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대 지역사회의 경제발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송대 지역사회의 경제발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INTRO

2.송(宋)
(1 )송의 건국
(2) 송의 시작과 멸망
(3) 송대의 王과 업적
(4) 송대의 관제

3. 송대의 경제구조
(1) 송대 경제
(2) 경제 발달 원인
ⅰ.인구의 증가
ⅱ.농업의 발달
ⅲ.교통시설의 발달
ⅳ.화폐의 발달
ⅴ.도시의 발달

4. 주요 지역별 경제
(1) 북송의 수도 - 카이펑(開封)개봉
(2) 정묘한 도자기와 비단을 만들다 - 허베이성(河北省)
(3) 남송의 수도-임안(臨安) - 항저우 [ 杭州(항주) , Hangzhou ]
(4) 수륙 교통의 요충지 - 쑤저우 [ 蘇州(소주) , Suzhou ]
(5) 지역의 특징을 살리다 - 사오싱 [ 紹興(소흥) , Shaoxing ]
(6) 제3의 도시 - 양저우 [ 揚州(양주) , Yangzhou ]
(7) 난창 [ 南昌(남창) , Nanchang ]
(8) 창사 [ 長沙(장사) , Changsha ]

본문내용

란팅정[蘭亭]·후이지산[會稽山]·위에왕대[越王臺] 등 역사적인 고사와 관련 있는 명승지가 많다. 또 많은 문필가와 정치가들을 배출하였는데, 중국 근대문학의 대표적인 작가 루쉰[魯迅]의 출생지로 루쉰기념관이 있다. 부근에 선위안[沈園]·등후[東湖] 등이 있다. 1912년에 산인현과 구이지현이 합쳐져 사오싱현[紹興縣]이 되었다. 1979년 사오싱시가 되었다. 현재의 면적은 7,901㎢, 인구는 약 427만 명(1998)이다. 사오싱·상위 등 5현을 관할한다. 그 중 시내 면적은 101㎢이다.
(6)제3의 도시-
양저우 [ 揚州(양주) , Yangzhou ]
중국 장쑤성[江蘇省]에 있는 도시
옛 이름은 장터우[江頭]이다. 양쯔강[揚子江] 북방, 대운하의 서쪽 기슭에 있다. 일찍이 《우공(禹貢)》에 기록된 9주(州)의 하나였으나 차차 범위가 줄어들어, 수(隋)나라 때인 589년 장터우현[江頭縣]을 중심지로 삼은 뒤 양저우라고 부르게 되었다. 당(唐)나라 때에는 강남(江南)의 물자를 운하로 북송(北送)하였으므로 번영하였으나 송(宋)나라에 와서는 쑤저우[蘇州]·항저우[杭州] 등에 자리를 넘겨주어 제3의 도시로 전락하였다. 원(元)나라 때에는 장화이항성[江淮行省]의 성도(省都)가 되었고, 명(明)나라 이후 양회염(兩淮鹽) 유통의 중심시가 되었으며, 쌀·잡곡의 집산지로서 번영하였다. 지금도 칠기·자수·조각 등의 전통공예가 성하며, 대명사(大明寺)를 비롯한 사적도 많다. 현재 면적 1,2431㎢, 인구 924만 3200명(1993)이다.
(7)난창 [ 南昌(남창) , Nanchang ]
포양호[我陽湖] 서쪽 연안으로 흘러드는 간장강[江]간장강-중국 장시성[江西省]을 남에서 북으로 흐르는 강.중국 길이 850km. 성(省) 남부의 주롄산맥[九連山脈]에서 발원하는 두 지류 중 서쪽의 장수이강[章水]과 동쪽의 궁수이강[貢水]이 북류하여 간저우[州]에서 합류하는데, 그 합류지점에서부터 하류부를 간장강이라고 한다.
다시 북류하여 완안[萬安]에 이르는 구간에는 ‘스바탄[十八灘]’이라고 하는 험난한 협곡이 있다. 장수전[樟樹鎭]에서부터 넓은 평야지대를 가로질러 흐르는데, 장수전에서 위안수이강[沅水], 스차[市]에서 진장강[錦江], 난창[南昌] 남쪽에서 푸수이강[撫水] 등 지류를 합치고, 우청전[吳城鎭] 부근에서 포양호[陽湖]로 들어가 양쯔강과 연결된다.
옛날부터 양쯔강 유역과 주장강 유역을 잇는 내륙수로로 중요하게 여겨왔으며, 소형기선은 중류의 지안[吉安]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간저우 서쪽의 톄산관[鐵扇關] 댐을 비롯한 여러 댐이 홍수조절 ·발전 ·관개 등에 이용된다.
