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악기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시대의 악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향악기

2. 당악기

3. 대성아악기

4. 고려전후기의 변화

5. 고려시대 향,당,아악기와 조선시대 악학궤범의 향,당,아악기

본문내용

(어)
헌가악기(20종)
編鐘(편종), 編磬(편경), 琴(금, 一絃, 三絃, 五絃, 七絃, 九絃), 슬(瑟), (지), 笛(적), 簫(소), 巢笙(소생), 和笙(화생), 笙(우생), 壎(훈), 搏(박부), (축), (어), 晋鼓(진고), 立鼓(입고)
특종, 특경, 편종, 편경, 건고, 삭고, 응고, 뇌고, 영고, 노고, 뇌도, 영도, 노도, 도, 절고, 진고, 축, 어, 관, 약, 화, 생, 우, 소, 적, 부, 훈, 지, 슬, 금, 둑, 정, 휘, 조촉, 순, 탁, 요, 탁, 응, 아, 아, 상, 독, 적·약, 간·척
※ 참고문헌
장사훈, 「한국악기의 변천」, 『민족음악 제2집』, 동양음악연구소, 1978
송방송, 『한국음악통사』, 일조각, 1984
이혜구 역주, 『신역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 가격8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5.09.09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20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