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프트볼의 역사 -----------------------------------------1
2. 소프트볼의 특징 ------------------------------------------2
3. 경기 규칙 -----------------------------------------------4
4. 타격(Batting) ----------------------------------------7
5. 포구와 송구(Catchball) -------------------------------9
6. 경 기 장 ---------------------------------------------10
2. 소프트볼의 특징 ------------------------------------------2
3. 경기 규칙 -----------------------------------------------4
4. 타격(Batting) ----------------------------------------7
5. 포구와 송구(Catchball) -------------------------------9
6. 경 기 장 ---------------------------------------------10
본문내용
따라
미디엄 그립(Medium grip) : 중간을 잡는 일반적인 그립. 실전에 적합하다.
쵸크 그립(Choke grip) : 배트의 끝을 많이 남기는 방법.
정확하게 마치기 쉬움. 단타법(짧게 치는 것)에 적당함.
롱 그립(Long grip) : 배트의 맨 끝을 잡는 방법.
팔의 힘이 강하고 강타자·장타자에 적합한 그립
스탠스(Stance)
볼을 잘 맞추려면 몸의 힘을 빼고, 무릎과 허리를 가볍게 구부리고, 머리와 눈은 투수에게로 향하고는 오른손잡이면 왼쪽 팔꿈치를 몸에 붙이고, 배트를 어깨에 메지 않도록 자세를 취함.
보통은 두 발을 타자석(batter box)의 긴 변과 나란히 하게 놓고, 오른손잡이면 왼쪽 발끝을 다소 투수 쪽으로 내밀고 오른쪽 발은 긴 변에 대해서 직각이 되도록 한다.
몸무게의 중심은 두 발의 중간에 놓고, 두 발 사이의 간격은 어깨 넓이보다 약간 넓게 잡음.
스퀘어 스탠스 : 타석의 기본. 양발이 평행이 되도록.
크로스 스탠스 : 앞발을 홈플레이트에 가까이 둔다. 아웃코스 유리/인코스에 불리함.
오픈 스탠스 : 앞발을 뒷발보다 홈플레이트에서 멀리 둔다. 인코스 유리/아웃코스 불리함.
스트라이드(Stride) & 스텝(Step)
스텝은 강하고 리듬 있는 스윙을 하기 위해서 중요한 것. 모든 타자가 일정하게 스텝을 밟지 않으며 자신에 맞는 스텝이 있다.(노스텝으로 치는 타자도 있음.)
초보자는 그 크기나 방향이 자신에게 맞추기 어렵기 때문에, 처음의 준비 자세에서 벌린 발을 넓게 잡고는 조금만 투수를 향해 똑바로 내디디며 스윙
스윙(Swing)
배팅의 기본은 레벨 스윙(Level swing) 이다. 배트가 볼에 대해 최단 거리를 통과 하는 원운동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체의 흔들림을 적게 하여 볼에서부터 시선을 떼어서는 안 된다. 강하고 순간적으로 빠른 스윙을 하기 위해서는 몸 전체의 탄력, 허리의 호전, 체중이동, 손목 롤링(Rolling)이 포인트이다.
스윙의 종류에는 레벨 스윙(Level swing), 업스윙(Up swing), 다운스윙(Down swing) 있다.
타격 연습(Batting)
Toss Batting(토스 배팅) : 2~3인 1조로 정확히 맞추는 연습(보통15회 2set).
T-Batting(티 배팅) : 2인 1조로 강한 타격을 위한 연습(1회 연습시 50~100개).
Free Batting(프리 배팅) : 실제 운동장(Field)으로 치는 연습(팀 인원수에 따라)
Regular Batting(레귤러 배팅) : 실제 경기처럼 투수가 던지는 볼을 치는 연습.
포구와 송구(Catchball)
1. 준비자세
소프트볼은 볼을 주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프트볼 수비에서는 투수가 볼을 갖고 타자에게 투구할 때까지 볼이나 타자를 분명하게 눈으로 보아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서 맞는 순간에 빨리 반응하여 수비태세를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포구자세
안정된 자세에서 민첩하게 움직이고, 볼을 몸 정변에서 포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면에서의 포구는 양손으로 볼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포구할 수 있게 해준다. 한 손으로 잡는 것은, 최후 순간의 수단임을 명심해 두기 바란다.
