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1.정보화 사회란?
2.이용자 욕구의 변화
3.정보화 사회의 도서관
4.정보화 사회의 사서의 역할
5.정보화 사회의 사서의 자세
Ⅲ.요약 및 결론
Ⅱ.본론
1.정보화 사회란?
2.이용자 욕구의 변화
3.정보화 사회의 도서관
4.정보화 사회의 사서의 역할
5.정보화 사회의 사서의 자세
Ⅲ.요약 및 결론
본문내용
PC통신 즉, 다이얼로그, 컴퓨서브, NIFTY-SERVE,
PC-VAN+ 등에 대해서도 폭넓게 공부해야 하며, 이런 서비스의 사용법을 파악하고 난 뒤에야 비로소 올바른 검색이 가능해진다.
다섯째, 영어와 제2외국어에 대한 마인드를 가져야 한다. 인터넷과 상용 데이터베이스의 80%이상이 영어로 돼있다. 그러므로 장차 탐색의 역할이 단순 검색수준에서 벗어나 정보를 가공하는 수준까지 가려면, 영문 텍스트의 직독·직해가 가능한 수준에 이르러야 한다. 검색의 기본인 키워드 선정을 위해서도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만든 외국사람들의 언어수준으로 맞춰줘야 제대로 된 검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매일 쏟아지는 새로운 데이터베이스와 인터넷 서비스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도 기본 전제가 돼야 할 것이다. 물론 독일어나 불어, 중국어 등의 제 2외국어도 읽을 수 있는 정도라면 금상첨화라 하겠다.
Ⅲ.요약 및 결론
정보화 사회에서 도서관의 위치는 어디인가? 정보화 사회에서는 엄청난 양의 정보가 생산되고 있지만, 이들 정보들이 도서관에 차곡차곡 쌓여져 사서의 손을 거치면, 이용자들은 또 다른 정보를 재생산할 수 있다. 정보와 이용자들 사이에서 체계적으로 정보를 조직 관리하여 정보를 재생산하도록 도와주는 도서관은 일종의 정보 중개 센터로서의 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 도서관도 새로운 기술의 발달로 많은 변화를 맞이하고 있어 시대에 맞게 대응하지 않으면 낙후될 것이 분명하다. 도서관에 근무하는 사서도 이제는 수동적인 의미의 도서관보다는 정보센터를 운영하는 정보 관리자 및 정보 중개자로 변신을 시도해야 한다. 어느 순간에 사서가 필요없이 도서관 자료를 이용자들인 집이나 사무실에서 마음대로 이용할 수 있는 날이 올 수도 있으며 이미 그러한 시도는 시작되었다. 사서는 이러한 흐름을 미리 간파하고 여기에 적응하여 정보화 사회의 코디네이터로서 그 직분을 충실히 발휘할 수 있어야 하고 정보화 사회를 이끌어가야 한다. 현재의 무사 안일한 사고 방식보다는 적극적인 사고 방식으로 대처하여야 한다. 국내외의 전산화된 도서관에서는 이미 전통적인 사서의 일을 컴퓨터가 대신하고 있어 이제는 새로운 사서의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그 새로운 역할은 정보화 사회의 길잡이로서 각종 데이터 베이스 이용안내, 이용자를 대신하여 검색대행, 이용자 교육, 유용한 정보 보급, 정보교육자 등의 많은 역할을 부여받게 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시대의 흐름을 직시하고 앞장서서 흐름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정보전문가라는 기본 배경, 컴퓨터에 대한 지식, 그리고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만족시키겠다는 의미를 가지고 생활한다면 사서는 틀림없이 시대를 앞서나갈 수 있을 것이다.
* 참고 문헌 *
정연대, (1997), '정보화 시대에 대응하는 사서의 역할' 사대도협 12회 사서연수회 자료집
조경제, (1996), '달라져야 하는 사서의 역할' 한양대학교 도서관 소식지 '학술정보관'
백수진, (1997), '정보화시대의 도서관의 주체적인 자리매김' 부산대학교 대학원 학기논고집 7집
PC-VAN+ 등에 대해서도 폭넓게 공부해야 하며, 이런 서비스의 사용법을 파악하고 난 뒤에야 비로소 올바른 검색이 가능해진다.
