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차 교육과정( 6차비교,특징, 비판점과보완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7차 교육과정의 문제점

Ⅳ. 7차 교육과정 개선점

본문내용

별 이수 단위
수까지 국가 수준에서 결정
②학교급별 자율성이 전혀 없음
③학교 단위 재량권 없음 → 과원 교사, 상치 교사 발생, 교원수급유연화 정책으로 유도
④학생들도 획일적인 교육환경에 놓이게 됨
5) 재량활동 시간
①시간 활용 범위가 정해져 있음 → 재량 활동 시간이 아님
②선택교과, 공통기본교과 심화·보충 등은 학생들의 학습 부담 증가로 이어짐
③학기당 이수 과목수를 10개 내외로 하겠다는 원칙에 위배됨
④창의적 재량활동 등은 또다시 형식적 운영에 그치게 될 것임.
6) 특별활동
①비교과 교육활동으로서의 위상을 분명히 하지 못함 → 교과에 비해 시간이 너무 적음
②고등학교의 경우 단체 활동 폐지로 시수가 축소됨
③학생 자치활동에 대한 법적, 제도적 강제성이 필요
Ⅳ. 7차 교육과정 개선점
1. 교육 내용
- 단편적 지식 나열식에서 벗어나야 함
- 교과로서의 위상을 분명히 해야 함 → 학문적 접근이 아닌 교과로서의 접근이 필요
- 교육 목표와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핵심적 내용을 추출하고 강조점을 다르게 해야 함.
- 시대적, 사회적 요구의 반영되는 교육 내용 선정이 되어야 함
2. 교육 내용 조직 관점
- 학습자가 각 교과가 이해시키고자 하는 세계를 볼수 있도록 구조화 되어야 함
- 선택된 주제에 대한 이해를 학생들의 실생활의 맥락을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방향으로 구조화해야 함
- 다양한 주제를 나열하는 것 보다 몇몇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는 방식으로 바뀌어야 함
3. 교육 내용의 수준
- 학령 발달 단계에 적합하도록 적정화해야 함
- 많은 내용을 피상적으로 학습시키기 보다는 몇몇 주제를 깊이 있게 폭넓게 다루면
학생들의 실질적, 심리적 학습 부담은 줄어들 것
- 수준의 개념 재정립 필요 → 학습 속도나 이해 능력의 차이, 활동 선호도, 흥미 뿐
아니라 학습 내용을 체화시키는 정도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대되어야 함
4. 교과 각론의 변화
- 가르쳐야할 과목이나 시간수에 대한 논쟁보다는 가르쳐야할 내용의 범위와 성격에
대한 논의가 깊어져야 함
- 현장 교사들이 주도하는 교육 내용 개발이 되어야 함
- 총론과 각론이 깊은 연계성을 가질 수 있어야 함
- 학교급별, 학년별 연계성, 지속성 확보해야 함
5. 교과서 - 재량 시간이 가능한 체제로
- 교육 내용의 획일성 탈피는 국가 수준의 평가에 대한 입장 정리가 우선되어야 함.
- 과목별 재량활동 시간을 마련해야 한다 → 교육 내용 편성에 있어 전체 시수의 60-70% 분량만 정하고 나머지는 교사와 학생이 자율적으로 운영하게 함.
- 교과서 발행 제도의 개선이 필요 → 국정 폐지, 자유발행제 모두 논의해야 함.
6. 통합 교과
- 과목 편제와 단위제 운영으로 해야 함.
- 학문적, 임상적 연구가 깊이 있게 진행되어야 함.
- 교사 양성 과정의 통합교과적 접근이 우선되어야 함.
- 학교 교육 환경의 개선이 선행되어야 함.
- 무리한 과목 통합은 시행되지 말아야 함.
7. 교사 교육과정과 평가권 확보
- 교사들이 교과 교육 내용을 재구성할 수 있는 권한을 가져야 함.
- 가르친 내용을 평가하는 것은 교사의 고유 권한이어야 함.
- 전국 250만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실시되어서는 안됨.
8. 평가의 본래적 의미 회복
- 학생들을 선발하고 변별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의도한 교육적 목표 도달정도와 교육적 필요를 파악하기 위한 역할을 해야 함.
- 교수학습이 각종 평가에 지배받아서는 안됨.
- 국가 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의 경우 전수 평가는 안되고 표본 평가가 되어야 함.
- 수능을 정점으로 위계화된 평가 질서를 깨뜨려야 함.
9. 절대 기준 평가 체제로의 전환
- 사전에 설정된 바람직한 교수-학습 목표의 체계에 비추어 그 달성여부나 정도를 평가 하는 진정한 의미의 교육평가방식 이루어 져야 함.
- 절대 기준 설정에 앞서 교육 내용과 난이도의 적정화가 선행되어야 함.
10. 평가 영역과 방법의 다양화
- 객관적인 점수나 인증이 필요한 영역 → 읽기, 쓰기, 셈하기 등의 기초적인 능력 측정
- 점수화가 필요하지 않은 영역 → 예체능, 도덕, 실과 등은 서술식 평가로 이루어 져야 함.
- 수행능력, 동료와의 관계 속에 학습하고 생활하는 능력 등 다양한 자료의 수집이 필요 함.
11. 교사의 평가권 보장
- 교사가 평가주체가 됨으로써 교육적으로 성장할 수 있고, 전문적 능력을 기를 수 있을 것임.
- 교수학습의 의미가 교사의 안내로 학교와 학생이 함께 지식을 구성해 가는 학습과정
으로 변해가는 상황에서, 평가 단위도 그런 학습과정이 이루어지는 학습단위로 이루어 져야 할 것임.
- 일제식 평가 방식에서 탈피할 필요가 있음.
12. 연간 수업 일수 감축
- 180일 내외로 감축해야 한다. → 주5일제 수업 실시
- 자기 주동적 학습 능력 향상
- 사회와 가정의 교육적 기능의 회복
13. 주당 수업 시수 감축
- 교과 수업 마친 후 다양한 교육 활동 시행
- 학령 발달 단계에 맞는 적절한 수업 시수 책정
14. 교사가 주도하는 교육과정 개발 및 개정
- 교과 교육 전문가는 대학 교수가 아닌 현장 교사
- 교육현장 전문가인 교사가 교육과정 개발과 시행의 주체여야 함.
- 개별 교사 차원의 참여가 아닌 집단의 의사를 대변할 수 있는 조직적 참여라야 함.
- 교육과정 개발 단계에 광범위한 교사들의 참여를 보장하는 논의의 틀을 만드는 것은 최고의 연수기회를 부여하는 것임
15. 교육과정 상시 개정을 위한 교육과정기구 설치
- 주기적, 전면적 교육과정 개정은 낭비, 불필요
- 교육과정에 대한 상시적인 평가와 개정이 이루어져야 함.
- 교사, 학부모, 시민단체, 교육부 등이 참여하는 교육과정 기구 필요
16. 투자가 선행되는 교육과정 개발
- 문서상의 변화가 아닌 교육 현장의 변화를 위해서는 먼저 투자가 이루어져야 함.
- 현재의 교육 환경과 예정된 투자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편성해야 함.
참 고 문 헌
유광찬 (1999). 교육과정의 이해. 교육과학사.
진영은 (2003).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교육부 (1998). 초등학교 교육과정.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http://www. naver. com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5.10.04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46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