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ukemia의 분류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Leukemia의 분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leukemia의 분류

2. acute myeloid leukemia

3. myeloprolifertive diseases

4. myelodysplastic disease
* neutropenic fever

5. leukemia의 치료 - 수혈, 골수이식

본문내용

t(철적아구)의 수를 토대로
cf. ringed sideroblast란- 5개 이상의 철과립이 핵둘레1/3이상에 분포.
① RA(refractory anemia ; 불응성 빈혈)
→ marrow blasts< 5%, blood blasts<1%, sideroblasts<15%
② RARS(refratory anemia with ringed sideroblast ; 철적아구성빈혈)
→ blast는 RA와 동일, sideroblasts>15%
③ RAEB(refractory anemia with excess blasts ; 과다모구성불응성 빈혈)
→ marrow blasts 5-20%, blood blasts<5%, sideroblasts<15%
④ RAEBT(refractory anemia with excess blasts in transformation(변형))
→ marrow blasts 20-30%, blood blasts>5%, sideroblasts<15%
⑤ CMML : chronic myelomonocytic leukemia
→ marrow blasts 20-30%, blood blasts>5%, sideroblasts <15%
4. 임상양상 - anemia, fatigue, weakness, dyspnea, pallor, splenomegaly.
50%의 환자는 무증상이다.
5. 검사 소견
: careful morphologic evaluation
① peripheral blood - pancytopenia, macrocytosis, platelet의 거대화,
② bone marrow : the cellularity, the number of blast, ringed sideroblasts,
presence of dysplastic change
③ cytogenetic studies
5. 치료
: allogenet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BMT) is the only curative Tx
(하지만 효과를 보는 것은 극소수)
1. supportive therapy
: red cell and platelet transfusions, antibiotics
2. Hematopoietic Growth Factors
3. Vitamin therapy, steroid hormones, and immunosuppressive agents(ATG, Cyclosporin A)
4. differentiation therapy
5. chemotherapy : topotecan
6. Bone Marrow Transplantation
Neutropenic fever
1. 원인 - 급성백혈병, intensive chemotherapy, 방사선 요법을 받는 환자에서 neutropenia
가 야기된다.
① 절대 중성구 수치가 500이하의 경우 경각심을 가진다.
② 전형적으로는 균주가 발견되지 않지만, 가장 많이 발견되는 균주는 Pseudomonas,
Staphylococcus, Enterobacter, Candida, Clostridium, Aspergillus이다.
2. 증상
① 열(유일한 증상일 수도 있음) ⑥ 항문주위의 통증
② 기침 ⑦ 오심
③ 배뇨통 ⑧ 구토
④ 빈뇨 혹은 급박뇨 ⑨ 설사
⑤ indwelling catheter 부위의 압통 ⑩ 복통
3. 임상소견
① 단지 열만 관찰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② 폐, indwelling cathete 부위, 항문주위, 피부 등의 이학적 검사에 특별한 주의 필요.
4. 검사
① 혈액 배양검사
② 소변검사 및 요 배양검사
③ 흉부 X-선
④ 객담 배양검사
5. 치료
① 즉각적인 항생제 투여가 없다면, 열을 동반한 백혈구 감소증 환자의 적어도 50%는
감염으로 사망한다.
② 경험적 항생제(3세대 cephalosporin 혹은 페니실린 + aminoglycoside)
③ 경험적 항생제 투여에도 불구하고 48시간 동안 열이 지속되거나 임상적으로
line infection이 의심되면 vancomycin을 투여한다.
④ 혐기성 감염이 의심되거나, 열이 3-5일 동안 지속되면 metronidazole을 추가한다.
⑤ 7일 동안 열이 지속되면, amphotericin B를 추가한다.
⑥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의 투여를 고려한다.
⑦ 일단 절대 중성구 수치가 500이상이고, 48시간 동안 열이 없으면서 모든 배양검사에서
음성이면 항생제 투여를 중지한다.
수 혈
* LDRT RBC를 leukemia & lymphoma 환자에게 주는 이유
① 수혈감염증의 원인이 되는 virus인 HIV, HTLY, CMV, EBV 등은 단핵구를 감염시키기 E
때문에, 농축 적혈구액에 흔재 하는 단핵구에 바이러스가 잠복하고 있을 경우가 많다.
② 농축적혈구에 흔재하는 림프구가 GVHD(graft versus host disease ; 이식편 숙주 반응
질환)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골수 이식
1. 골수 이식의 분류
(1) 동종골수이식 - HLA 세포가 일치하는 기증자의 골수혈에 포함된 조혈모세포를 이식.
① 장점 : GVL 효과 기대 - 이식 조혈모세포에서 유래한 림프구가 체내에 잔존하는 백혈
병을 이물질로 인식하고 배제하는 기전.
② 단점 : GVHD(graft versus host disease ; 이식편 숙주 반응 질환)
(2) 자가골수이식 - 환자의 골수혈을 채취하여 종양세포를 제거하고 선택적으로 조혈모세포
를 추출하여 골수가 형성되지 않을 때 되돌리는 것.
① 장점 : GVHD가 절대 일어나지 않는다.
② 단점 : 재발
(3) 말초혈액모세포이식(PBSCT)
- 말초 혈액중에 존재하는 소량의 조혈모 세포가 조혈기능이 회복될 때 일시적으로 현저히
증가한다. 이때 말초혈액모세포를 추출하여 보관했다가 골수가 형성되지 않을 때 이식
하는 방법.
2. 골수 이식전의 준비
① 강력한 화학요법과 방사선 조사로 백혈병세포 근절.
② 상재균의 제거 - 피부 : 소독액이 채워진 욕조에 담그고 잘 씻긴다.
구강비강 : 항미생물제 양치질과 흡입을 통해 죽인다.
장내세균 : 장관으로 흡수되지

키워드

leukemia,   백혈병,   AML,   MM,   CML,   ALL,   lymphoma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5.08.28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11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