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유아교사 자격기준
1.교원의 임용
1) 유치원 교사의 자격기준
2)보육 시설 종사자의 자격
3) 유치원교사의 자격연수
① 유치원 교사연수의 종류
4) 임용자격 인정
5)임용의 결격 사유 6)현황
7) 개선방안
Ⅱ.유아교사 양성 유형 및 역사
1. 해방 전 유아교사 양성교육의 역사 및 제도
1) 유치원 사범과의 창설
2) 보육학교의 설립
2. 해방 후 유아교사 양성교육의 역사 및 제도
1) 해방직전~1960년
2) 1970년대
3) 1980년대 이후
3. 교사양성 교육제도의 문제점
1) 해방 전 유아교사 양성제도의 문제점
2) 해방 후 유아교사 양성제도의 문제점
1.교원의 임용
1) 유치원 교사의 자격기준
2)보육 시설 종사자의 자격
3) 유치원교사의 자격연수
① 유치원 교사연수의 종류
4) 임용자격 인정
5)임용의 결격 사유 6)현황
7) 개선방안
Ⅱ.유아교사 양성 유형 및 역사
1. 해방 전 유아교사 양성교육의 역사 및 제도
1) 유치원 사범과의 창설
2) 보육학교의 설립
2. 해방 후 유아교사 양성교육의 역사 및 제도
1) 해방직전~1960년
2) 1970년대
3) 1980년대 이후
3. 교사양성 교육제도의 문제점
1) 해방 전 유아교사 양성제도의 문제점
2) 해방 후 유아교사 양성제도의 문제점
본문내용
4년제로, 교사양성기관의 측면에서 교육대학원, 유아교육학과, 아동학과, 교육대학, 방송통신대학, 전문대학 등으로 나누어져 있다. 그리고 이들 학교를 졸업만 하면 자질과는 관계없이 무시험 검정으로 이들에게 꼭같은 종류의 자격증이 주어지고 있는데 이는 유아교육의 중요성이나 유아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하루빨리 정비되어야 하는 문제이다.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크게 두 가지로 생각하여 볼 수 있다. 첫째는 다원화되어 있는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및 교수진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는 것이다.
미국의 경우도 유아교사가 양성되는 기간은 우리나라처럼 유아교육과, 초등교육과, 아동학과 등으로 다원화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대학의 ‘과’들은 주정부에서 발급하는 유아교사 양성을 위한 인가를 받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주정부의 인가와는 달리 유아교사를 양성하는 대학의 교육과정 및 교수진 등을 검토하여 유아교사 양성대학으로의 적합성을 승인해 주는 전문가 단체가 있어(NCATE:National Council for Accreditation of Teacher Education) 유아교사를 양성하는 기관의 교육내용과 교수진에 대한 자질을 관리하며, 나아가서는 이들 기관에서 배출되는 교사의 자질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인가는 교육부에서 주고 있으나, 구체적인 기준에 근거하여 관리하고 있지 않아 각 대학의 유아교사 양성 교육과정 및 내용에는 큰 차이가 있다. 결과적으로 이들 다양한 기관에서 배출되는 유아교사의 자질도 전혀 관리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유아교사를 양성하는 대학이나 대학원 등의 다양한 교사양성 교육과정의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이를 만족하는 프로그램에 한해서 유아교사를 양성하도록 하거나, 적어도 그러한 방향으로 유아교사 양성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유아교사를 양성하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의 방안은 다양한 유아교사 양성기관에서 배출되는 교사들에게 시험검정을 통해 자격증을 주는 것이다. 미국의 경우 대부분의 주에서 유아교사의 자격을 취득하려면 주정부에서 인가한 교사양성 교육과정을 이수한 후 주정부에서 관장하는 필답시험에 합격하여야 한다. 특히 펜실베이니아 주를 비롯한 17개 주에서는 필답고사와 더불어 유아교사 역할수행 시험에 합격하여야만이 유아교사 자격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유아교사 양성교육 과정을 이수한 자들에게 무시험 검정으로 똑같은 자격을 줌으로써 교사로서의 자질관리가 어려운 우리나라의 실정에서 이들에게 국가에서 관리하는 시험을 칠 수 있는 자격을 주고 그 시험에 합격한 자에 한하여 유아교사의 자격을 준다면 유아교사 양성 기관의 다양성은 인정하면서 유아교사의 자질을 관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물론 이 경우에는 단순한 필답시험을 통한자격증의 수여가 아니라 필답시험과 더불어 컴퓨터 시뮬레이션이나 비디오를 활용한 교사역할 수행시험 및 교생실습시의 관찰 등 실제로 교사의 자격을 측정해낼 수 있는 시험의 방법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4) 유아교사 양성의 수요와 공급이 조절되어야 한다.
