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Abstract
2 Objective
3 Theory and Analysis
4 Apparatus (tested or used)
5 Methods
6 Data and Results
7 Discussion and conclusions
8 References
2 Objective
3 Theory and Analysis
4 Apparatus (tested or used)
5 Methods
6 Data and Results
7 Discussion and conclusions
8 References
본문내용
서 오차를 줄이는 방법일 것이다.
습구온도는 실내/외 모두 변화폭이 크지 않았으며, 약간의 변화폭역시 여러 이유가 있을 수 있다. 실외경우는 그늘과 햇볕 두 군데에서의 온도가 다르다 이유는 햇볕 때문에 증발되는 량이 달라지기 때문인 것이다. 그리고 건구 온도계를 사용하여 습구를 제작 시에 부주를 손으로 만지지 말아야 하는데 실수로 손으로 만져 불순물이 들어가서 오차를 줄 수도 있다. 그리고 실외와 실내의 온도가 약 1℃정도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실내가 실외보다 습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기압의 경우 우리는 수은기압계를 이용하였다. 수은기압계의 특성상 수은수위를 맞추고 수치를 읽는 것인데, 이때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수은 수위를 약간만 조절을 잘못해도 압력이 약 100mmHg가 차이가 나는 것이다 우리는 여러 번 측정하여 그 조금이 이러한 오차를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위를 잘 맞추었다고 해도 눈금을 읽기 위해 올라간 표면장력에 맞추고 눈금을 읽는데 눈높이가 맞지 않아 사람에 따라 약간씩 다르게 맞추어 지는 것을 볼 수 있었고 눈금역시 읽기가 눈높이가 높아서 아래에서 위로 쳐다보는 경우가 되어 보기가 힘들었다. 이로 인하여 약간의 오차가 생길수도 있다.
기압의 경우 우리는 수은기압계를 이용하였다. 수은기압계의 특성상 수은수위를 맞추고 수치를 읽는 것인데, 이때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수은 수위를 약간만 조절을 잘못해도 압력이 약 100mmHg가 차이가 나는 것이다 우리는 여러 번 측정하여 그 조금이 이러한 오차를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위를 잘 맞추었다고 해도 눈금을 읽기위해 올
라간 표면장력에 맞추고 눈금을 읽는데 눈높이가 맞지 않아 사람에 따라 약간씩 다르게 맞추어 지는 것을 볼 수 있었고 눈금역시 읽기가 눈높이가 높아서 아래에서 위로 쳐다보는 경우가 되어 보기가 힘들었다. 이로 인하여 약간의 오차가 생길수도 있다.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방법에도 오차가 생길수가 있는데 그 이유 중 가장 큰 이유는 그래프를 보고 측정하는 것이라서 미세부분의 수치까지 없고 큰 정수부분만 있어 이것으로 1-10% 정도의 차이를 보일수가 있다. 그래프의 중간에 걸리면 눈대중으로 하기 때문에 사람마다 각기 다른 것이다. 또한 위에서 측정한 건구온도와 습구온도의 오차가 여기에 영향을 주어 다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할 때도 신중히 해야 하고, 그래프로 상대습도 측정 시에는 보다 정밀한 그래프를 이용하거나 없으면 자를 대고 되도록 정확하게 하여 오차를 줄이는 방법이 있다.
