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도에 따른 소재조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용도에 따른 소재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A. 스포츠웨어용
B. 작업복용
C. 여름용 의복
D. 겨울용 의복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게 배출시켜 주기 때문이다.
3) 수영복
수영은 전신운동이고 큰 호흡을 요구하기 때문에 근육이나 심폐의 발달에 커다란 효과가 있다. 물에 들어갔다가 태양에 쪼이게 되므로 피부의 단력에도 성과가 크다. 수중운동이므로 물속에서 물의 저항에 맞서 나아가야 하기 때문에 역학적으로 보면 일을 하는 것과 같다.
특히 수영은 물속에서 하므로 스피드를 요구하는 경기에서는 물과 인체와의 저항이 중요해진다. 따라서 수영시 착용하는 수영복은 이같은 점이 고려되어져야 한다. 수영복은 레저용인 swimming suit와 경기용은 racing suit가 있다.
Racing suit로서 수영시 유체저항을 적게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이 중요하다.
㉠가능한 몸에 밀착하면서도 무리없이 정체효과가 클 것
㉡얇고 표면이 평활해서 물을 함유하기 어려울 것
㉢격한 움직임을 저해하지 않도록 신축성과 인강공학적인 구성을 할 것
㉣수영복과 인체사이에 물이 침투하기 어렵고 들어왔을 경우에도 쉽게 빠져나갈수 있을 것
소재로는 신축성이 좋은 스트레치 직물인 나일론과 스판덱스 직물을 사용하여 몸에 꼭 맞으면서도 운동하는데 구속되거나 벗겨지지 않는 옷이 바람직하다.
4) 다목적용 스포츠웨어
스포츠웨어는 이미 운동복으로서가 아닌 캐주얼웨어로서, 즉 일상생활에서는 일상복으로, 운동시에는 스포츠웨어로 착용되는 경우가 많다. 가볍고 따뜻한 누비점퍼는 스키를 탈 때는 스키복이지만 일상 방한복 또는 겨울철 활동복으로 입혀진다. 이처럼 다목적으로 착용되는 옷들의 예를 몇가지 들고자 한다.
그림4는 방수 및 방충 기능이 뛰어난 소재를 사용한 가벼운 스타일의 사파리로, 등산, 골프, 낚시, 피크닉 등에 착용학, 일상복으로도 코디가 가능한 기능복이다.
윈드브레이커는 방수성보다는 방풍성이나 발수성을 요구하는 활동적인 산악인이나 야외에서의 운도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따라서 투습성이 뛰어난 신소재를 사용하여 많이 흘리는 땀배출도 가능하도록 한 기능복이지만, 일상 외출복으로도 착용할 수 있다.
그림 역시 운동중에도 항상 쾌적하고 건조한 느낌을 필요로 하는 스포츠맨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듀퐁이 개발한 상의이다. 이 옷은 섬유구조가 4층으로 되어 있어 피부로부터 땀을 신속하게 발산시키고 습기를 적게 흡수하여 항상 건조상태로 머물게 하는 특징을 가졌으나 일상복으로도 손색이 없는 옷이다.
4. 스포츠웨어로 적합한 소재
1) 투습 방수 소재
① 젠텍스
국내시장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젠텍스는 가볍고 우수한 투습성이 장점으로 낚시복, 등산복, 스키복, 골프, 스포츠웨어, 특수 산업복 등에 이용된다.
② 도레이 : Entrance
기존의 라미네이팅 공법과 코팅공법을 합성하여 개발. 가볍고 뛰어난 청량감의 엔트란트는 투방습 기능의 수지코팅 후 표면을 도트 라미네이팅 처리를 한다. 안감을 대지 않아도 되는 초경량, 접힘식 디자인으로 액티브웨어에 최적의 소재로 평가된다.
③ Invista / 범삼공 : 아쿠아토르 (Aquator)
Invista 가 개발하여 독일과 한국에 독점 생산체계를 갖춘 아쿠아토르는 우수한 착장감과 외관상의 장점을 유지하며 극심한 기후로 부터 보호 받을 수 있는 다기능성을 추구한다. 라미네이팅 시스템으로 폴리에스터 멤프레인 기술의 장점과 결합한 아쿠아토르는 내구성 있는 방수, 방풍 기능과 투습성, 편안함 등의 기능성을 갖게 되며 라이크라와 결합하여 활동성을 부여한다.
2) 흡한속건소재
① Schoeller
3XDRY기능(나노기술을 사용하여 원단 겉표면은 발수처리, 내부는 흡한속건 가공)을 면제품까지 확대하여 사용하였다. 이 기술을 사용하여 폴로 랄프로렌 에서 개발한 골프웨어는 몸에 땀이 차지 않고 항상 쾌적한 상태 유지하며 가벼운 비에도 젖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② 도레이
운동 시 대량의 땀에 의한 끈적임을 경감시키는 Field sensor DX를 개발하였다. 이 소재는 발수가공을 원사에 실시하여 다른 실과 편직 함으로서 소프트한 촉감과 높은 세탁 내구성을 부여받는다. 2/3 정도로 단축된 건조시간으로 Top athlete용 웨어 위주의 스포츠, 캐주얼 웨어분야에 사용될 예정이다.
③ 미즈노
아미노산을 섬유에 결합시킨 신소재 아미노베 개발하였다. 땀을 흘리면 섬유에서 아미노산이 나와 피부를 촉촉하게 하는 효과 및 세탁 후에도 유지되는 보습효과로 스포츠 웨어용 셔츠에 적용이 가능하다.
④ 효성 : 마이판 아쿠아 후레쉬
흡한속건 나일론 마이판 아쿠아 후레쉬는 면보다 빠른 흡수성 및 건조성을 갖고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땀을 배출시키며 항상 시원하고 쾌적한 느낌을 주는 기능성 소재로 땀을 많이 흘리는 골프 등산 등의 의류에 적합하다.
B. 작업복 (방호복)
1. 정의
생활환경과 작업환경이 다양해짐에 따라 우리는 위험한 환경에 노출되는 일이 잦아졌다. 이러한 위해한 환경으로부터 인체의 안전과 건강을 지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 의복과 장비를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의복을 방호복이라 한다.
2. 작업복이 갖추어야할 조건
㉠ 신체를 완전히 방호할 것.
㉡ 의복을 착용하고 작업하기 쉬울 것.
㉢ 착심지가 좋을 것. 특히 의복 내 기후가 쾌적할 것.
㉣ 세탁, 보수가 용이할 것.
3. 작업복의 종류와 그에 따라 사용되는 소재
미국의 듀폰 회사에서 개발한 케블라와 노멕스가 최근 산업재해 방지를 위한 산업용 보호복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최근 국내 업체들의 작업현장에서도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해서 보호복을 착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어 케블라와 노멕스의 수요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이 제품은 일반의류와 같이 색상이 다양할 뿐만이 아니라 무게가 가볍고 착용감이 탁월하다.
케블라를 소재로 한 보호용 바지와 챕스(카우보이가 바지위에 입는 것과 같은 보효용 덧바지)의 강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동력 톱으로 절단 실험을 한 결과 동력 톱이 멈출 정도로 강력한 저항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섭씨 500℃ 이상의 금속 봉을 취급하는 제련소에서 케블라로 만든 장갑을 사용할 경우 화상으로 인한 부상 빈도가 많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케블라는 원래 노란색으로 표백과 염색이 어렵고 너무 뻣뻣하여 일반 옷감을 만들기에는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5.09.25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37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