1993년의 교육통계연보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국공사립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원장, 원감, 11급 정교사, 임시교사, 시간강사의 수가 22,140명이다. 이에 비해 전국에서 해마다 배출되고 있는 2급 정교사의 수는 거의 만명에 이르고 있다. 이처럼 전체 필요교원의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수만큼의 신임교원이 매년 배출된다는 것은 교사의 수급계획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교사가 양성되어온 제도적 문제점의 결과라 하겠다. 이 문제는 지역간 교사수급의 불균형, 유아교사 적체 및 실업증대, 교사의 대우하락, 취직경쟁, 교사봉급의 덤핑현상 등으로 이어져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질적 수준을 저하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교사수급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이렇게 남아도는 유아교사 자격소지자들을 최근 들어 취업모의 증가와 함께 급증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교사로 흡수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유아기의 발달적 특징으로 이 시기의 교육과 보육은 결코 분리될 수 없는 문제라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따라서 유아기 어린이의 탁아문제를 유아교육에서 분리시켜서 생각한다는 것은 상당히 위험한 일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유치원 교사나 어린이집 교사간에는 질적 수준에서 차이가 있어서는 안되며, 제도적으로도 분리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우리나라의 만 6세 미만의 취학전 유아들의 교육과 탁아는 그 장소가 유치원이든 어린이집이든 자격을 갖춘 교사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현재 유아교사 자격을 소지하고 있으며 유치원에 취직하지 못한 전문인력들이 이를 맡을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교육과 탁아를 함께 맡을 수 있는 자질을 갖추도록 유아교사들이 양성되어야 함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에서는 유아교사 자격을 갖춘 전문인력을 어린이집으로 흡수하려는 노력은 하지 않고 2년제 또는 4년제 대학에서의 유아교사 양성과정과는 별도로 보육교사 양성과정을 인정해 줌으로서 또 다른 교사수급 과잉현상을 유도하고 있다. 물론 이것이 하루아침에 개선될 수 있는 무제는 아니라 하더라도 정부와 사회에서 눈앞의 이익만 생각하지 말고,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한 교육과 탁아에 대해 진심으로 바르게 인식하고 이를 담당하는 교사의 역할을 바르게 이해한다면 점진적으로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강문옥 외 (2002). 21세기 유아교육 서울 : 학지사
나 정 (2001). 유아교육 정책 (어디로,어떻게 가야 하는가?) 서울 : 양서원
박은혜 외 (2002). 유아교사교육의 최근 연구 동향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이은화 (1995). 유아교사론 서울 : 양서원
임창대 (1998). 유아교육실습 서울 : 형설출판사
최미현 외 (2000). 영유아 보육의 이해 서울 : 창지사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2000). 유아교육 발전 방안 연구 서울 :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한국유아교육학회 (1999). 유아교육 백서 서울 : KDR한국사전연구사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크게 두 가지로 생각하여 볼 수 있다. 첫째는 다원화되어 있는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및 교수진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는 것이다.
