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감상문(한국사)] 거꾸로 보는 고대사 - 민족과 국가의 경계 너머 한반도 고대사 이야기 _ 박노자 저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독서감상문(한국사)] 거꾸로 보는 고대사 - 민족과 국가의 경계 너머 한반도 고대사 이야기 _ 박노자 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독서포인트
2. 지은이
3. 감상문

본문내용

이 가능했다.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를 속국으로 왜곡한 것을 보면 역사 왜곡은 일본의 민족성이 아닌가하는 의심마저 생각하게 한다.
본인이 생각했던 고대사의 ‘거꾸로’의 핵심은 아마도 일본이라고 생각한다. 지은이는 민족과 국가를 넘어 고대사를 말하고 싶어 했다. 이를 넘어서 고대사를 바라보니 일본이 보였고 분명 일본은 우리 고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근대사의 아픔으로 인하여 ‘제대로’는 일본을 볼 수 없었기에 외국인의 눈으로, 그것도 ‘거꾸로’ 볼 수밖에 없는 현실이 더욱 안타깝게만 느껴진다. 근대의 치욕 속에서 멈추어있는 우리의 역사를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우리는 ‘거꾸로’ 찾아낸 고대사를 ‘제대로’ 만들어 후세에는 올바른 역사를 전해줄 수 있기를 바래본다. <끝>
  • 가격1,3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4.09.07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63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