3. 그라운드 볼의 포구자세
그라운드 볼에 대해서 글로브는 반드시 볼보다 낮은 위치에서 자세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글로브를 밑에서 위로 움직이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연습이나 시합에서 그라운드 볼을 잡으려 하다가 빠뜨리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는데, 이것은 허리가 높고, 글로브를 위에서 아래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4. 플라이 볼의 포구자세
플라이 포구에서는 볼의 낙하지점까지 빠르게 움직여서 여유를 갖고 양손으로 꼭 잡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최초의 일보(一步)가 중요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본자세에서 타구의 방향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재빠르게 스타트해야 한다. 스타트에 의해 ‘포구가 가능한가! 아닌가!’ 가 결정되어진다는 것을 잊지 말도록 해야 한다.
5. 포구의 요령
소프트볼에서 “볼을 잡는다!”라는 것은 그것을 어디로 던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루간이 짧은 소프트볼에서는 아웃인가 세이프인가는 정말 순간의 차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므로 포구/송구는 각각 나눠서 생각할 수 없는 것이다.
6. 송구의 자세
왼발은 송구방향에 대해 직각이어야 한다. 그리고 송구하는 것과 동시에 손끝이 송구방향으로 향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내딛는 발이 지면에 닿으면, 오른발에서 왼발로 부드럽게 체중을 이동시켜야 한다.
경 기 장
1. 루간 거리 : 18.29m(60피트)
2. 투구거리 : a. 여성(성인) - 13.11m(43ft), 여성(19세 이하) - 12.19m(40ft)
b. 남성 - 14.02m(46ft)
3. 홈런거리 : a. 여자 빠른 투구 - 67.06m(220ft)
b. 남자 빠른 투구 - 76.20m(250ft)
4. 파울지역 : 파울선과 경기장 경계선 및 본루와 뒤 정지 벽 사이의
폭은 7.62m(25피트)이상 9.14m(30피트) 이하이다.
5. 투수지역 : 투수판을 중심으로 직경 4.88m(16피트), 반경 2.44m(8피트)의 원으로
투수지역을 구성한다.
6. 1m 지역 : 1m(3피트)지역은 1루 파울선과 평행으로 0.91m(3피트) 떨어뜨려
본루와 1루의 중간 지점에서 시작하여 1루까지 그린다.
7. 루 (Base . 壘)
루는 본루를 제외하고 올이 굵은 헝겊이나 기타 적당한 재질로 한 변이 38.1㎝(15인치)인 정사각형으로, 두께는 12.7㎝(5인치)를 초과할 수 없다.
루는 정규의 위치에 안전하게 고정시켜야 한다.
안전루는 1루에서 선택적으로 사용 한다 - 올이 굵은 헝겊이나 기타 적당한 재질로 가로 38.1㎝, 세로 79.2㎝(15인치×30인치)이며 두께는 12.7㎝(5인치)를 초과할 수 없으며, 서로 대조되는 색깔로 반은 페어지역에 나머지는 파울지역에 단단히 고정한다.
8. 타자석과 포수석 : [그림 2] 참조
9. 코치석 : [그림 1] 참조
10. 다음타자석 : [그림 1] 참조
[그림 1] 소프트볼 구장 (내야)
[그림 2] 소프트볼 타자석과 포수석 및 투수판과 베이스
미디엄 그립(Medium grip) : 중간을 잡는 일반적인 그립. 실전에 적합하다.
쵸크 그립(Choke grip) : 배트의 끝을 많이 남기는 방법.
정확하게 마치기 쉬움. 단타법(짧게 치는 것)에 적당함.
롱 그립(Long grip) : 배트의 맨 끝을 잡는 방법.
