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에의 노인복지 프로그램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불교에의 노인복지 프로그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1. 본고의 목적
2. 연구방법

Ⅱ. 고령화 사회와 老人問題
1. 고령화 사회의 개념과 평균수명의 증가
1) 고령화 사회의 개념
2) 평균수명의 증가
2. 老人의 개념과 特性
1) 老人의 槪念
2) 老人의 特性
(1) 身體的 特性
(2) 精神·心理的 特性
(3) 社會的 特性
3. 老人의 諸問題
1) 理論的 시각
(1) 機能主義 理論
(2) 갈등주의 理論
(3) 상징적 상호작용론
(4) 이탈이론과 활동이론
(5) 老年文化論
(6) 現代化 理論
2) 老人問題의 유형
(1) 身體的 問題
(2) 心理的 問題
(3) 社會的 問題
(4) 經濟的 問題

Ⅲ. 佛敎的 시각에서 본 老人
1. 佛典에서의 老人의 意味와 규정
1) 老人의 意味
2) 老人의 년령규정
2. 佛典에 나타난 老人問題의 特性
1) 老人을 對하는 자세
2)老人問題의 特性
(1) 마음의 의지처를 찾게 해줌
(2) 아들에게 쫓겨난 老人 구호
(3) 보살피고 保護해 주려는 마음
(4) 년령에 따른 修行力을 강조
(5) 肉身의 病에 끄달리지 말라
(6) 참회의 삶을 살도록 권장함
3. 佛敎 老人福祉의 實態 및 問題點
1) 老人福祉의 실태
2) 老人福祉의 問題點
(1) 社會的 機能
(2) 布敎的 機能
4. 佛敎에서의 老人布敎의 意義

Ⅳ. 老人問題의 불교포교 방안
1. 寺刹의 자원활용 방안
1) 재정적인 자원
2) 인적자원
3) 시설자원
4) 조직자원
2. 寺刹內의 포교방안
1) 老年部의 구성
(1) 신행방법에 따른 자조집단
(2) 혼합형 포교방안 마련
2) 老人相談所 운영
3) 老人能力 은행의 설치
4) 寺刹의 ꡐ인타라망ꡑ지원체계
5) 미타회 조직과 교육
3. 寺刹外의 포교방안
1) 은중회 조직
2) 敬老堂과의 유대
3) 老人學校 運營