이산화탄소의 측정 시에 일정하지가 않고 매우 유동적이었다. 그 변화폭도 매우 커서 이것이 믿을 수 있는 값인지 조차 의심스러울 정도였다. 450ppm정도에서 680ppm까지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는데 도무지 믿을 수가 없었다. 허나 그 이유는 바로 사람들에게서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람들이 내뿜는 이산화탄소(CO2)가 그 장치에 영향을 주어 농도 측정에 오차를 발생한 것이다. 실제로 가까이 가서 보려가 다가갔을 때 내가 내뿜는 이산화탄소로 인하여 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런데 사람들이 밀집해 있는 공간에다가 두었으니 변화가 심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장소를 한적한곳에 옮겨 두었더니 변화폭이 작은 결과를 얻었으며 여전히 약간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오차의 원인이 결국 사람에 있음이 확실하기 때문에 측정 시에는 좀더 조심하여 측정하고 사람들이 없는 곳에 두고 결과를 얻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계산상의 농도변화에 대한오차는 PPM을 구함으로서 비교 분석하는 것으로 측정값의 실내값인 520ppm (기계값)의 경우도 실제로 이상기체 방정식과 온도, 위도, 고도 보정을 통하여 구해보면 536ppm의 결과가 나왔다. 이는 16ppm정도의 오차를 보이고 실외역시 220ppm 인 것이 계산결과 223ppm이 나왔다. 결국 3ppm의 오차를 보이고 있다. 표준대기압(25℃ 1기압 그리고 0℃1기압) 경우도 오차가 발생되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이 결과의 원인은 일단 측정값에 압력보정을 위하여 온도와 위도 그리고 고도 보정을 하는데 미세한 소수점까지 보정차트가 없이 추정하여 값을 넣어 약간의 오차를 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수치상으로 상당히 미미할 것으로 보이고, 두 번째 추측은 바로 식 자체의 문제점이다. 이상기체 방정식의 상수 R 값이 0.082가 특정 기압에서 상수라서 약간의 오차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번실험을 통하여 생각한 우리조의 공통된 의견이다.
이렇게 오차들의 원인이 있는 가운데 잘 모르고 시도를 하고 거의 다 끝나서야 알게 된 이런 오차들로 현제의 측정값이 오차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앞으로 측정을 할 때는 보다 세심하고 보다 많은 데이터를 습득하여 평균치를 내는 것이 중요하겠다.
References
온도
http://www.gisang.go.kr/kk_kc1_02.html
http://203.247.66.52:7001/kma08/indexnumber_12.htm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11&dir_id=1102&docid=32025
기압
http://100.naver.com/100.php?id=29197
http://gisang.go.kr/kk_kc2_01.html
http://kr.encycl.yahoo.com/enc/info.html?key=1162050
이상기체방정식
http://100.empas.com/pentry.html?i=1709760
http://210.217.247.140/nohhr/chem4/chem13.htm
습도
http://kr.encycl.yahoo.com/enc/info.html?key=1533580
http://100.naver.com/100.php?id=87063
http://100.naver.com/100.php?id=99919
http://203.230.167.134/sungmin/Mathpage/MATHLOVE/discomfort.html
http://100.naver.com/100.php?id=80023
습구온도는 실내/외 모두 변화폭이 크지 않았으며, 약간의 변화폭역시 여러 이유가 있을 수 있다. 실외경우는 그늘과 햇볕 두 군데에서의 온도가 다르다 이유는 햇볕 때문에 증발되는 량이 달라지기 때문인 것이다. 그리고 건구 온도계를 사용하여 습구를 제작 시에 부주를 손으로 만지지 말아야 하는데 실수로 손으로 만져 불순물이 들어가서 오차를 줄 수도 있다. 그리고 실외와 실내의 온도가 약 1℃정도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실내가 실외보다 습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기압의 경우 우리는 수은기압계를 이용하였다. 수은기압계의 특성상 수은수위를 맞추고 수치를 읽는 것인데, 이때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수은 수위를 약간만 조절을 잘못해도 압력이 약 100mmHg가 차이가 나는 것이다 우리는 여러 번 측정하여 그 조금이 이러한 오차를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위를 잘 맞추었다고 해도 눈금을 읽기 위해 올라간 표면장력에 맞추고 눈금을 읽는데 눈높이가 맞지 않아 사람에 따라 약간씩 다르게 맞추어 지는 것을 볼 수 있었고 눈금역시 읽기가 눈높이가 높아서 아래에서 위로 쳐다보는 경우가 되어 보기가 힘들었다. 이로 인하여 약간의 오차가 생길수도 있다.
