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본문내용
하는 미군함 포격
-草芝鎭 함락--唐城鎭 공격
魚在淵의 수비대 격전 패퇴
甲곧(갑구지)미군 격퇴
==대원군의 쇄국정책 강화(斥和碑 건립--洋夷侵犯 非戰則和 主和賣國)
.격퇴이유--유생의 척화론이 지지, 미국(남북전쟁후 서부개척 등 국내문제 주력), 프랑스(인도차이나 식민지 경영)가 자국의 사정으로 적극적인 대조선정책 이 없었음
.영국:인도경영, 러시아:연해주 개척
.일본:철종4년(1854)--영일조약
5년(1855)--미국과 수교
5년(1855)--로일화친조약
6년(1856)--네덜란드와 수교
==明治維新 단행(1868)--왕정복고--근대국가체제
.조선에 통보--수교요구, 대원군은 일본이 보낸 국서의 형식이 관례에 어긋남로 거절(서계의 문구:皇, 勅)
.1870년대--정한론 대두
.대원군의 의구심 깊어감--斥倭, 斥洋同一視
.대원군 정치의 평가
-긍정론:조선이 서구 자본주의 열강의 침략을 막아낼 수 있었던 것은 대원군 정권의 지도력과 민중의 반침략의지가 하나로 결집되었기 때문에 가능
반침략 투쟁은 나라를 식민지화의 위게에서 건져내고 자주성을 지켰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
-부정론:대원군 정권이 발휘한 반침략투쟁에서의 지도력은 자주적 근대화를 추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오히려 봉건지배체제를 유지 강화하는 방향으로 행사되었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타율적 개항을 맞아 불평등조약을 체결하게 됨
1894년의 농민전쟁
.농민의 동요
-조선후기:삼정의 문란--지주-전호간 대립관계--확대 심화
곡가앙등, 토착수공업의 위축--지주, 부농, 대상인 지위상승, 빈농, 영세수공업자, 영세상인, 도시빈민--몰락
-재정적자 심화--민중수탈의 강화
-민중--다양한 형태의 변혁운동 계속, 항쟁계속
농민봉기, 1894년 농민전쟁 직전 집중발생--전라도 지방
봉기의 주도층--부민층--소농, 빈논층
화적의 습격 빈번, 범위, 규모 확대
-농민항쟁:봉건체제의 전반에 대한 변혁 요구는 못함
국지적 일회적, 전국적 조직형성 없음
-농민항쟁을 전국적으로 통합시키는데는 동학의 포교조직이 중요 역할
-東學--심화되던 봉건체제의 모순과 열강의 침략 위기 속에 崔濟愚가 창시(1860)
-반봉건적 지향--봉건적 신분질서 부정(天心이 人心, 事人如天)
地上天國說(민중이 복을 누리고 지배층은 몰락)
-서학에 대항--반침략적 성격
-無爲而化:後天開闢 세상이 저절로 열린다.--인간의 실천적 노력을 중요시하지 않음
==지도원리 되기 어려움(민중의 힘을 혁명적 차원으로 끌어올리는데는 한계)
교리의 반봉건, 반침략적 요소__농민에 급속히 파급
-교조 최제우의 사형으로 타격
-2대 교주 崔時亨--교세확장에 노력:包, 接 등 조직망 설치
경전 마련(東經大典, 龍潭遺事)
-동학의 교세확장--탄압 강화
-교조에 대한 신원과 교도에 대한 지방관의 탄압금지 요구(1892년 11월 정라도 삼례)--충청, 전라감사
-1893년 교도대표 40명 복합상소
-충청도 보은, 금구에서 대규모 집회개최--2만여명 참가(1893,3)
--서장옥, 황하일, 전봉준 등 남접지도자:반봉건, 반침략투쟁으로 전환 시도--서울로 진격하여 탐관오리 축출계획
-탐관오리축출과 청왜척양의 정치적 내용 부각
-정부는 군대파견 움직임, 향리징벌 약속
-동학 금령 붕괴, 대규모 반봉건, 반침략투쟁 일어날 조짐
.농민전재의 전개과정
-전라도고부는 본건적 수탈이 심한지역, 쌀수출과 관련하여 일본상이늬 침탈이 심함
-수탈, 억압:수세 강제 징수, 균전에서의 부당한 소작료 징수, 전운의 폐단 , 방곡령 이용한 모리행위, 陣荒地, 災結에서의 징세, 대동미 부당징수 등:농민봉기의 조건제공
-금구집회 이후 남접지도자 세력 신장
-고부군수 趙秉甲의 농민 수탈--농민의 원성고조
萬石洑 수축에 농민 동원--고액의 수세 징수 착복
-全琫準 등의 남접지도자는 1893년 11월 말
고부성을 격파하고 군 수 조병갑을 효수 한다.