Ⅴ. 나오는 말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
남아 있는 家族들은 臨終하는 사람을 위해 經을 讀誦하고 부처님 名號를 부르는 것 外에 깃발을 달고 등불을 밝히며, 佛像과 성상에 供養하기를 권하고 있으며, 죽은지 四十九日안에 다시 여러 가지 功德을 지어주면 亡人 뿐 아니라 살아있는 家族들도 한량없는 福을 받을 수 있다고 밝히고 있으며, 그 外에 遺族들이 하지 말아야 할 것으로 殺生하지 말 것과, 鬼神에게 祭祀지내지 말 것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이런 彌陀會 모임을 통해서 身病으로 인해 통행이 불편한 老人들을 돌봐드리고, 그 外에도 모든 생활사의 問題에 어려움이 없도록 相談해 드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사후 문제까지도 일임하고 便安하게 臨終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3. 寺刹外의 포교방안
寺刹밖에서 할 수 있는 布敎方案이란 寺刹과 地域社會와의 연대를 통해서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信仰的인 면에 너무 치우치기보다는 일반적인 형태에 신앙적 요소를 첨부하는 形式으로 운영하는 것이 타당하다.
1) 은중회 조직
‘恩重會’라는 것은 《부모은중경》의 약자로 父母의 恩惠를 알아서 부모님께 孝誠을 다하자는 뜻으로, 父母를 모시고 살아가고 있는 子女들을 대상으로 모임을 만들자는 것이다. 《불설부모은난보경》 大正藏 16, 778 c ~779 a.
에는 “오른쪽 어깨에 아버지를 얹고 왼쪽어깨에 어머니를 얹고 천년을 지내도 그 은혜를 갚기 어렵다.”고 父母의 恩惠가 至重함을 강조하고 있다.
아내를 얻으면 아내하고만 얘기를 하고 父母는 탐탁히 여기지 않으며, 父母가 老齡이 되면 子息에게 依支하기를 원하는데도 인사 한 번 제대로 하지 않고, 또 父母 가운데 어느 한 분이 먼저 돌아가 외로이 지내더라도 旅館에 묵고 있는 손님 대하듯 恩惠의 정이나 談笑의 즐거움을 주지 않는다.
고 설법자료집편찬위원회,『설법자료집』대한불교진흥원, 1991, p.128.
하는 《부모은중경》의 이 말씀은 비단 그 옛날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오늘날 老人들의 實態를 잘 대변해 주고 있다. 이 外에도 父母의 恩惠를 강조하고 있는 經典은《우란분경》, 《효자경》등을 包含해 佛典 곳곳에서 부처님께서는 부모님의 恩惠가 重함을 알아서 지극정성으로 奉養하라고 가르치고 계신다.
《심지관경》 心地觀經 卷2, 報恩品(大正藏 3, 297 a-c).
世出世恩有其四種. 一父母恩. 二衆生恩. 三國王恩. 四三寶恩. 如是四恩.一切衆生平等荷負. 善男子. 父母恩者. 父有慈恩. 母有悲恩.
에서는 世間과 出世間에는 四種의 恩惠가 있으니, 첫째는 父母의 恩惠요. 둘째는 衆生의 恩惠요. 셋째는 國王의 恩惠요. 넷째는 三寶(佛, 法, 僧)의 恩惠인데 그 가운데서도 父母의 恩惠가 제일이라고 말씀하셨다. 그러므로 부모님을 모시고 살면서 奉養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眞理를 實踐하고 있는 사람들이라고 할 수 있다.
《선생경》 長阿含經 卷 22, 第16 善生經 (大正藏 1, 71 c).
에서는 父母를 敬順하는데 다섯가지가 있는데, ① 능히 奉養의 모자람이 없게 하고, ② 自己의 할 바를 먼저 부모님께 여쭈며, ③ 父母의 하시는 바에 恭順하여 어기지 말고, ④ 父母의 命令하시는 바에 감히 어기지 말며, ⑤ 父母의 하시는 定業을 끊지 않게 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러한 《善生經》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하여, 恩重會의 會員들은 자주 모임을 갖고, 各自가 모시고 살면서 터득한 方法을 서로 交換하고, 看病을 하면서 發見되는 特色과 反應, 處置 等等의 상식적인 것을 서로 알려주는 반면에, 親睦도 도모하면서 더 나아가 부처님의 말씀을 實行에 옮기는 眞理의 實踐者로서의 役割을 다하도록 힘쓰는 것이다.
2) 敬老堂과의 유대
우리 나라 老人들은 特別한 餘暇를 즐기지 않고, 주로 텔레비전이나 라디오를 시청하며 소일하거나 별로 할 일이 없이 집에서 무료하게 나날을 보내는 32.4%의 老人은 여가 자체가 하나의 苦痛꺼리가 되고 있다. 대부분의 老人들은 시간적 여유가 있을 때 利用하는 곳은 男子의 경우 복덕방이 25%였고, 女子의 경우는 敬老堂 45%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배우자별에 있어서는 배우자가 있는 경우에도 敬老堂 利用이 46%로 가장 높았으며 配偶者가 없는 경우도 敬老堂 利用이 50%였으며, 가족관계별에 있어서도 敬老堂 利用이 가장 높았고, 용돈관계별에 있어서도 敬老堂 利用이 가장 높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임춘식, 전게서., p.147.
老人들이 敬老堂 이용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것은 그만큼 敬老堂에서 老人들이 여가활동을 보낸다는 것이다. 地域社會에서 宗敎界의 役割이 어느 때 보다도 要求되고 있는 時期에 敬老堂과의 유대관계를 지속적으로 맺으면서 老人들을 위한 서비스를 提供하는 것이다.
3) 老人學校 運營
老年期는 人間의 一生중 가장 무료한 時期이며, 變動에 대처하는 태도가 민첩하지 못하고 思考의 신축성도 굳어져 있는 時期이기 때문에, 現代와 같이 社會機能과 社會的 役割이 분업화되어 있는 상황속에서는 지각기능이 혼란되기 쉬운 것이다. 이와 같은 點에서 볼 때 老人의 학습문제는 平生敎育의 관점에서 부단히 强調되고 實行되어야 한다. 우리 나라의 老人敎育은 現在 老人들이 당면하고 있는 問題, 즉 ① 가부장으로서의 地位와 경제권의 喪失, ② 子女들의 老父母 부양의식의 減退, ③ 고부간의 갈등에서 오는 精神的 苦痛의 增加, ④ 수명연장과 역할상실에서 오는 여가·고독·소외감 등등의 제반사항을 해결하는 데에 그 촛점을 두어야 한다. 임춘식,전게서, p.107.
또, 老人敎育은 개개 老人들로 하여금 지속적으로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知識, 機能 및 態度를 개발하도록 지도하는 과정이기도 하며, 전정태,「평생교육적 노인교육」『한국노년학 연구』한국노년학연구회, 1993, p.3.
現代 社會에서 제기되는 문제점들을 老人들 自身이 어떻게 對處해 나갈 것인가를 敎育을 통하여 스스로 터득케 해주어 다가오는 老年期에 잘 적응하도록 해야한다.
老人敎育은 일반교육과는 그 特性을 달리해야 한다. 김종서 김종서, 『학교와 지역사회』익문사, 1973, pp.34-36.
는 老人敎育의 原理를 아홉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老人敎育은 강압적, 타율적이 아닌 老人들의 흥미에 입각한 自發性에 基礎를 두어야 한다(自發性의 原理).
  • 가격3,000
  • 페이지수40페이지
  • 등록일2005.09.01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14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