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1 연구 목적 및 방법
1.2 선행 연구 검토
2. 컴퓨터 통신 언어의 개념과 환경
2.1 컴퓨터 통신 언어의 개념
2.2 컴퓨터 통신 언어 환경
3. 컴퓨터 통신 대화의 구조적 특성
3.1 교환 구조
3.2 화제 구조
3.3 진행 구조
4. 컴퓨터 통신언어와 대면 대화와의 차이점
5. 결론
1.1 연구 목적 및 방법
1.2 선행 연구 검토
2. 컴퓨터 통신 언어의 개념과 환경
2.1 컴퓨터 통신 언어의 개념
2.2 컴퓨터 통신 언어 환경
3. 컴퓨터 통신 대화의 구조적 특성
3.1 교환 구조
3.2 화제 구조
3.3 진행 구조
4. 컴퓨터 통신언어와 대면 대화와의 차이점
5. 결론
본문내용
통신 대화는 대화자가 글자를 자판으로 입력한 후 {Enter}키를 치는 행위가 발화의 행위가 된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 대화에서는 한번 내뱉은 발화는 수정을 할 수가 없지만 통신 대화에서는 {Enter}키를 치기 전까지는 발화를 수정할 수 있다. 그러한 특성은 자신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때때로 발화 순서가 뒤바뀌어 대화가 지연되고 단절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컴퓨터 통신 대화에서의 대화의 지연과 단절은 이와 같은 서로의 상호작용, 즉 직접적인 발화 교환에서 발생하는 것 외에도 이중으로 발화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구조 자체의 특성에서도 찾을 수 있다.
3.1.1 이중구조
보통 컴퓨터 통신 대화방에서는 여러 사람이 대화를 나누고 있기 때문에 대화 도중 어느 특정한 사람에게만 얘기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귓속말’이라는 장치를 해 두고 있다. 이 ‘귓속말’이라는 장치는 단 둘이서만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장치이다. 이 장치를 통해 여러 사람들이 대화를 나누는 과정에서 따로 둘이서만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것이다. 대면대화에서의 귓속말은 다른 사람들이 귓속말을 하는 행위를 볼 수 있어서 대화 진행에 방해가 되므로 오래 지속할 수 없다. 하지만 컴퓨터 통신 대화에서의 ‘귓속말’은 다른 사람들이 귓속말을 하는 행위를 볼 수 없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행해질 수 있는 방법이다. ‘귓속말’은 모든 참여자들이 컴퓨터 화면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귓속말을 하고 있는 당사자들의 컴퓨터 화면에서만 둘만이 확인해 볼 수 있도록 대화 내용이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컴퓨터 통신 대화에서 ‘귓속말’은 대면 대화와는 달리 오랫동안 지속할 수 있으며, 여러 명의 대화 안에서 둘만의 새로운 형태의 대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컴퓨터 통신 대화방에서는 대화 참여자 모두에 의해 이루어지는 전체적인 교환 구조와 ‘귓속말’을 하는 두 사람만의 교환 구조가 같이 병행하게 되는 대화의 이중 구조가 나타나는 것이다. 이렇게 ‘귓속말’이라는 장치는 다자간의 대화 안에서 두 사람만이 또 다른 대화를 교환하는 이중 대화 형태의 의사소통 방식으로 컴퓨터 통신 대화에서 보이는 독특한 대화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통신 대화의 이중구조가 대화 상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 ING-2..: 개인적으론.................연화님껜 죄송하지만.......이쁜것도...예술적인것도..에로틱 도.....느낄수가 .....ㅠ.ㅠ
花樣年華(B.F.Club): ㅋㅋㅋㅋ
花樣年華(B.F.Club): 죄송할께 머가 있다구...
CynicalGuy-_-: (花樣年華(B.F.Club)에게 귓속말) 저사람 딴지 잘거네 ㅋㅋㅋㅋ
花樣年華(B.F.Club): 갠적인 차이인것들..
花樣年華(B.F.Club): ㅋㅋㅋㅋㅋㅋ
CynicalGuy-_-: (花樣年華(B.F.Club)에게 귓속말) 아님 아닌거지
花樣年華(B.F.Club): (CynicalGuy-_-에게 귓속말) 특이하자나요.. ㅡ.,ㅡ
팅커벨: 흐흐
花樣年華(B.F.Club): (CynicalGuy-_-에게 귓속말) 너무 특이하던데.. 별거 아닌거에 의 미 부여하궁..
CynicalGuy-_-: 사진이람
CynicalGuy-_-: 이정도는 되야;;;;
팅커벨: 울 아엔지님은 넘 맘이 ..
ING-2..: 근데...무슨..뜻일까요?..위에 사진.
