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화학요법
화학요법제제 사용의 일반적 원리
Karnofsky 수행척도
화학요법 제제
투약경로
화학요법에 관련된 문제들
간호 및 환자교육
화학요법제제 사용의 일반적 원리
Karnofsky 수행척도
화학요법 제제
투약경로
화학요법에 관련된 문제들
간호 및 환자교육
본문내용
요법제로 사용
두, 경부암 - 진행성 두,경부암 및 재발된 두경부암.
위암 - 진생성 및 전이성 국소재발성 위암
용법/용량 : 비소세포암 폐암, 유방암 - 75-100mg/m2을 매 3주마다 1시간 동안 IV
백금유도체와 복합 치료시 최대 75mg/m2
유방암에 대한 일차 요법에서 독소루비신과 병행시75mg/m2
난소암 - 75-100mg/m2을 매 3주 마다 1시간 동안 IV
두,경부암 - 성인 1일 1회 60mg/m2 1시간 이상 3-4주 간격으로 IV
1회 최대 70mg/m2
위암 -70mg/m2 매 3주 마다 1시간 동안 IV
9) Copolang (Polysaccharide potassium)
적응증 : 소화기 암(위암, 결장암, 직장암 ), 폐암
용법/ 용량 : 1일 6캅셀 1-3회 분복
부작용 : 오심, 구토, 하리, 식욕부진
■ 투약경로
약물의 약리학적 역동성에 따라 경로가 다양해질 수 있다.
1) IV / central venous line
IV는 약 투입이 용이하고 환자가 편안하게 느끼며 좀더 지속적으로 약 주입을 할 수 있는 내/외적 pump system이기 때문에 최근에 와서 IV 경로가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 중심정맥관 관리
마스크와 소독장갑을 끼고 cath 주위 7~8cm까지 닦는다.
약물투여 전 2~5ml의 NS로 flushing
약물 주입후 규칙적으로 HPR을 주입하여 cath가 막히지 않도록
Groshing cath는 끝이 둥글고 cath로 들어가는 정맥혈을 막고 cap을 씌우지 않았을 때
공기를 차단하는 valve를 가지고 있다. 이 cath는 사용 후 NS로 flushing은 하나 HPR
주입은 필요하지 않다.
2) Implant port
완전히 환자의 피부 아래층에 있어 감염에 대한 방어선으로 작용한다. 이의 장점은 혈관이나 체강에 반복되는 통로를 제공하여 환자에게는 최소의 손상과 고통을 주며, 약물/혈액/영양제 또는 기타 수액을 지속적으로 또는 bolus로 주입할 수 있고, 또한 혈액 검사물 채취를 위한 경로가 되며 환자가 정상적인 신체상을 가지고 일상생활활동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한다. cath가 동맥 내에 있는지 정맥 내에 있는지에 따라 1주 또는 1개월마다 씻어낸다.
3) 복막내 화학요법
복막강은 BBB와 유사하게 세포질로 둘러싸여 혈행으로부터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종양의 은신처로 작용한다. 복막내 화학요법은 아주 작은 잔류 암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약물독성에 대한 전신적인 노출을 줄이면서 국소적 종양 조절을 증가시키는 것이 목표이다. 약물이 전신순환에 들어가기 전에 간에 의해 부분적으로 독성이 제거되고 신진대사가 되기 때문에 전신적 독성의 위험성과 횟수를 줄이게 된다.
복막내 화학요법을 위하여 Tenckhoff 복막투석 cath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데 이는 복강 내에 외과적으로 삽입되어 복막내 말단에 위치한다.
■ 화학요법에 관련된 문제들
화학요법이 암 환자에게 큰 가치가 있지만 화학요법은 이로 인한 악성종양을 생기게 할 수도 있다. 정상세포에 장기적 손상을 입히는 약물로는 busulfan, chlorambcil, cyclophosphamide, melphalan 등의 alkylating agent이다. 가장 흔히 보고 되는 속발성 암으로는 짧은 잠복기를 가지고 있는 급성 비림프성 백혈병 acute nonlymphocytic leukemia이 있다. 대부분의 환자들이 진단 6개월 안에 사망한다. 속발성 악성종양의 위험이 가장 큰 암으로는 Hodgkin 림프종, non-Hodgkin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난소암, 유방암, 위장계암, 폐암, 고환암이 있다.
■ 간호 및 환자교육
복강 내 화학요법에서의 간호
복강 내의 격렬한 수액변화로 생기는 복부팽만이나 압박을 관리하기 위해 느슨한 옷을 입도록 하고 매 15분마다 체위를 변경시키며 주입 시에는 semi Fowler's position을 취해주도록 한다. 주입하는 동안 환자가 심한 호흡곤란을 호소하면 수액을 속히 중단하고, cath 주위에서 누출이 생기면 cath의 위치를 재확인한다.
충분한 영양과 수화상태를 유지하도록 격려한다.
오심, 구토, 변비, 설사, 배뇨시 불편감, 구강의 자극 및 소양증을 조절하기 위해 자가 간호
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출혈의 위험징후에 대하여 교육한다.
체온측정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철저한 손 씻기 기술을 사용하며 감염의 징후를 확인하고
보고하며, 감염된 사람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강조한다.
두, 경부암 - 진행성 두,경부암 및 재발된 두경부암.
