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개인 휴대 통신]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개인 휴대 통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PCS란?
1. PCS 개념
1) 서비스 측면
2) 서비스 특징
3) 다양한 기능
2. PCS의 접근 방식
3. PCS로 인한 사회/문화적 변화
4. 기술적 측면에서 본 PCS의 중요성

◈ PCS의 등장배경
1. PCS 시장
2. PCS의 등장배경

◈ PCS의 특징
1. PCS와 셀룰러 폰
1) 셀룰러 시스템의 구조
2) 셀룰러 통신의 역사
3) 셀룰러 기술
4) PCS와 셀룰러의 비교
2. 디지탈 기술
3. 시스템 구성
4. 아날로그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
5. 디지털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
6. 아날로그시스템과 디지탈시스템의 비교
7. 각국의 PCS 현황
1) 미국의 PCS
2) 캐나다의 PCS
3) 일본의 PCS

◈ PCS가 정보사회에 미친 영향

◈ PCS의 문제점과 대안(앞으로의 방향 모색 및 제안)
1. PCS의 사회적 문제점
2. 무선데이타 서비스 문제점
3. 매스컴에 보도된 PCS의 문제점<보도자료>

본문내용

망(IS-95A/B), 2.5세대 망(IS-95C 또는 cdma2000 1x)과 3세대 망(cdma2000 3x)으로 구분된다.
 
현재 우리나라 이동통신 시스템은 IS-95A/B로, 5개 이동전화사업자가 이 시스템을 구축해 전국적인 서비스를 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가 IMT- 2000 기술표준으로 동기방식을 채택한다면 향후 cdma2000 1x와 3x로 나아가게 된다.
 
144Kbps의 전송속도하에서 멀티미디어정보검색과 화상통신 등을 지원하는 cdma2000 1x는 IMT-2000(3x)으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해 \'2.5세대 기술\' 또는 \'IMT-2000의 예비기술\'로 불린다.
 
동기방식 도입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IMT-2000 서비스를 \'기존 통신망의 업그레이드\'란 개념으로 설명한다. 이를테면 cdma2000 1x에서 3x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으로 완전히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아니어서 50% 가량의 투자비 절감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1x내지 3x의 단말기 모뎀칩인 MSM-5000 시리즈의 경우도 기존의 2세대 무선망인 IS-95A/B와 호환이 된다는 측면에서 효율성이 높다는게 동기방식 주장의 핵심이다. MSM-5000시리즈 칩을 장착한 단말기는 기존의 PCS망과 IMT-2000망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동기방식 전문가들은 \"투자비 측면에서 볼 때 IMT-2000 서비스가 근본적으로 기본방식과 동일할 때 투자비는 최소화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와관련, 현재까지 5개 이통사업자는 IS-95A/B망 구축에 10조원 이상의 막대한 자금을 투자한 상황이다. 이중 PCS 3사의 경우 지금까지 7조원을 투자해 5년째 휴대전화 서비스를 하고 있는데, 아직까지 적자를 면하지 못하고 있다. PCS 3사는 올해 흑자 원년을
실현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지만, 최근 요금 인하로 목표달성이 불투명할뿐더러 시설투자비를 회수하기까지는 앞으로도 수년이 더 필요한 상황이다. 1위 사업자인 SK텔레콤만이 시설투자비를 완전히 회수한 상태다.
 
흑자를 실현하지 못한 통신사업자 입장에서 볼 때 IMT-2000은 최소 2조원 이상을 신규로 투자해야 하는 부담스런 사업이어서, 기존에 설치한 통신망을 어느 정도 활용할 수 있느냐의 문제는 기술표준 채택에 있어 현실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동기방식 도입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이런 관점에서 \"사업자들의 재무구조 투자여력 등을 감안한다면 기존 망을 일부라도 재활용할 수 있는 동기방식이 우리가 내릴 수 있는 유일한 결론\"이라고 말한다.
 
