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게놈이란 무엇인가..
2. 게놈과 Bio Infomatics..
3. 인간 게놈 연구를 위한 방법..
4. 게놈프로젝트에 대하여..
5. 게놈프로젝트의 진행 현황..
6. 게놈 프로젝트로 인한 긍정적 변화..
7. 게놈 프로젝트의 부정적 측면..
8. 게놈프로젝트시 유의사항..
9. 게놈프로젝트로 인한 우리 생활의 변화 가능성..
10. 국가 경쟁력 확보 방안으로의 게놈..
11. 결론..
2. 게놈과 Bio Infomatics..
3. 인간 게놈 연구를 위한 방법..
4. 게놈프로젝트에 대하여..
5. 게놈프로젝트의 진행 현황..
6. 게놈 프로젝트로 인한 긍정적 변화..
7. 게놈 프로젝트의 부정적 측면..
8. 게놈프로젝트시 유의사항..
9. 게놈프로젝트로 인한 우리 생활의 변화 가능성..
10. 국가 경쟁력 확보 방안으로의 게놈..
11. 결론..
본문내용
목 차
1. 게놈이란 무엇인가..
2. 게놈과 Bio Infomatics..
3. 인간 게놈 연구를 위한 방법..
4. 게놈프로젝트에 대하여..
5. 게놈프로젝트의 진행 현황..
6. 게놈 프로젝트로 인한 긍정적 변화..
7. 게놈 프로젝트의 부정적 측면..
8. 게놈프로젝트시 유의사항..
9. 게놈프로젝트로 인한 우리 생활의 변화 가능성..
10. 국가 경쟁력 확보 방안으로의 게놈..
11. 결론..
1. 게놈이란 무엇인가..
1920년 윙클러는 반수성의 염색체 1조를 게놈이란 용어로 사용하기를 제창했다. 1930년에 기하라 히토시는 기능적 내용을 부여하여 각종 생물이 생존하는 데 꼭 필요한 염색체의 1조를 게놈이라고 하였다. 1게놈 속에는 상동염색체가 포함될 수 없으며, 게놈 속의 1개의 염색체 또는 그 일부분만 상실되어도 생활기능에 중대한 영향을 받는다. 게놈을 구성하는 염색체는 각종 생물에 있어서 고유의 기본수로 이루어져 있다.
핵 속에 상동게놈을 중복으로 소유하고 있는 생물은 성숙분열(감수분열) 중에 상동염색체가 쌍을 이루는 과정에서 2가염색체의 형성, 정상적인 염색체의 분리가 일어나고 그 동안에 상동염색체 사이에 교환이 일어나도 배우자는 생식능력을 잃지 않는다. 이에 반하여 서로 상동이 아닌 게놈을 소유한 생물에서는 2가염색체가 형성되지 않고, 또한 비상동게놈의 염색체 사이에 교환이 일어나면 그 배우자는 기능을 잃어 죽거나 생식불능이 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성질을 이용해서 생물의 게놈 구성을 확실히 규명하여 종의 기원이나 종의 분화 등에 관한 진화과정을 밝히는 연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게놈분석(genome analysis)이라 하는데, 특히 염색체 쌍짓기(pairing)를 이용해서 게놈간의 상동성을 조사하면 게놈의 변천, 종의 유래 등을 이해하기 쉽다.
이 방법은 기하라(1930)에 의해서 밀 3군의 군내 및 군간 잡종의 세포학적 연구에서 확립되었다. 최근 미국 국립보건원에서는 J.D.
1. 게놈이란 무엇인가..
2. 게놈과 Bio Infomatics..
3. 인간 게놈 연구를 위한 방법..
4. 게놈프로젝트에 대하여..
5. 게놈프로젝트의 진행 현황..
6. 게놈 프로젝트로 인한 긍정적 변화..
7. 게놈 프로젝트의 부정적 측면..
8. 게놈프로젝트시 유의사항..
9. 게놈프로젝트로 인한 우리 생활의 변화 가능성..
10. 국가 경쟁력 확보 방안으로의 게놈..
11. 결론..
1. 게놈이란 무엇인가..
1920년 윙클러는 반수성의 염색체 1조를 게놈이란 용어로 사용하기를 제창했다. 1930년에 기하라 히토시는 기능적 내용을 부여하여 각종 생물이 생존하는 데 꼭 필요한 염색체의 1조를 게놈이라고 하였다. 1게놈 속에는 상동염색체가 포함될 수 없으며, 게놈 속의 1개의 염색체 또는 그 일부분만 상실되어도 생활기능에 중대한 영향을 받는다. 게놈을 구성하는 염색체는 각종 생물에 있어서 고유의 기본수로 이루어져 있다.
핵 속에 상동게놈을 중복으로 소유하고 있는 생물은 성숙분열(감수분열) 중에 상동염색체가 쌍을 이루는 과정에서 2가염색체의 형성, 정상적인 염색체의 분리가 일어나고 그 동안에 상동염색체 사이에 교환이 일어나도 배우자는 생식능력을 잃지 않는다. 이에 반하여 서로 상동이 아닌 게놈을 소유한 생물에서는 2가염색체가 형성되지 않고, 또한 비상동게놈의 염색체 사이에 교환이 일어나면 그 배우자는 기능을 잃어 죽거나 생식불능이 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성질을 이용해서 생물의 게놈 구성을 확실히 규명하여 종의 기원이나 종의 분화 등에 관한 진화과정을 밝히는 연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게놈분석(genome analysis)이라 하는데, 특히 염색체 쌍짓기(pairing)를 이용해서 게놈간의 상동성을 조사하면 게놈의 변천, 종의 유래 등을 이해하기 쉽다.
이 방법은 기하라(1930)에 의해서 밀 3군의 군내 및 군간 잡종의 세포학적 연구에서 확립되었다. 최근 미국 국립보건원에서는 J.D.
추천자료
생명공학의 현황과 문제점 : 인간복제 생명복제 인간게놈
생명공학의 가공할 파괴력 - 황우석 교수가 수행한 인간배아복제 연구가 담고 있는 사회적, ...
게놈프로젝트는 무엇인가? / 게놈프로젝트의 빛과 어둠
인간(게놈프로젝트)배아복제의 사회적․윤리적 쟁점
황우석 박사의 배아 줄기세포 연구에 대하여
황우석 교수의 인간 배아복제연구의 사회, 윤리, 특허권에 관한 고찰 및 해결방안
황우석 교수의 인간체세포 배아복제의 문제점 및 황우석 교수 사태에 대한 개인적 논의
Human Genome Project - 인간 게놈 프로젝트
(유전자복제) 게놈 프록젝트에 대한 논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