ING-2..: ^^;;
(2) 花樣年華(B.F.Club): (아.. 오늘 죽여주게 삐리리하다.. 쩝... )
CynicalGuy-_-: ㅎㅎㅎㅎ
ING-2..: 삐리리.......무슨뜻인가요?...알려주세요..ㅠ.ㅠ
花樣年華(B.F.Club): 뜻없어요.. ㅡ.,ㅡ
CynicalGuy-_-: (花樣年華(B.F.Club)에게 귓속말) ㅋㅋㅋㅋ
CynicalGuy-_-: (花樣年華(B.F.Club)에게 귓속말) 미쳐요 ㅋㅋㅋ
花樣年華(B.F.Club): 걍.. 말하기 모호한 것을.. 삐리리... 머.. 삑~ 머 그렇게.. ㅋㅋ
ING-2..: ^^;;;
CynicalGuy-_-: (花樣年華(B.F.Club)에게 귓속말) 왜자꾸 연화님한테 그러나~
花樣年華(B.F.Club): (CynicalGuy-_-에게 귓속말) 왜요? ㅡㅡ;
: (花樣年華(B.F.Club)에게 귓속말) 사모하나보다+_+
花樣年華(B.F.Club): (CynicalGuy-_-에게 귓속말) 몰라요.. 내가 좋나바요.. 움화화화화~
낭구(B.F.Club): 근데완순언니
花樣年華(B.F.Club): (CynicalGuy-_-에게 귓속말) -_-;;;;
‘귓속말’은 귓속말을 하는 대화자 둘만의 몰래 대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대방은 전혀 두 사람이 무슨 얘기를 하고 있는지 알 수가 없고, 전체적인 대화의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위의 예문에서 (1)의 대화는 ‘ING-2’라는 사람이 ‘花樣年華(B.F.Club)’가 올린 그림에 대한 평을 말한 것이다. 그런데 그 이전부터 ‘ING-2’가 ‘花樣年華(B.F.Club)’의 말에 자주 딴지를 거는 편이어서 ‘CynicalGuy-_-’가 그 부분에 대해 ‘ING-2’라는 사람이 알지 못하도록 ‘花樣年華(B.F.Club)’에게 ‘귓속말’을 하는 상황이다. 대화 (2)에서도 ‘花樣年華(B.F.Club)’가 하는 말에 ‘ING-2’가 다시 질문 비슷한 딴지가 시작되어 ‘CynicalGuy-_-’가 ‘花樣年華(B.F.Club)’에게 다시 귓속말로 말을 거는 상황이다. 이는 ‘CynicalGuy-_-’가 전체 대화의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고 ‘ING-2’도 알지 못하게 귓속말을 걸어 자기가 하고 싶은 말들을 전달해주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원활한 대화의 흐름과 상대방에 대한 안좋은 느낌을 알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귓속말’을 활용하기도 한다.
그런가 하면 ‘귓속말’의 이중구조는 다른 참여자들에게 방해가 되어 전체적인 대화를 단절시키거나 지연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3) CynicalGuy-_-: 完洙
CynicalGuy-_-: 이한문은 모게요~
CynicalGuy-_-: 던킨이 어딘데?
花樣年華(B.F.Club): 던킨 도
3.1.1 이중구조
보통 컴퓨터 통신 대화방에서는 여러 사람이 대화를 나누고 있기 때문에 대화 도중 어느 특정한 사람에게만 얘기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귓속말’이라는 장치를 해 두고 있다. 이 ‘귓속말’이라는 장치는 단 둘이서만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장치이다. 이 장치를 통해 여러 사람들이 대화를 나누는 과정에서 따로 둘이서만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것이다. 대면대화에서의 귓속말은 다른 사람들이 귓속말을 하는 행위를 볼 수 있어서 대화 진행에 방해가 되므로 오래 지속할 수 없다. 하지만 컴퓨터 통신 대화에서의 ‘귓속말’은 다른 사람들이 귓속말을 하는 행위를 볼 수 없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행해질 수 있는 방법이다. ‘귓속말’은 모든 참여자들이 컴퓨터 화면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귓속말을 하고 있는 당사자들의 컴퓨터 화면에서만 둘만이 확인해 볼 수 있도록 대화 내용이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컴퓨터 통신 대화에서 ‘귓속말’은 대면 대화와는 달리 오랫동안 지속할 수 있으며, 여러 명의 대화 안에서 둘만의 새로운 형태의 대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컴퓨터 통신 대화방에서는 대화 참여자 모두에 의해 이루어지는 전체적인 교환 구조와 ‘귓속말’을 하는 두 사람만의 교환 구조가 같이 병행하게 되는 대화의 이중 구조가 나타나는 것이다. 이렇게 ‘귓속말’이라는 장치는 다자간의 대화 안에서 두 사람만이 또 다른 대화를 교환하는 이중 대화 형태의 의사소통 방식으로 컴퓨터 통신 대화에서 보이는 독특한 대화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통신 대화의 이중구조가 대화 상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 ING-2..: 개인적으론.................연화님껜 죄송하지만.......이쁜것도...예술적인것도..에로틱 도.....느낄수가 .....ㅠ.ㅠ
花樣年華(B.F.Club): ㅋㅋㅋㅋ
花樣年華(B.F.Club): 죄송할께 머가 있다구...
CynicalGuy-_-: (花樣年華(B.F.Club)에게 귓속말) 저사람 딴지 잘거네 ㅋㅋㅋㅋ
花樣年華(B.F.Club): 갠적인 차이인것들..