미국의 경우도 유아교사가 양성되는 기간은 우리나라처럼 유아교육과, 초등교육과, 아동학과 등으로 다원화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대학의 ‘과’들은 주정부에서 발급하는 유아교사 양성을 위한 인가를 받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주정부의 인가와는 달리 유아교사를 양성하는 대학의 교육과정 및 교수진 등을 검토하여 유아교사 양성대학으로의 적합성을 승인해 주는 전문가 단체가 있어(NCATE:National Council for Accreditation of Teacher Education) 유아교사를 양성하는 기관의 교육내용과 교수진에 대한 자질을 관리하며, 나아가서는 이들 기관에서 배출되는 교사의 자질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인가는 교육부에서 주고 있으나, 구체적인 기준에 근거하여 관리하고 있지 않아 각 대학의 유아교사 양성 교육과정 및 내용에는 큰 차이가 있다. 결과적으로 이들 다양한 기관에서 배출되는 유아교사의 자질도 전혀 관리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유아교사를 양성하는 대학이나 대학원 등의 다양한 교사양성 교육과정의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이를 만족하는 프로그램에 한해서 유아교사를 양성하도록 하거나, 적어도 그러한 방향으로 유아교사 양성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유아교사를 양성하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의 방안은 다양한 유아교사 양성기관에서 배출되는 교사들에게 시험검정을 통해 자격증을 주는 것이다. 미국의 경우 대부분의 주에서 유아교사의 자격을 취득하려면 주정부에서 인가한 교사양성 교육과정을 이수한 후 주정부에서 관장하는 필답시험에 합격하여야 한다. 특히 펜실베이니아 주를 비롯한 17개 주에서는 필답고사와 더불어 유아교사 역할수행 시험에 합격하여야만이 유아교사 자격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유아교사 양성교육 과정을 이수한 자들에게 무시험 검정으로 똑같은 자격을 줌으로써 교사로서의 자질관리가 어려운 우리나라의 실정에서 이들에게 국가에서 관리하는 시험을 칠 수 있는 자격을 주고 그 시험에 합격한 자에 한하여 유아교사의 자격을 준다면 유아교사 양성 기관의 다양성은 인정하면서 유아교사의 자질을 관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물론 이 경우에는 단순한 필답시험을 통한자격증의 수여가 아니라 필답시험과 더불어 컴퓨터 시뮬레이션이나 비디오를 활용한 교사역할 수행시험 및 교생실습시의 관찰 등 실제로 교사의 자격을 측정해낼 수 있는 시험의 방법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4) 유아교사 양성의 수요와 공급이 조절되어야 한다.
1993년의 교육통계연보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국공사립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원장, 원감, 11급 정교사, 임시교사, 시간강사의 수가 22,140명이다. 이에 비해 전국에서 해마다 배출되고 있는 2급 정교사의 수는 거의 만명에 이르고 있다. 이처럼 전체 필요교원의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수만큼의 신임교원이 매년 배출된다는 것은 교사의 수급계획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교사가 양성되어온 제도적 문제점의 결과라 하겠다. 이 문제는 지역간 교사수급의 불균형, 유아교사 적체 및 실업증대, 교사의 대우하락, 취직경쟁, 교사봉급의 덤핑현상 등으로 이어져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질적 수준을 저하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교사수급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이렇게 남아도는 유아교사 자격소지자들을 최근 들어 취업모의 증가와 함께 급증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교사로 흡수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유아기의 발달적 특징으로 이 시기의 교육과 보육은 결코 분리될 수 없는 문제라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따라서 유아기 어린이의 탁아문제를 유아교육에서 분리시켜서 생각한다는 것은 상당히 위험한 일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유치원 교사나 어린이집 교사간에는 질적 수준에서 차이가 있어서는 안되며, 제도적으로도 분리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우리나라의 만 6세 미만의 취학전 유아들의 교육과 탁아는 그 장소가 유치원이든 어린이집이든 자격을 갖춘 교사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현재 유아교사 자격을 소지하고 있으며 유치원에 취직하지 못한 전문인력들이 이를 맡을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교육과 탁아를 함께 맡을 수 있는 자질을 갖추도록 유아교사들이 양성되어야 함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에서는 유아교사 자격을 갖춘 전문인력을 어린이집으로 흡수하려는 노력은 하지 않고 2년제 또는 4년제 대학에서의 유아교사 양성과정과는 별도로 보육교사 양성과정을 인정해 줌으로서 또 다른 교사수급 과잉현상을 유도하고 있다. 물론 이것이 하루아침에 개선될 수 있는 무제는 아니라 하더라도 정부와 사회에서 눈앞의 이익만 생각하지 말고,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한 교육과 탁아에 대해 진심으로 바르게 인식하고 이를 담당하는 교사의 역할을 바르게 이해한다면 점진적으로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강문옥 외 (2002). 21세기 유아교육 서울 : 학지사
나 정 (2001). 유아교육 정책 (어디로,어떻게 가야 하는가?) 서울 : 양서원
박은혜 외 (2002). 유아교사교육의 최근 연구 동향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이은화 (1995). 유아교사론 서울 : 양서원
임창대 (1998). 유아교육실습 서울 : 형설출판사
최미현 외 (2000). 영유아 보육의 이해 서울 : 창지사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2000). 유아교육 발전 방안 연구 서울 :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한국유아교육학회 (1999). 유아교육 백서 서울 : KDR한국사전연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