팔의 힘이 강하고 강타자·장타자에 적합한 그립
스탠스(Stance)
볼을 잘 맞추려면 몸의 힘을 빼고, 무릎과 허리를 가볍게 구부리고, 머리와 눈은 투수에게로 향하고는 오른손잡이면 왼쪽 팔꿈치를 몸에 붙이고, 배트를 어깨에 메지 않도록 자세를 취함.
보통은 두 발을 타자석(batter box)의 긴 변과 나란히 하게 놓고, 오른손잡이면 왼쪽 발끝을 다소 투수 쪽으로 내밀고 오른쪽 발은 긴 변에 대해서 직각이 되도록 한다.
몸무게의 중심은 두 발의 중간에 놓고, 두 발 사이의 간격은 어깨 넓이보다 약간 넓게 잡음.
스퀘어 스탠스 : 타석의 기본. 양발이 평행이 되도록.
크로스 스탠스 : 앞발을 홈플레이트에 가까이 둔다. 아웃코스 유리/인코스에 불리함.
오픈 스탠스 : 앞발을 뒷발보다 홈플레이트에서 멀리 둔다. 인코스 유리/아웃코스 불리함.
스트라이드(Stride) & 스텝(Step)
스텝은 강하고 리듬 있는 스윙을 하기 위해서 중요한 것. 모든 타자가 일정하게 스텝을 밟지 않으며 자신에 맞는 스텝이 있다.(노스텝으로 치는 타자도 있음.)
초보자는 그 크기나 방향이 자신에게 맞추기 어렵기 때문에, 처음의 준비 자세에서 벌린 발을 넓게 잡고는 조금만 투수를 향해 똑바로 내디디며 스윙
스윙(Swing)
배팅의 기본은 레벨 스윙(Level swing) 이다. 배트가 볼에 대해 최단 거리를 통과 하는 원운동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체의 흔들림을 적게 하여 볼에서부터 시선을 떼어서는 안 된다. 강하고 순간적으로 빠른 스윙을 하기 위해서는 몸 전체의 탄력, 허리의 호전, 체중이동, 손목 롤링(Rolling)이 포인트이다.
스윙의 종류에는 레벨 스윙(Level swing), 업스윙(Up swing), 다운스윙(Down swing) 있다.
타격 연습(Batting)
Toss Batting(토스 배팅) : 2~3인 1조로 정확히 맞추는 연습(보통15회 2set).
T-Batting(티 배팅) : 2인 1조로 강한 타격을 위한 연습(1회 연습시 50~100개).
Free Batting(프리 배팅) : 실제 운동장(Field)으로 치는 연습(팀 인원수에 따라)
Regular Batting(레귤러 배팅) : 실제 경기처럼 투수가 던지는 볼을 치는 연습.
포구와 송구(Catchball)
1. 준비자세
소프트볼은 볼을 주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프트볼 수비에서는 투수가 볼을 갖고 타자에게 투구할 때까지 볼이나 타자를 분명하게 눈으로 보아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서 맞는 순간에 빨리 반응하여 수비태세를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포구자세
안정된 자세에서 민첩하게 움직이고, 볼을 몸 정변에서 포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면에서의 포구는 양손으로 볼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포구할 수 있게 해준다. 한 손으로 잡는 것은, 최후 순간의 수단임을 명심해 두기 바란다.
3. 그라운드 볼의 포구자세
그라운드 볼에 대해서 글로브는 반드시 볼보다 낮은 위치에서 자세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글로브를 밑에서 위로 움직이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연습이나 시합에서 그라운드 볼을 잡으려 하다가 빠뜨리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는데, 이것은 허리가 높고, 글로브를 위에서 아래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4. 플라이 볼의 포구자세
플라이 포구에서는 볼의 낙하지점까지 빠르게 움직여서 여유를 갖고 양손으로 꼭 잡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최초의 일보(一步)가 중요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본자세에서 타구의 방향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재빠르게 스타트해야 한다. 스타트에 의해 ‘포구가 가능한가! 아닌가!’ 가 결정되어진다는 것을 잊지 말도록 해야 한다.