花樣年華(B.F.Club): ㅋㅋㅋㅋㅋㅋ
CynicalGuy-_-: (花樣年華(B.F.Club)에게 귓속말) 아님 아닌거지
花樣年華(B.F.Club): (CynicalGuy-_-에게 귓속말) 특이하자나요.. ㅡ.,ㅡ
팅커벨: 흐흐
花樣年華(B.F.Club): (CynicalGuy-_-에게 귓속말) 너무 특이하던데.. 별거 아닌거에 의 미 부여하궁..
CynicalGuy-_-: 사진이람
CynicalGuy-_-: 이정도는 되야;;;;
팅커벨: 울 아엔지님은 넘 맘이 ..
ING-2..: 근데...무슨..뜻일까요?..위에 사진.
ING-2..: ^^;;
(2) 花樣年華(B.F.Club): (아.. 오늘 죽여주게 삐리리하다.. 쩝... )
CynicalGuy-_-: ㅎㅎㅎㅎ
ING-2..: 삐리리.......무슨뜻인가요?...알려주세요..ㅠ.ㅠ
花樣年華(B.F.Club): 뜻없어요.. ㅡ.,ㅡ
CynicalGuy-_-: (花樣年華(B.F.Club)에게 귓속말) ㅋㅋㅋㅋ
CynicalGuy-_-: (花樣年華(B.F.Club)에게 귓속말) 미쳐요 ㅋㅋㅋ
花樣年華(B.F.Club): 걍.. 말하기 모호한 것을.. 삐리리... 머.. 삑~ 머 그렇게.. ㅋㅋ
ING-2..: ^^;;;
CynicalGuy-_-: (花樣年華(B.F.Club)에게 귓속말) 왜자꾸 연화님한테 그러나~
花樣年華(B.F.Club): (CynicalGuy-_-에게 귓속말) 왜요? ㅡㅡ;
: (花樣年華(B.F.Club)에게 귓속말) 사모하나보다+_+
花樣年華(B.F.Club): (CynicalGuy-_-에게 귓속말) 몰라요.. 내가 좋나바요.. 움화화화화~
낭구(B.F.Club): 근데완순언니
花樣年華(B.F.Club): (CynicalGuy-_-에게 귓속말) -_-;;;;
‘귓속말’은 귓속말을 하는 대화자 둘만의 몰래 대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대방은 전혀 두 사람이 무슨 얘기를 하고 있는지 알 수가 없고, 전체적인 대화의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위의 예문에서 (1)의 대화는 ‘ING-2’라는 사람이 ‘花樣年華(B.F.Club)’가 올린 그림에 대한 평을 말한 것이다. 그런데 그 이전부터 ‘ING-2’가 ‘花樣年華(B.F.Club)’의 말에 자주 딴지를 거는 편이어서 ‘CynicalGuy-_-’가 그 부분에 대해 ‘ING-2’라는 사람이 알지 못하도록 ‘花樣年華(B.F.Club)’에게 ‘귓속말’을 하는 상황이다. 대화 (2)에서도 ‘花樣年華(B.F.Club)’가 하는 말에 ‘ING-2’가 다시 질문 비슷한 딴지가 시작되어 ‘CynicalGuy-_-’가 ‘花樣年華(B.F.Club)’에게 다시 귓속말로 말을 거는 상황이다. 이는 ‘CynicalGuy-_-’가 전체 대화의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고 ‘ING-2’도 알지 못하게 귓속말을 걸어 자기가 하고 싶은 말들을 전달해주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원활한 대화의 흐름과 상대방에 대한 안좋은 느낌을 알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귓속말’을 활용하기도 한다.
그런가 하면 ‘귓속말’의 이중구조는 다른 참여자들에게 방해가 되어 전체적인 대화를 단절시키거나 지연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3) CynicalGuy-_-: 完洙
CynicalGuy-_-: 이한문은 모게요~
CynicalGuy-_-: 던킨이 어딘데?
花樣年華(B.F.Club): 던킨 도
추천자료
인터넷 언어사용의 실태와 그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
외계어 및 인터넷 언어에대한 고찰.(한글날관련)
언어예절과 인터넷상 언어의 역기능에 대하여
가상공간을 통한 인터넷 언어 예절 지도방안
인터넷에 나타나는 언어 사용
인터넷 게시판 언어 연구
인터넷정보검색과 WWW(월드와이드웹), 인터넷정보검색과 검색엔진, 인터넷정보검색과 TREC(세...
인터넷 사이버교육, 인터넷 사이버교회, 인터넷 사이버언어, 인터넷 사이버공동체, 인터넷 사...
대중매체에 나타난 한국어 광고 언어, 컴퓨터 통신 언어
인터넷에서 언어발달과 관련된 구체적 사례를 찾고 언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해 설...
인터넷에서 언어발달과 관련된 구체적인 사례를 찾고 언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해 ...
인터넷 용어나 줄임말의 언어적 기능(역기능 또는 순기능)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 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