위암 - 진생성 및 전이성 국소재발성 위암
용법/용량 : 비소세포암 폐암, 유방암 - 75-100mg/m2을 매 3주마다 1시간 동안 IV
백금유도체와 복합 치료시 최대 75mg/m2
유방암에 대한 일차 요법에서 독소루비신과 병행시75mg/m2
난소암 - 75-100mg/m2을 매 3주 마다 1시간 동안 IV
두,경부암 - 성인 1일 1회 60mg/m2 1시간 이상 3-4주 간격으로 IV
1회 최대 70mg/m2
위암 -70mg/m2 매 3주 마다 1시간 동안 IV
9) Copolang (Polysaccharide potassium)
적응증 : 소화기 암(위암, 결장암, 직장암 ), 폐암
용법/ 용량 : 1일 6캅셀 1-3회 분복
부작용 : 오심, 구토, 하리, 식욕부진
■ 투약경로
약물의 약리학적 역동성에 따라 경로가 다양해질 수 있다.
1) IV / central venous line
IV는 약 투입이 용이하고 환자가 편안하게 느끼며 좀더 지속적으로 약 주입을 할 수 있는 내/외적 pump system이기 때문에 최근에 와서 IV 경로가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 중심정맥관 관리
마스크와 소독장갑을 끼고 cath 주위 7~8cm까지 닦는다.
약물투여 전 2~5ml의 NS로 flushing
약물 주입후 규칙적으로 HPR을 주입하여 cath가 막히지 않도록
Groshing cath는 끝이 둥글고 cath로 들어가는 정맥혈을 막고 cap을 씌우지 않았을 때
공기를 차단하는 valve를 가지고 있다. 이 cath는 사용 후 NS로 flushing은 하나 HPR
주입은 필요하지 않다.
2) Implant port
완전히 환자의 피부 아래층에 있어 감염에 대한 방어선으로 작용한다. 이의 장점은 혈관이나 체강에 반복되는 통로를 제공하여 환자에게는 최소의 손상과 고통을 주며, 약물/혈액/영양제 또는 기타 수액을 지속적으로 또는 bolus로 주입할 수 있고, 또한 혈액 검사물 채취를 위한 경로가 되며 환자가 정상적인 신체상을 가지고 일상생활활동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한다. cath가 동맥 내에 있는지 정맥 내에 있는지에 따라 1주 또는 1개월마다 씻어낸다.
3) 복막내 화학요법
복막강은 BBB와 유사하게 세포질로 둘러싸여 혈행으로부터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종양의 은신처로 작용한다. 복막내 화학요법은 아주 작은 잔류 암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약물독성에 대한 전신적인 노출을 줄이면서 국소적 종양 조절을 증가시키는 것이 목표이다. 약물이 전신순환에 들어가기 전에 간에 의해 부분적으로 독성이 제거되고 신진대사가 되기 때문에 전신적 독성의 위험성과 횟수를 줄이게 된다.
복막내 화학요법을 위하여 Tenckhoff 복막투석 cath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데 이는 복강 내에 외과적으로 삽입되어 복막내 말단에 위치한다.
■ 화학요법에 관련된 문제들
화학요법이 암 환자에게 큰 가치가 있지만 화학요법은 이로 인한 악성종양을 생기게 할 수도 있다. 정상세포에 장기적 손상을 입히는 약물로는 busulfan, chlorambcil, cyclophosphamide, melphalan 등의 alkylating agent이다. 가장 흔히 보고 되는 속발성 암으로는 짧은 잠복기를 가지고 있는 급성 비림프성 백혈병 acute nonlymphocytic leukemia이 있다. 대부분의 환자들이 진단 6개월 안에 사망한다. 속발성 악성종양의 위험이 가장 큰 암으로는 Hodgkin 림프종, non-Hodgkin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난소암, 유방암, 위장계암, 폐암, 고환암이 있다.
■ 간호 및 환자교육
복강 내 화학요법에서의 간호
복강 내의 격렬한 수액변화로 생기는 복부팽만이나 압박을 관리하기 위해 느슨한 옷을 입도록 하고 매 15분마다 체위를 변경시키며 주입 시에는 semi Fowler's position을 취해주도록 한다. 주입하는 동안 환자가 심한 호흡곤란을 호소하면 수액을 속히 중단하고, cath 주위에서 누출이 생기면 cath의 위치를 재확인한다.
충분한 영양과 수화상태를 유지하도록 격려한다.
오심, 구토, 변비, 설사, 배뇨시 불편감, 구강의 자극 및 소양증을 조절하기 위해 자가 간호
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출혈의 위험징후에 대하여 교육한다.
체온측정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철저한 손 씻기 기술을 사용하며 감염의 징후를 확인하고
보고하며, 감염된 사람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강조한다.
추천자료
간암(hepatoma)
암(cancer) 질병
[성인간호학]암환자 간호의 최신지견
급성 백혈병의 발병원인
만성 골수성 백혈병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CML)
여드름의 치료방법
간암 문헌고찰
임상검사의 임상적의의
[간종양][간암][간경화][간염]간의 기능, 간의 구조, 간암(간암의 정의, 간암의 임상증상, 간...
[간암의 정의][간암의 원인][간암의 현황][간암의 자각증상][간암의 치료법][간암의 예방법][...
종양환자간호에 필요란 기본용어 및 약어정리
[위선암(위암)][위선암(위암) 개념][위선암(위암) 발생요인][위선암 빈도]위선암(위암)의 개...
[발반사마사지] 발반사마사지 역사와 효과 및 발반사마사지 방법 - 발반사마사지 역사, 효과,...
성인간호학 2017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관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