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매체에 나타난 한국어 광고 언어, 컴퓨터 통신 언어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중매체에 나타난 한국어 광고 언어, 컴퓨터 통신 언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머리말

제 1 장. 광고 언어

Ⅰ. 광고의 정의
Ⅱ. 광고의 기능
Ⅲ. 광고의 언어사용 방식
Ⅳ. 광고의 언어적 메시지가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
Ⅴ. 문화를 담은 광고 언어
Ⅵ. 광고 언어의 문제점
Ⅶ. 광고 언어의 이용 방향

제 2 장. 컴퓨터 통신 언어

Ⅰ. 통신 언어 변용 현상의 원인
Ⅱ. 통신 언어의 특징
Ⅲ. 통신 언어의 좋은 점
Ⅳ. 통신 언어의 문제점
Ⅴ.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


꼬리말

본문내용

고를 생활 속에서 즐기면서 접근할 수 있는 대상으로 보는 것이다. 많은 경우 우리는 심각하게 의식하지 않은 채 광고를 통해 광범위한 감성적인 자극을 받으며 편안하고 즐거운 느낌을 받게 된다. 즉 우리는 광고를 하나의 언어 자료로서 즐기는 것이다.
그리고 광고에서의 수용자는 수동적인 수용자만이 아니라, 능동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주체이며, 광고는 다양한 즐거움과 흥미를 제공해 주고, 이를 통해서 사회의 문화적 구조를 인식하게 하고 나아가 이를 변화하게 하는 문화적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광고를 볼 때는 한 면만이 아니라, 이러한 의사소통의 다양한 측면에서 광고가 지닌 총체성을 고려할 접근이 필요하다.
현대 사화에서 매체 환경이 변하면서 이제는 개인의 차원에서 대중 매체를 통한 의사소통의 생산자가 될 기회가 많아졌다. 따라서 광고에 대해서 지금까지 지녀왔던 수용이라는 한 방향만의 시각에서 벗어나서, 광고를 즐기고 스스로 광고의 아이디어를 만들고 표현해 보는 데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방식으로 광고를 통한 의사소통 과정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광고 언어를 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제 2 장. 컴퓨터 통신 언어
Ⅰ. 통신 언어 변용 현상의 원인
1. 경제적인 원인
인터넷이나 PC 통신의 게시판, 대화방, 전자 메일, 사이버 상에서 보여 지는 언어의 변용 현상의 원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원인이 바로 경제적인 원인이다. 이것은 문장 안의 단어를 최대한 줄여서 쓰거나, 단어 안에서도 음절을 줄여 사용하는 것이다.
인터넷이 사용되기 이전에는 음성을 전달할 수 있는 전화가 대표적인 통신수단이었고, 서면을 통한 수단은 편지와 팩스정도에 국한되어 있었다. 그러나 점차 개인 호출기가 보급되면서 숫자를 통한 의사전달이 필요하게 되어서 간단한 숫자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사용자들의 암호체계가 서서히 만들어졌다. 예를 들면, \"8282\"는 \"빨리 빨리\"라는 뜻이고 \"35351010235\"는 \"사모사모열렬히사모\"라는 뜻이며, \"1 177155 400\"은 \"I miss you\"의 알파벳 모양과 비슷한 숫자를 딴 것이다. 이렇게 숫자를 조합하는 것만으로도 경제적이면서도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이런 효과는 컴퓨터 통신에서도 마찬가지다. 예전의 초기 PC통신에서는 모뎀속도에 따라 매초마다 전달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빠른 시간 안에 더 많은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자판을 치는 속도가 빨라야 함은 물론이요, 의사소통에 지장이 없는 한 불필요한 말들은 생략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하여 초기 PC 통신에서 사용되던 언어들은 짧은 것이 특징이었으며, 그것은 문장뿐만 아니라 단어 자체에서도 많은 축약현상을 가져왔다.
2. 사회적인 원인