전주성을 함락하고 서울로 직향한다, 등의 행동방침 결정, 봉기 준비
-1894년1월 10일 전봉준의 지도로 농민궐기
고부관아 습격 무기 탈취, 불법 징수 미곡을 주인에 돌려줌
만석보 아래 신축 둑 파괴
옥문 열고 무고한 백성 석방
-조직과 대오를 정비하여 말목장터 거쳐 백산으로 이동하여 진을 침
-고부의 농민봉기는 신임 군수 박원명의 회유책으로 진정기미
-농민전쟁의 확대계기--안핵사 이용태의 폭압
모든 책임 농민에 전가 (체포, 구타, 방화, 재화약탈)
-고부 농민 해산 후 전봉준은 무장에서 2차 봉기준비
-3월20일 재봉기, 고부관아 점령, 백산으로 진출, 각지농민 가세
-부대편성--대장에 전봉준, 부대장에 손화중, 김개남 선출--서울로 진출, 봉건지배층 타도, 외래침략자 축출, 행동목표:除暴救民, 輔國安民, 일반 대중과 하급관리 합세 호소
-4월 7일 黃土峴에서 전주 감영군 격파, 남진--정읍, 흥덕, 고창, 무장, 영광, 함평, 장성, 공략(관아 습격, 백성석방, 무기압수, 탐학관리, 양반, 지주, 부호 징계, 재물 빈민에 분배)
-4월23일--장성에서 초토사 홍계훈의 중앙군 선발대 격파 북상, 정읍, 태인, 금구거쳐 4월 27일 전주성에 무혈입성
-정부:청에 원병ㅇ청, 일본도 거류민 보호구실로 인천에 상륙 대립
-5월8일:전주화약 성립--청.일군의 출동, 민족적 위기, 농번기로 농민호응 어려움
내용
전결부담의 경감, 전운소 폐지, 균전 폐지, 고리대 징수 폐지, 미곡유출 금지, 외국상인의 내지침투 금지, 무명잡세 철폐 및 탐관오리 철폐, 민씨일파 제거 및 대원군의 옹립, 동학교도의 복권
==농민, 소상인의 자립, 발전 가로막던 봉건적 억압 철폐
외국자본주의 침략 물리칠 것,
대원군 정권의 성립
.전주화약으로 농민군 해산, 정부 약속 불이행
.농민군 직접 개혁 착수--53개군에 執綱所 설치(치안 및 행정 담당)
.집강소:집강 1인, 서기, 집사 등의 임원, 전주에 총본부인 대도소 있어 전봉준이 총지휘, 전라감사 김학진이 공식인정--폐정개혁 12개조 합의
.농민군의 세력확대--양반 유생, 이서층 가담 예 증가, 영세상인, 영세수공업자, 실업자 가담==급진적-과격행동:대지주, 중소지주(요호부민)약탈--부민층의 이탈 초래
.폐정개혁 12개조
-동학교도와 정부는 쌓인원한을
-草芝鎭 함락--唐城鎭 공격
魚在淵의 수비대 격전 패퇴
甲곧(갑구지)미군 격퇴
==대원군의 쇄국정책 강화(斥和碑 건립--洋夷侵犯 非戰則和 主和賣國)
.격퇴이유--유생의 척화론이 지지, 미국(남북전쟁후 서부개척 등 국내문제 주력), 프랑스(인도차이나 식민지 경영)가 자국의 사정으로 적극적인 대조선정책 이 없었음
.영국:인도경영, 러시아:연해주 개척
.일본:철종4년(1854)--영일조약
5년(1855)--미국과 수교
5년(1855)--로일화친조약
6년(1856)--네덜란드와 수교
==明治維新 단행(1868)--왕정복고--근대국가체제
.조선에 통보--수교요구, 대원군은 일본이 보낸 국서의 형식이 관례에 어긋남로 거절(서계의 문구:皇, 勅)
.1870년대--정한론 대두
.대원군의 의구심 깊어감--斥倭, 斥洋同一視
.대원군 정치의 평가