5. 포구의 요령
소프트볼에서 “볼을 잡는다!”라는 것은 그것을 어디로 던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루간이 짧은 소프트볼에서는 아웃인가 세이프인가는 정말 순간의 차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므로 포구/송구는 각각 나눠서 생각할 수 없는 것이다.
6. 송구의 자세
왼발은 송구방향에 대해 직각이어야 한다. 그리고 송구하는 것과 동시에 손끝이 송구방향으로 향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내딛는 발이 지면에 닿으면, 오른발에서 왼발로 부드럽게 체중을 이동시켜야 한다.
경 기 장
1. 루간 거리 : 18.29m(60피트)
2. 투구거리 : a. 여성(성인) - 13.11m(43ft), 여성(19세 이하) - 12.19m(40ft)
b. 남성 - 14.02m(46ft)
3. 홈런거리 : a. 여자 빠른 투구 - 67.06m(220ft)
b. 남자 빠른 투구 - 76.20m(250ft)
4. 파울지역 : 파울선과 경기장 경계선 및 본루와 뒤 정지 벽 사이의
폭은 7.62m(25피트)이상 9.14m(30피트) 이하이다.
5. 투수지역 : 투수판을 중심으로 직경 4.88m(16피트), 반경 2.44m(8피트)의 원으로
투수지역을 구성한다.
6. 1m 지역 : 1m(3피트)지역은 1루 파울선과 평행으로 0.91m(3피트) 떨어뜨려
본루와 1루의 중간 지점에서 시작하여 1루까지 그린다.
7. 루 (Base . 壘)
루는 본루를 제외하고 올이 굵은 헝겊이나 기타 적당한 재질로 한 변이 38.1㎝(15인치)인 정사각형으로, 두께는 12.7㎝(5인치)를 초과할 수 없다.
루는 정규의 위치에 안전하게 고정시켜야 한다.
안전루는 1루에서 선택적으로 사용 한다 - 올이 굵은 헝겊이나 기타 적당한 재질로 가로 38.1㎝, 세로 79.2㎝(15인치×30인치)이며 두께는 12.7㎝(5인치)를 초과할 수 없으며, 서로 대조되는 색깔로 반은 페어지역에 나머지는 파울지역에 단단히 고정한다.
8. 타자석과 포수석 : [그림 2] 참조
9. 코치석 : [그림 1] 참조
10. 다음타자석 : [그림 1] 참조
[그림 1] 소프트볼 구장 (내야)
[그림 2] 소프트볼 타자석과 포수석 및 투수판과 베이스
추천자료
[비만]비만에 관한 분석 고찰(비만의 정의, 비만의 원인, 만병의 근원, 비만의 치료, 비만과 ...
[여성단체][여성노동자][여성노동자 성차별][여성노동운동]여성단체의 변화, 여성노동자의 성...
[감리교회][신앙][신학][선교][청년운동][의료사업]감리교회의 유래, 감리교회의 신앙, 감리...
[교육정보화][통합규격안][교육정보화운동][교사역할]교육정보화의 개념, 교육정보화의 현황,...
[유아기][유아기 건강][전인발달][운동발달][유아기 건강 관리]유아기의 발달특징, 유아기의 ...
[여성단체][여성정책][여성민우회][정보사회][여성단체운동]여성단체와 여성정책, 여성단체와...
[상점, 상점과 과학상점, 상점과 인터넷상점, 상점과 윈도우디스플레이, 상점과 1점포일품운...
[일본도서관, 도서관, 도서관학, 디지털도서관, 독서운동, 평생교육, 연구개발]일본도서관과 ...
[한국근현대사]한국근현대사와 운요호사건, 강화도조약, 한국근현대사와 임오군란, 개항기, ...
[남북화해시대][대북인식][통일의식][통일운동][언론][방송저널리즘]남북화해시대의 대북인식...
[생산직 여성][생산직][여성][직무스트레스][노동자운동][노동자]생산직 여성의 특징, 생산직...
[영유아嬰乳兒발달] 신생아 검사와 반사 및 영아기 이동운동 기능의 발달과 운동발...
[2017년 생활과건강] 1) 당뇨의 합병증을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 당뇨 합병증 급성 만성 2)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