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지구화 시대
Ⅲ. 민족국가의 성립과정
Ⅳ. 민족국가는 유지될 것인가
ⅴ. 마치며
Ⅱ. 지구화 시대
Ⅲ. 민족국가의 성립과정
Ⅳ. 민족국가는 유지될 것인가
ⅴ. 마치며
본문내용
에 편입될 것이라보 내다본다. 물론 경제적인 측면에서 대부분의 국가들이 세계 자본주의 질서를 따라가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특히 이들 국가에서 경제활동은 \'자본의 섹계화\'에서 말하는 것보다 훨씬 더 강하게 여전히 국민경제에 맞추어져 있다. 또한 이들 나라 간의 혹은 이들 나라와 서구사회 간의 화폐 및 상품의 국제적 거래량의 증대는, 전지국적 경제 활동의 결과가 아니라 불변의 국민경제의 상호유착의 증대를 표현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덧붙여 이들 나라 뿐 아니라 전 세계적 차원에서, 국제경제활동의 증가의 대부분은 뚜렷이 구분되고 더욱 폐쇄적인 경제블록의 형성에 비롯되는 것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싶다.
이러한 점들로 보았을 때 이 지역에서는 제국주의적 세력팽창을 시도하려는 여러 세력들이 충돌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중국은 자본주의적 경제 발전을 토대로, 세계 질서에의 편입이 아닌 세계 질서를 주도하려는 중심 세력으로 등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일본 역시 미국을 등에 엎고 이 지역에서 세력을 확장하기 위해 과거의 군국주의적 성격을 다시 드러내고 있다. 또한 미국은 자국의 이익을 위해 다방면으로 이 지역의 국가들에 개입하고 있고 이러한 미국의 개입 속에서 한반도는 민족통일이라는 과제를 안고 나아갈 진로를 모색하고 있다.
동북아시아의 정세를 모두 드러내기에는 부족하지만 이러한 상황들을 종합했을 때, 이들 지역에서의 민족국가는 앞으로도 그 위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은 민족분쟁, 종교분쟁이 계속되는 동유럽, 중동아시아, 아프리카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ⅴ. 마치며
이상으로, 자본의 세계화와 그에 따른 현재 진행되는 국경없는 세계사회 성립의 진행 양상을 살펴보고, 그에 따라 민족국가의 위상은 어떻게 변할 것인가에 대해 대략적으로나마 살펴보았다.
요약하자면, \'자본이 국경을 넘어 전 세계로 그 이동 범위를 확대하면서 이윤추구에 열을 올리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러한 이윤추구를 가능하게 하는 정치적, 제도적, 문화적 합의를 만들어내는 기능을 하는 민족국가는 계속해서 그 위상을 확보해 갈 것이고, 자기 정체성을 확보해가려는 인간의 노력에 의해 민족국가는 각 국가마다의 국가형태는 다를지라도, 국가 성원들을 규정하는 역할을 계속할 것이다.\' 정도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이 글에는 바람직한 세계사회의 모습에 대한 논의는 빠져있다. 다만 하나의 유력한 정치체제로서의 민족국가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었다. 이러한 민족국가들이 어떤 관계를 맺어 바람직한 세계사회의 모습을 만들어 갈 것인가는 필자의 또 하나의 고민거리이다.
참고 문헌
·『민족은 사라지지 않는다』,송두율, 서울: 한겨레 신문사, 2000.
·『현대자본주의와 민족문제』, 알렉스 캘리니코스·크리스 하먼·나이젤 해리스, 배일룡 편역, 서울: 갈무리, 1994.
·『국가란 무엇인가-자본주의와 그 국가이론』, 임영일·이성형 편역, 서울: 까치, 1985.
·『민족국가와 暴力』, 앤써니 기든스, 진덕규 옮김, 서울: 삼지원, 1991.
