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봉사원파견사업 & 주간보호사업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정봉사원파견사업 & 주간보호사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가정봉사원파견사업
1) 사회복지사(서비스 책임자)의 업무와 역할
2) 가정봉사원(유급, 무급) 업무와 역할
3) 가정봉사원 관리 및 지도감독
4) 가정봉사원 훈련양성교육
5) 사례연구

2. 주간보호사업
1) 목표: 노인의 복지향상과 가족의 부양부담 감소
2) 대상자 및 가격기준
3) 서비스 내용
4) 전달체계
5) 재정
6) 문제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다수 노인가구의 수입이 분명하지 않은 점과 농, 어촌지역 거주 노인가구는 제외되는 점으로 인하여 노인가구의 경제상태를 측정하기에는 부적합하다. 호적상의 거택, 자활보호대상노인만을 중심으로 사업이 전개되고 있음
또한 대상자 선정이 경제상태에 의존하므로 건강 및 기능능력의 차이가 많은 반면에 인력이나 설비 등이 부족하여 이들의 보건, 의료 등 당면문제 해결 욕구에도 충분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음.
(3) 주간보호시설의 유형 구분 및 전문화
현행 주간보호사업내용은 대상노인의 건강상태별로 구분되어 있지 않음. 즉 치매질환의 유무에 따른 분리보호가 극히 일부의 시설에서만 제공되고 있으며, 치매 전담인력도 거의 없는 실정임. 따라서 치매노인을 함께 수용하는 경우 치매노인을 위한 전문프로그램과 전담인력, 그리고 분리보호체계를 마련하여야 함
(4) 이용노인의 보호자들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급 : 현재 가족보호자들을 위한 교육, 훈련프로그램, 자조모임 등이 있으나 제대로 실시되지 않고 있음
(5) 이동서비스 개발
(6) 지역별 균형있는 주간보호 확보
참고문헌
김미혜, 2000, \'주간보호사업의 매뉴얼\',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 재가노인복지사업 매뉴얼, 서울: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
이가옥, 1997, \'재가노인복지와 가정봉사원 파견사업\', 한국노인복지회 편저, 재가노인복지사업 -이론과 실제-, 서울: 홍익재
이혜원, 1999, \'우리나라 재가노인복지사업의 현황과 과제\',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 편저,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서울: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
이창의 편, 1992, 재가노인을 위한 가정봉사의 이론과 실제, 서울: 홍익재
  • 가격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9.29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41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