오른쪽 연안에 있다. 예로부터 수륙교통 및 상업의 요지로 발전했다. 근래에 들어 부근에 발달된 수로를 이용할 수 있는 데다 저간[浙] 철도와 난쉰[南掛] 철도와의 분기점에 있어 지금까지도 교통의 요지가 되어있다.
특히 주변은 장시분지[江西盆地]의 비옥한 논 지대로 쌀을 비롯하여 차·목화·잎담배·삼·목재·도자기 등의 대집산지를 이루고, 성내의 농·임산물과 광산물도 이곳을 경유하여 출하되었 다. 공산정권이 성립된 이후에는 행정·상업·문화의 중심지를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공업도 급속한 발전을 보여 철강·수송기계·전기·농기구제조·화학비료·의약품·플라스틱·섬유·유리·피혁·제지·식품가공 등의 공업이 성행하고 있다. 이른바 중공군 무장봉기의 성지로, 시내에는 팔일건군기념관(八一建軍紀念館)을 비롯한 8·1기의(八一起義)의 유적이 많고, 명승고적이 많아 예로부터 국내외에서 관광객이 모여든다. 시의 동쪽에는 비행장이 있고, 고등교육기관도 많아 문화적으로도 장시성의 중심지를 이루고 있다. 현재 면적 7,402㎢, 인구 124만 명(1998)이다.
(8)창사 [ 長沙(장사) , Changsha ]
중국 후난성[湖南省]의 성도
면적은 1만 1818㎢이고, 인구는 약 130만 명(1998)이다. 둥팅호[洞庭湖] 남쪽 샹장강[湘江]과 류양강[瀏陽河]의 합류지점인 샹장강 평원에 있다. 연평균온도는 17.2℃이고, 1월 평균온도는 4.6℃이다. 7월 평균온도는 28.6℃, 연강우량은 1,378mm이다. 별칭은 탄성[潭城]이다. 30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도시로 후난성[湖南省]의 행정, 상공, 교통, 문화의 중심지이다.
진(秦) 때 창사군[長沙郡]이 설치되었으며, 1933년에 시(市)로 승격되었다. 화베이[華北]와 화난[華南]을 잇는 교통의 요지로 샹장강 유역의 물자를 집산하여 일찍부터 도시로서 발달하였고, 군사적인 각축장이었다. 1972년에 발견된, 동쪽 교외에 있는 마왕퇴한묘에서 출토된 유물은 당시 이 지방 권력자의 호화로운 생활과 발달된 공예기술을 말해준다.
20세기 초에 영국·일본 등과 통상항해조약을 체결하면서 개항장이 되었으며, 청(淸) 말기부터 후난성의 혁명운동 거점이 되어, 황싱[黃興]·양육린(楊毓麟)·진천화(陳天華) 등이 활약하였다. 경제적으로는 중국의 곡창인 후난성의 상업 중심지로 ‘미시(米市)’라는 별칭이 있었다.
현재도 샹장강 유역에서 생산되는 쌀·돼지·동백유·차·목재 등의 대집산지이다. 공업도 급속도로 발전하여 알루미늄, 유리, 방적, 동력기기(動力機器), 무기 등의 공장이 세워졌으며, 상수(湘繡)라고 부르는 전통적 자수제품도 유명하다. 그밖에도 전자, 기계, 식품, 방직 등이 발달한 종합 공업도시이다.
교통도 매우 편리하여 징광철도[京廣鐵道], 스먼[石門]~창사[長沙]간의 철도, 베이징[北京]~광저우[廣州]간의 철도 등이 있다. 고속도로는 107번, 319번이 있으며, 창사[長沙]~주저우[株洲]~샹탄[湘潭]을 통하는 도로가 있으며, 샹장강·둥팅호를 경유하여, 우한[武漢]·창더[常德]·이양[益陽] 등지로 수운이 통한다.
교육기관에 국방과기대학, 중난[中南]공업대학, 후난[湖南]대학, 사범대학 등 23개 대학이 있다. 문화재로는 박물관, 마왕퇴한묘, 웨루산[岳麓山], 웨루서원[岳麓書院:976년], 쥐쯔저우[桔子洲] 등이 있다. 대안(對岸)의 웨루산은 풍광이 명미하여 주말에 찾는 사람이 많으며, 시의 북·동·남쪽 교외에는 고분군(古墳群)이 있는 창사 유적이 있다. 중국 8대요리에 속하는 샹차이[湘菜]라는 요리가 유명하다.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5.09.29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40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