이러한 점들로 보았을 때 이 지역에서는 제국주의적 세력팽창을 시도하려는 여러 세력들이 충돌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중국은 자본주의적 경제 발전을 토대로, 세계 질서에의 편입이 아닌 세계 질서를 주도하려는 중심 세력으로 등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일본 역시 미국을 등에 엎고 이 지역에서 세력을 확장하기 위해 과거의 군국주의적 성격을 다시 드러내고 있다. 또한 미국은 자국의 이익을 위해 다방면으로 이 지역의 국가들에 개입하고 있고 이러한 미국의 개입 속에서 한반도는 민족통일이라는 과제를 안고 나아갈 진로를 모색하고 있다.
동북아시아의 정세를 모두 드러내기에는 부족하지만 이러한 상황들을 종합했을 때, 이들 지역에서의 민족국가는 앞으로도 그 위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은 민족분쟁, 종교분쟁이 계속되는 동유럽, 중동아시아, 아프리카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ⅴ. 마치며
이상으로, 자본의 세계화와 그에 따른 현재 진행되는 국경없는 세계사회 성립의 진행 양상을 살펴보고, 그에 따라 민족국가의 위상은 어떻게 변할 것인가에 대해 대략적으로나마 살펴보았다.
요약하자면, \'자본이 국경을 넘어 전 세계로 그 이동 범위를 확대하면서 이윤추구에 열을 올리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러한 이윤추구를 가능하게 하는 정치적, 제도적, 문화적 합의를 만들어내는 기능을 하는 민족국가는 계속해서 그 위상을 확보해 갈 것이고, 자기 정체성을 확보해가려는 인간의 노력에 의해 민족국가는 각 국가마다의 국가형태는 다를지라도, 국가 성원들을 규정하는 역할을 계속할 것이다.\' 정도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이 글에는 바람직한 세계사회의 모습에 대한 논의는 빠져있다. 다만 하나의 유력한 정치체제로서의 민족국가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었다. 이러한 민족국가들이 어떤 관계를 맺어 바람직한 세계사회의 모습을 만들어 갈 것인가는 필자의 또 하나의 고민거리이다.
참고 문헌
·『민족은 사라지지 않는다』,송두율, 서울: 한겨레 신문사, 2000.
·『현대자본주의와 민족문제』, 알렉스 캘리니코스·크리스 하먼·나이젤 해리스, 배일룡 편역, 서울: 갈무리, 1994.
·『국가란 무엇인가-자본주의와 그 국가이론』, 임영일·이성형 편역, 서울: 까치, 1985.
·『민족국가와 暴力』, 앤써니 기든스, 진덕규 옮김, 서울: 삼지원, 1991.
추천자료
[과외]1-09 국가와 민족 01
[과외]중학 1-09 국가와 민족 02
[과외]중학 1-09 국가와 민족 03
[가치관][가치갈등]가치관이란, 가치 갈등, 가치관의 기능, 가치관 차이의 발생 원인, 신세대...
우리민족의 원시부족국가 형성과 그 생산력에관한 연구
거버넌스와 시민사회) 거버넌스의 의미와 세계화, 민주화, 분권화 및 국가 거버넌스의 분산
조선시대 식문화의 변천사 - 주변민족 국가와의 식문화를 비교해보고, 당시 주요 작물이었던 ...
[독서감상문(한국사)] 거꾸로 보는 고대사 - 민족과 국가의 경계 너머 한반도 고대사 이야기 ...
한국의 건국신화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고 이를 다른 민족이나 국가의 건국신화 하나와 비교...
[구비문학의세계] 고조선, 고구려, 신라, 가야, 탐라 등 한국의 건국신화 가운데 하나를선택...
「중국 탈서구중심주의 담론의 아포리아_20세기 국민국가와 중화민족 이데올로기의 이중성」...
(영어권국가의 이해 A형)Brexit와 스코틀랜드 민족주의(the Scottish Nationalism)
영어권국가의 이해 A형 Brexit와 스코틀랜드의 민족주의(Scottish Nationalis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