기압의 경우 우리는 수은기압계를 이용하였다. 수은기압계의 특성상 수은수위를 맞추고 수치를 읽는 것인데, 이때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수은 수위를 약간만 조절을 잘못해도 압력이 약 100mmHg가 차이가 나는 것이다 우리는 여러 번 측정하여 그 조금이 이러한 오차를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위를 잘 맞추었다고 해도 눈금을 읽기위해 올
라간 표면장력에 맞추고 눈금을 읽는데 눈높이가 맞지 않아 사람에 따라 약간씩 다르게 맞추어 지는 것을 볼 수 있었고 눈금역시 읽기가 눈높이가 높아서 아래에서 위로 쳐다보는 경우가 되어 보기가 힘들었다. 이로 인하여 약간의 오차가 생길수도 있다.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방법에도 오차가 생길수가 있는데 그 이유 중 가장 큰 이유는 그래프를 보고 측정하는 것이라서 미세부분의 수치까지 없고 큰 정수부분만 있어 이것으로 1-10% 정도의 차이를 보일수가 있다. 그래프의 중간에 걸리면 눈대중으로 하기 때문에 사람마다 각기 다른 것이다. 또한 위에서 측정한 건구온도와 습구온도의 오차가 여기에 영향을 주어 다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할 때도 신중히 해야 하고, 그래프로 상대습도 측정 시에는 보다 정밀한 그래프를 이용하거나 없으면 자를 대고 되도록 정확하게 하여 오차를 줄이는 방법이 있다.
이산화탄소의 측정 시에 일정하지가 않고 매우 유동적이었다. 그 변화폭도 매우 커서 이것이 믿을 수 있는 값인지 조차 의심스러울 정도였다. 450ppm정도에서 680ppm까지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는데 도무지 믿을 수가 없었다. 허나 그 이유는 바로 사람들에게서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람들이 내뿜는 이산화탄소(CO2)가 그 장치에 영향을 주어 농도 측정에 오차를 발생한 것이다. 실제로 가까이 가서 보려가 다가갔을 때 내가 내뿜는 이산화탄소로 인하여 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런데 사람들이 밀집해 있는 공간에다가 두었으니 변화가 심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장소를 한적한곳에 옮겨 두었더니 변화폭이 작은 결과를 얻었으며 여전히 약간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오차의 원인이 결국 사람에 있음이 확실하기 때문에 측정 시에는 좀더 조심하여 측정하고 사람들이 없는 곳에 두고 결과를 얻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계산상의 농도변화에 대한오차는 PPM을 구함으로서 비교 분석하는 것으로 측정값의 실내값인 520ppm (기계값)의 경우도 실제로 이상기체 방정식과 온도, 위도, 고도 보정을 통하여 구해보면 536ppm의 결과가 나왔다. 이는 16ppm정도의 오차를 보이고 실외역시 220ppm 인 것이 계산결과 223ppm이 나왔다. 결국 3ppm의 오차를 보이고 있다. 표준대기압(25℃ 1기압 그리고 0℃1기압) 경우도 오차가 발생되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이 결과의 원인은 일단 측정값에 압력보정을 위하여 온도와 위도 그리고 고도 보정을 하는데 미세한 소수점까지 보정차트가 없이 추정하여 값을 넣어 약간의 오차를 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수치상으로 상당히 미미할 것으로 보이고, 두 번째 추측은 바로 식 자체의 문제점이다. 이상기체 방정식의 상수 R 값이 0.082가 특정 기압에서 상수라서 약간의 오차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번실험을 통하여 생각한 우리조의 공통된 의견이다.
이렇게 오차들의 원인이 있는 가운데 잘 모르고 시도를 하고 거의 다 끝나서야 알게 된 이런 오차들로 현제의 측정값이 오차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앞으로 측정을 할 때는 보다 세심하고 보다 많은 데이터를 습득하여 평균치를 내는 것이 중요하겠다.
References
온도
http://www.gisang.go.kr/kk_kc1_02.html
http://203.247.66.52:7001/kma08/indexnumber_12.htm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11&dir_id=1102&docid=32025
기압
http://100.naver.com/100.php?id=29197
http://gisang.go.kr/kk_kc2_01.html
http://kr.encycl.yahoo.com/enc/info.html?key=1162050
이상기체방정식
http://100.empas.com/pentry.html?i=1709760
http://210.217.247.140/nohhr/chem4/chem13.htm
습도
http://kr.encycl.yahoo.com/enc/info.html?key=1533580
http://100.naver.com/100.php?id=87063
http://100.naver.com/100.php?id=99919
http://203.230.167.134/sungmin/Mathpage/MATHLOVE/discomfort.html
http://100.naver.com/100.php?id=80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