤워로부터 해양 식민지를 다스리는 총독, 해양 상업제국의 무역왕이라는 매우 격이 높은 칭호를 부여 받았는데. 우리나라의 사서인 삼국사기 열전에서나 삼국유사에서는 남의 일인 양 간단하게 적혀있다. 일본의 승려 예닌이 저술한 『입당구법순례행기』가 아니었으면 우리는 장보고라는 사람을 잘 알지 못하고 있었을 지도 모른다.
장보고는 이정기의 난에서의 전공으로 서주 무녕준 군중소장이 되었는데 『신당서』,『삼국사기』,『번천문집』에서 장보고의 무인으로서의 능력 때문이었을 것이다. 전쟁이 끝나자, 군인이었던 장보고에게 신상의 변화가 찾아왔다. 많은 경험을 쌓은데다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던 장보고는 재당신라인들을 조직화하면서 힘을 키워나갔다. 그의 교민사회에서의 위상은 날로 높아졌다. 이에 장보고는 신라정부에 노예 약탈을 방지하겠다는 명분을 내세워 해상을 장아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8.25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08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