-긍정론:조선이 서구 자본주의 열강의 침략을 막아낼 수 있었던 것은 대원군 정권의 지도력과 민중의 반침략의지가 하나로 결집되었기 때문에 가능
반침략 투쟁은 나라를 식민지화의 위게에서 건져내고 자주성을 지켰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
-부정론:대원군 정권이 발휘한 반침략투쟁에서의 지도력은 자주적 근대화를 추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오히려 봉건지배체제를 유지 강화하는 방향으로 행사되었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타율적 개항을 맞아 불평등조약을 체결하게 됨
1894년의 농민전쟁
.농민의 동요
-조선후기:삼정의 문란--지주-전호간 대립관계--확대 심화
곡가앙등, 토착수공업의 위축--지주, 부농, 대상인 지위상승, 빈농, 영세수공업자, 영세상인, 도시빈민--몰락
-재정적자 심화--민중수탈의 강화
-민중--다양한 형태의 변혁운동 계속, 항쟁계속
농민봉기, 1894년 농민전쟁 직전 집중발생--전라도 지방
봉기의 주도층--부민층--소농, 빈논층
화적의 습격 빈번, 범위, 규모 확대
-농민항쟁:봉건체제의 전반에 대한 변혁 요구는 못함
국지적 일회적, 전국적 조직형성 없음
-농민항쟁을 전국적으로 통합시키는데는 동학의 포교조직이 중요 역할
-東學--심화되던 봉건체제의 모순과 열강의 침략 위기 속에 崔濟愚가 창시(1860)
-반봉건적 지향--봉건적 신분질서 부정(天心이 人心, 事人如天)
地上天國說(민중이 복을 누리고 지배층은 몰락)
-서학에 대항--반침략적 성격
-無爲而化:後天開闢 세상이 저절로 열린다.--인간의 실천적 노력을 중요시하지 않음
==지도원리 되기 어려움(민중의 힘을 혁명적 차원으로 끌어올리는데는 한계)
교리의 반봉건, 반침략적 요소__농민에 급속히 파급
-교조 최제우의 사형으로 타격
-2대 교주 崔時亨--교세확장에 노력:包, 接 등 조직망 설치
경전 마련(東經大典, 龍潭遺事)
-동학의 교세확장--탄압 강화
-교조에 대한 신원과 교도에 대한 지방관의 탄압금지 요구(1892년 11월 정라도 삼례)--충청, 전라감사
-1893년 교도대표 40명 복합상소
-충청도 보은, 금구에서 대규모 집회개최--2만여명 참가(1893,3)
--서장옥, 황하일, 전봉준 등 남접지도자:반봉건, 반침략투쟁으로 전환 시도--서울로 진격하여 탐관오리 축출계획
-탐관오리축출과 청왜척양의 정치적 내용 부각
-정부는 군대파견 움직임, 향리징벌 약속
-동학 금령 붕괴, 대규모 반봉건, 반침략투쟁 일어날 조짐
.농민전재의 전개과정
-전라도고부는 본건적 수탈이 심한지역, 쌀수출과 관련하여 일본상이늬 침탈이 심함
-수탈, 억압:수세 강제 징수, 균전에서의 부당한 소작료 징수, 전운의 폐단 , 방곡령 이용한 모리행위, 陣荒地, 災結에서의 징세, 대동미 부당징수 등:농민봉기의 조건제공
-금구집회 이후 남접지도자 세력 신장
-고부군수 趙秉甲의 농민 수탈--농민의 원성고조
萬石洑 수축에 농민 동원--고액의 수세 징수 착복
-全琫準 등의 남접지도자는 1893년 11월 말
고부성을 격파하고 군 수 조병갑을 효수 한다.