다섯째, 영어와 제2외국어에 대한 마인드를 가져야 한다. 인터넷과 상용 데이터베이스의 80%이상이 영어로 돼있다. 그러므로 장차 탐색의 역할이 단순 검색수준에서 벗어나 정보를 가공하는 수준까지 가려면, 영문 텍스트의 직독·직해가 가능한 수준에 이르러야 한다. 검색의 기본인 키워드 선정을 위해서도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만든 외국사람들의 언어수준으로 맞춰줘야 제대로 된 검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매일 쏟아지는 새로운 데이터베이스와 인터넷 서비스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도 기본 전제가 돼야 할 것이다. 물론 독일어나 불어, 중국어 등의 제 2외국어도 읽을 수 있는 정도라면 금상첨화라 하겠다.
Ⅲ.요약 및 결론
정보화 사회에서 도서관의 위치는 어디인가? 정보화 사회에서는 엄청난 양의 정보가 생산되고 있지만, 이들 정보들이 도서관에 차곡차곡 쌓여져 사서의 손을 거치면, 이용자들은 또 다른 정보를 재생산할 수 있다. 정보와 이용자들 사이에서 체계적으로 정보를 조직 관리하여 정보를 재생산하도록 도와주는 도서관은 일종의 정보 중개 센터로서의 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 도서관도 새로운 기술의 발달로 많은 변화를 맞이하고 있어 시대에 맞게 대응하지 않으면 낙후될 것이 분명하다. 도서관에 근무하는 사서도 이제는 수동적인 의미의 도서관보다는 정보센터를 운영하는 정보 관리자 및 정보 중개자로 변신을 시도해야 한다. 어느 순간에 사서가 필요없이 도서관 자료를 이용자들인 집이나 사무실에서 마음대로 이용할 수 있는 날이 올 수도 있으며 이미 그러한 시도는 시작되었다. 사서는 이러한 흐름을 미리 간파하고 여기에 적응하여 정보화 사회의 코디네이터로서 그 직분을 충실히 발휘할 수 있어야 하고 정보화 사회를 이끌어가야 한다. 현재의 무사 안일한 사고 방식보다는 적극적인 사고 방식으로 대처하여야 한다. 국내외의 전산화된 도서관에서는 이미 전통적인 사서의 일을 컴퓨터가 대신하고 있어 이제는 새로운 사서의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그 새로운 역할은 정보화 사회의 길잡이로서 각종 데이터 베이스 이용안내, 이용자를 대신하여 검색대행, 이용자 교육, 유용한 정보 보급, 정보교육자 등의 많은 역할을 부여받게 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시대의 흐름을 직시하고 앞장서서 흐름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정보전문가라는 기본 배경, 컴퓨터에 대한 지식, 그리고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만족시키겠다는 의미를 가지고 생활한다면 사서는 틀림없이 시대를 앞서나갈 수 있을 것이다.
* 참고 문헌 *
정연대, (1997), '정보화 시대에 대응하는 사서의 역할' 사대도협 12회 사서연수회 자료집
조경제, (1996), '달라져야 하는 사서의 역할' 한양대학교 도서관 소식지 '학술정보관'
백수진, (1997), '정보화시대의 도서관의 주체적인 자리매김' 부산대학교 대학원 학기논고집 7집
추천자료
EIP (Enterprise Information Portal)
기업의 가치활동
공공도서관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서☆
<유비쿼터스> 감상문
한국사회과학도서관 소개 취업
도서관 전산화 및 컴퓨터 시스템 도입
채팅을 이용한 참고면담
국립대학도서관의 일반적인 현황에 대한 보고서
[전자책][e-book][전자도서관][디지털도서관]전자책(e-book)의 개념, 특성, 디지털도서관(전...
[학교도서관][학교도서관 기능][학교도서관 일반현황][학교도서관 개선 방안]학교도서관의 특...
디지털자료실(전자도서관)의 필요성과 디지털자료실(전자도서관)의 추진방법, 구축원칙, 운영...
도서관 이용자교육.ppt
기업 EC(전자상거래)의 정의, 특성, 기업 EC(전자상거래)의 선행연구, 기업 EC(전자상거래)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