언어는 사회를 반영한다. 그래서 언어는 그 사회 속에서 생겨나고 성장하며 언젠가는 소멸된다. 인간은 항상 언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언어는 항상 공유된 행위 규범을 통해 타인들과 연결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언어의 의미를 공유하지 못한다면 그 언어는 계속 사용될 수 없으며, 처음에는 단순한 유행이었을지라도 그 흐름이 많은 사람들에게 적용되면, 그 언어는 전에 있던 말을 대체할 수 있게 된다. 통신상의 대화언어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원리가 적용된다. 누군가가 처음 쓰기 시작했을 변용된 통신 언어들이 처음에는 생소했을 것이다. 그러나 대화를 할 때, 상대에 대한 나의 반응이 중요하기 때문에 상대방이 변용된 언어로 대화를 한다면 그에 상응하기 위해 그러한 언어를 사용할 필요를 느낄 것이고 이에 점차 익숙해 질 것이다. 대화방이나 게시판에 그러한 통신언어를 안 쓰면 오히려 사이버 공간에 적응하지 못한다는 느낌이 든다고 말하는 대학생의 이야기를 보면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것 뿐 아니라 그 사회에 적응하려는 심리에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쓸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러한 언어의 사회성은 경제적, 심리적 이유에서 생겨난 말들을 계속해서 써야만 하는 상황을 설명해 준다. 즉 처음에 자판의 타수를 줄이기 위해서나 단순한 재미나 개성 있는 표현을 위해서 변용된 언어를 사용했다고 할지라도, 통신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일반화되면서 상호 의사소통을 위해서 그리고 그 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노력으로 그런 언어가 계속 쓰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3. 심리적인 원인
사이버 공간은 여타의 대중 매체 환경과는 다르게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또한 익명성이 보장된다. 대중들은 이 사이버 공간을 통해서 자신의 표현의 욕구를 충족시키며, 정보를 얻고 또 주고자 한다. 또한 사이버 공간상에서는 변용된 언어를 사용해도 사회적인 질타를 받지 않는다. 그렇기에 문법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을 표현하려는 욕구가 커진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대중들은 사이버 공간에서 평소의 소극적인 자세를 벗어나 보다 더 적극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기존의 가치관을 거부하고 자신들끼리 통하는 언어를 사용하고자 하는 신세대들의 심리가 통신 언어의 변용 현상에 반영되기도 한다. 통신에서 비문법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자신을 남들과 차별화 시키려는 심리적인 의도도 들어있는 것이다. 즉 \'나는 다른 사람들과는 달라야 한다.\'라는 신세대들의 개성과 특별한 사람에게는 더 특별하게, 자신에게 부담스러운 것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개입을 꺼리는 신세대들의 심리, 그리고 보다 재미있고 새로운 것을 찾는 그들의 욕구가 그들만의 변용된 언어를 사용하는 세계를 만드는 것이다. 매번 하는 인사라 할지라도 같은 표현을 하는 것보다 남과는 다른 표현법을 사용함으로써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려하고, 남들이 쓰지 않은 부호를 만들어서 어떤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한다. 여기에는 글자 대신 기호나 이모티콘 등을 사용하여 보기에 애교스럽고, 화려하고, 아름답게 보이기 위한 의도도 들어있다. 예를 들면, \"웃 ㅇㅓ버るㅕ요. ユㄷㅐ 는 ュ거l ㅇㅖㅃ┤요^-^*\" 라는 문장에서는 \"웃어버려요 그대는 그게 예뻐요\"를 새로운 기호나 이모티콘을 사용함으로써 상대방에게 주목을 끌 수 있도록 글자 자체를 나름대로 꾸미고 아름답게 표현하는 것이다.
Ⅱ. 통신 언어의 특징
1. 음운현상
① 양성모음화
㈀ 찝쩍대면 →
  • 가격2,8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3.10.19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64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