전주성을 함락하고 서울로 직향한다, 등의 행동방침 결정, 봉기 준비
-1894년1월 10일 전봉준의 지도로 농민궐기
고부관아 습격 무기 탈취, 불법 징수 미곡을 주인에 돌려줌
만석보 아래 신축 둑 파괴
옥문 열고 무고한 백성 석방
-조직과 대오를 정비하여 말목장터 거쳐 백산으로 이동하여 진을 침
-고부의 농민봉기는 신임 군수 박원명의 회유책으로 진정기미
-농민전쟁의 확대계기--안핵사 이용태의 폭압
모든 책임 농민에 전가 (체포, 구타, 방화, 재화약탈)
-고부 농민 해산 후 전봉준은 무장에서 2차 봉기준비
-3월20일 재봉기, 고부관아 점령, 백산으로 진출, 각지농민 가세
-부대편성--대장에 전봉준, 부대장에 손화중, 김개남 선출--서울로 진출, 봉건지배층 타도, 외래침략자 축출, 행동목표:除暴救民, 輔國安民, 일반 대중과 하급관리 합세 호소
-4월 7일 黃土峴에서 전주 감영군 격파, 남진--정읍, 흥덕, 고창, 무장, 영광, 함평, 장성, 공략(관아 습격, 백성석방, 무기압수, 탐학관리, 양반, 지주, 부호 징계, 재물 빈민에 분배)
-4월23일--장성에서 초토사 홍계훈의 중앙군 선발대 격파 북상, 정읍, 태인, 금구거쳐 4월 27일 전주성에 무혈입성
-정부:청에 원병ㅇ청, 일본도 거류민 보호구실로 인천에 상륙 대립
-5월8일:전주화약 성립--청.일군의 출동, 민족적 위기, 농번기로 농민호응 어려움
내용
전결부담의 경감, 전운소 폐지, 균전 폐지, 고리대 징수 폐지, 미곡유출 금지, 외국상인의 내지침투 금지, 무명잡세 철폐 및 탐관오리 철폐, 민씨일파 제거 및 대원군의 옹립, 동학교도의 복권
==농민, 소상인의 자립, 발전 가로막던 봉건적 억압 철폐
외국자본주의 침략 물리칠 것,
대원군 정권의 성립
.전주화약으로 농민군 해산, 정부 약속 불이행
.농민군 직접 개혁 착수--53개군에 執綱所 설치(치안 및 행정 담당)
.집강소:집강 1인, 서기, 집사 등의 임원, 전주에 총본부인 대도소 있어 전봉준이 총지휘, 전라감사 김학진이 공식인정--폐정개혁 12개조 합의
.농민군의 세력확대--양반 유생, 이서층 가담 예 증가, 영세상인, 영세수공업자, 실업자 가담==급진적-과격행동:대지주, 중소지주(요호부민)약탈--부민층의 이탈 초래
.폐정개혁 12개조
-동학교도와 정부는 쌓인원한을
추천자료
한국 교육의 역사와 문제
한국 복권의 역사와 나아가야할 방향
한국 YMCA사회체육운동의 역사적 배경과 사회체육활동의 성과
한국 영화산업의 역사적 변화과정과 리얼리즘 경향
한국 전통극의 역사와 마당극
한국 도시주거의 역사와 주거관리
한국 재벌의 역사, 특징, 유래, 변화, 특징, 현황, 사례, 관리, 역할, 문제점, 시사점, 나의...
한국 자원복지의 역사(우리나라 자원복지활동의 발달과정)
한국 사회복지의 역사(우리나라 사회복지 발달과정)
[사범/법학] 한국 사회복지의 역사
한국 사회복지의 역사 [사범/법학]
한국의 사회복지의 역사적 전개
한국 사회복지의 역사 [인문과학]
한국의 교정복지 역사(우리나라 교정복지의 변화와 전개 및 특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