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언
재고의 요요현상
재고 빈혈
누구의 책임인가?
재고의 존재 이유
로트 대기로 인한 재고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재고
무재고와 적정 재고
수요 대응 vs. 역량 강화
재고는 죄가 없다
재고 : 시스템 효율성의 지표
재고의 요요현상
재고 빈혈
누구의 책임인가?
재고의 존재 이유
로트 대기로 인한 재고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재고
무재고와 적정 재고
수요 대응 vs. 역량 강화
재고는 죄가 없다
재고 : 시스템 효율성의 지표
본문내용
러나 앞서 말한 것과 같은 이유에서 JIT에서도 재고 발생의 여지는 있다. 단지 차이가 있다면 생산 능력이 강화되었기 때문에 재고의 규모가 매우 적은 수준으로 억제될 수 있다는 정도이다.
재고는 죄가 없다
무재고의 원조라는 토요타를 보기로 하자. 크게 보아 토요타는 표준품과 특별 주문품이라는 두가지의 제품 카테고리를 갖고 있다. 표준품이란 거의 모든 옵션이 결정되어 있는 것이고 특별 주문품이란 자동차의 사양을 고객이 선택하여 조립한 것을 말한다. 토요타는 표준품의 경우에는 즉납, 주문품의 경우에는 주문 10일 후에 납품을 원칙으로 한다. 10일이라는 것은 생산에 2일, 운송에 6일, 그리고 여유 기간 2일을 합하여 말하는 것이다. 표준품을 즉납할 수 있다는 것은 그 제품을 재고로 보유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그리고 주문품의 경우에도 단 이틀만에 철판에서 자동차가 만들어진다는 것은 절대로 아니다. 부품의 형태로 보유하고 있던 것을 조립하고 색칠하여 출고한다는 뜻이다. 짧은 리드 타임에 대응하기 위해 재공품을 선행 생산한 결과이다. 비록 압도적으로 소량의 재공 재고를 보유하고 있다고 해도 어찌 되었건 ‘원조’ 토요타도 재고를 가진다. 앞서 말한 모든 이유에서 선행 생산도 하고 생산 평준화도 한다. 재고는 기업활동의 윤활유와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간과해선 안될 점이 있다. 그것은 토요타는 강한 생산 역량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재고의 절대적, 상대적인 양이 매우 작다는 것이다.
재고 : 시스템 효율성의 지표
재고는 생산 시스템을 변혁시키기 위한 방아쇠 역할을 할 수 있다. 재고를 일단 줄여본다는 그것만으로도 시스템이 갖고 있는 문제가 들어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정도에서 멈추면 곤란하다. 재고는 엄격한 의미에서 시스템 개선의 수단이기보다는 시스템 효율성에 대한 지표이기 때문이다. 시스템이 개선되면 재고가 없어지는 것이지 재고를 줄인다고 시스템이 개선되는 것은 아니다. 눈에 보이는 결과만으로 모든 것을 판단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러한 결과를 가져온 근본적인 차이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선진 기업의 재고 수준이 낮다고 해서 재고 그 자체를 낮추어서 선진적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진정으로 바꾸고 싶다면 그러한 낮은 수준의 재고로도 훌륭하게 작용하는 시스템의 구조적 특징을 파악하고 우리의 시스템을 그렇게 바꾸어야 할 것이다. 그것이 바로 재고를 줄이는 방법이다.
재고는 죄가 없다
무재고의 원조라는 토요타를 보기로 하자. 크게 보아 토요타는 표준품과 특별 주문품이라는 두가지의 제품 카테고리를 갖고 있다. 표준품이란 거의 모든 옵션이 결정되어 있는 것이고 특별 주문품이란 자동차의 사양을 고객이 선택하여 조립한 것을 말한다. 토요타는 표준품의 경우에는 즉납, 주문품의 경우에는 주문 10일 후에 납품을 원칙으로 한다. 10일이라는 것은 생산에 2일, 운송에 6일, 그리고 여유 기간 2일을 합하여 말하는 것이다. 표준품을 즉납할 수 있다는 것은 그 제품을 재고로 보유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그리고 주문품의 경우에도 단 이틀만에 철판에서 자동차가 만들어진다는 것은 절대로 아니다. 부품의 형태로 보유하고 있던 것을 조립하고 색칠하여 출고한다는 뜻이다. 짧은 리드 타임에 대응하기 위해 재공품을 선행 생산한 결과이다. 비록 압도적으로 소량의 재공 재고를 보유하고 있다고 해도 어찌 되었건 ‘원조’ 토요타도 재고를 가진다. 앞서 말한 모든 이유에서 선행 생산도 하고 생산 평준화도 한다. 재고는 기업활동의 윤활유와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간과해선 안될 점이 있다. 그것은 토요타는 강한 생산 역량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재고의 절대적, 상대적인 양이 매우 작다는 것이다.
재고 : 시스템 효율성의 지표
재고는 생산 시스템을 변혁시키기 위한 방아쇠 역할을 할 수 있다. 재고를 일단 줄여본다는 그것만으로도 시스템이 갖고 있는 문제가 들어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정도에서 멈추면 곤란하다. 재고는 엄격한 의미에서 시스템 개선의 수단이기보다는 시스템 효율성에 대한 지표이기 때문이다. 시스템이 개선되면 재고가 없어지는 것이지 재고를 줄인다고 시스템이 개선되는 것은 아니다. 눈에 보이는 결과만으로 모든 것을 판단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러한 결과를 가져온 근본적인 차이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선진 기업의 재고 수준이 낮다고 해서 재고 그 자체를 낮추어서 선진적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진정으로 바꾸고 싶다면 그러한 낮은 수준의 재고로도 훌륭하게 작용하는 시스템의 구조적 특징을 파악하고 우리의 시스템을 그렇게 바꾸어야 할 것이다. 그것이 바로 재고를 줄이는 방법이다.
추천자료
서비스 운영관리
유아교육기관의 운영관리
보육시설 운영관리 12장
운영관리상 문제점 및 개선방안
유아교육기관의 운영관리 실태와 중요도 연구분석방법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유아교육기관의 지도성 (지도성의 특징, 유형, 지도성 발달, 지도성...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A형]국내외 유아교육기관의 역사를 설명하시오(국내 국외 유아교육기...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E형] 어린이집과 유치원 평가제를 비교하시오.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E형] 어린이집과 유치원 평가제를 비교하시오.
★ 호텔카지노운영관리 - 카지노 ( 미국의 카지노산업 )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B형] 유아교육기관의 실내외 환경 구성 원리를 설명하시오.(교육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