비동기방식을 주장하는 측에서는 이에 대해 \"2세대 통신망 재활용 측면에서 두 방식간 차이는 미미하다\"고 주장한다. 한 비동기방식 전문가는 \"IMT- 2000에서 2G망의 활용도는 DS의 경우 15.2%, MC는 17.4%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됐다\"는 수치를 제시했다. 동기(MC)든, 비동기(DS)든 기존 망을 활용할 수 없는 신규투자란 것. 굳이 cdma2000 1x/3x로 진행함으로써 미국 퀄컴사에 대한 종속구조를 심화시킬뿐더러 세계적인 주류에서 벗어나는 동기식을 택할 이유가 없다는 주장이다.
 
두 방식중 어느 쪽이 2G 망의 재활용도 내지 경제효율성 측면에서 바람직하고, 특히 후발 통신사업자들에게 유리한지는 전문가들이 동원된 분석작업을 거쳐 객관적으로 확인해야할 사항이다.
IMT-2000 기술표준으로 동기식(MC)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국내 통신업체의 중국시장 진출 가능성\'을 중요한 논거로 제시한다.
 
유럽방식(GSM) 위주였던 중국 이동통신시장에 올해부터 CDMA 방식이 도입돼 동기방식의 상용화 기술력을 갖춘 우리나라가 차지할 시장규모가 막대하다는 주장이다.
 
중국은 CDMA 원천기술을 보유한 미국 퀄컴사와 이미 기술료협상을 마무리지은 상태다. 또 제2통신사업자인 차이나유니콤이 향후 5년간 5000만명의 CDMA가입자를 확보한다는 목표로 400만 회선 규모의 1차 CDMA 사업자 입찰을 진행중이다. 입찰결과는 당초 지난 1월 발표될 예정이었으나 이런 저런 이유로 현재까지 연기된 상태다. 삼성전자(단말기와 시스템)와 LG정보통신(단말기)이 외국 업체와 막판 경합을 벌이고 있다.
 
중국이 유럽방식에 이어 북미방식의 CDMA를 도입한다는 것은 특정 외국업체에 독점적인 지위를 허용하지 않고 자국 시장에 복수 경쟁체제를 형성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외국 통신업체들의 극한 경쟁을 부추김으로써 기술도입비 등을 최대한 낮추면서 자국 업체의 국제 경쟁력을 높인다는게 중국의 전략이다. 어쨌든 동기식 CDMA시장이 열릴 경우 단말기만으로도 향후 5년간 수십억 달러 시장이 형성될 것이어서 국내 장비업체들은 한껏 고무돼 있다.
 
이와관련, 중국 IMT-2000 평가단이 내달 한국과 일본을 차례로 방문하기로 해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중국의 정보통신부 차관격인 신식자원부 루근검( E U )부부장이 이끄는 방문단은 한국에서 8~12일, 일본에선 12~16일 머물며 정부 관계자와 통신사업자들을 두루 만날 예정이다. 한, 일 양국의 차세대 이동통신 정책 및 상용화 준비상황을 파악, 향후 협력파트너 선정 등 주요 정책결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삼겠다는 것이 이들의 방문 목적이다
 
일본이란 강국과 경쟁관계지만, \'CDMA 최초 상용국\'이란 위상을 차지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중국과의 CDMA 협상에서 매우 유리한 고지에 있다는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이에 따라 동기방식을 우리나라의 기술표준으로 채택해야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비동기방식을 채택한다면 그나마 진출할 수 있는 중국시장도 막히게 된다\"고 우려하고 있다.
 
중국시장 진출 가능성과 국내 IMT-2000 기술표준을 연계시켜 동기방식을 도입해야한다는 이같은 주장에 대해 \"지나치게 낙관적이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우선 비동기 유럽방식인 GSM이 중국 전체 이동통신시장의 90%이상을 점유하고 있고, 이런 구조는 앞으로도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며, 동기방식의 CDMA 시장이 본격적으로 열리더라도 우리 몫이 크다고는 장담할 수 없다는 것. 예컨대 중국의 CDMA 시스템분야 입찰에 루슨트테크놀로지스 모토롤러 노텔네트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5.09.27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37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