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또한 발열 오한하고 몸이 무겁고 아프게 한다.
經曰:寒傷形, 暑傷氣。
경왈 한상형 서상기.
내경에서 말하길 한기는 형체를 손상하고 서사는 기를 손상한다.
氣傷則氣消而脈虛弱, 所以弦細遲也。
기상즉기소이맥허약 소이현섹지야.
기가 손상하면 기가 소모되고 맥이 허약하므로 그래서 현세규지맥이다.
小便已毛聳者, 陽氣內陷, 不能衛外, 手足亦逆冷也。
소변이모종자 양기내함 불능위외 수족역역랭야.
소변이 그치고 털이 솟음은 양기가 안으로 함몰하여 밖을 지키지 못함이니 손발이 또한 차짐이다.
勞動則擾乎陽, 故熱甚, 則口開, 口開則前板齒燥也。
노동즉요호양 고열심 즉구개 구개즉전판치조야.
노동하면 양이 요란하므로 열이 극심해지고 입이 벌려지니, 입이 벌어지면 앞니가 건조하게 된다.
發汗虛其陽, 則惡寒甚。
발한허기양 즉오한심.
발한하여 양기가 허약하면 오한이 심해진다.
溫針動火邪, 則發熱甚。
온침동화사 즉발열심.
온침으로 화사를 동요하면 발열이 극심해진다.
下之亡津液, 則淋甚也。
하지망진액 즉임심야.
사하하면 진액이 망하므로 임증이 심해진다.
42
太陽中, 身熱疼重, 而脈微弱, 此以夏月傷冷水, 水行皮中所致也, 一物瓜湯主之。
태양중갈 신열동중 이맥미약 차이하월상냉수 수행피중소치야 일물과체탕주지.
태양병 더위에 적중하고, 몸에서 열나고 아프며 무거우며 맥이 미약함은 이는 여름철에 냉수에 손상하여, 물이 피부속에 운행하는 까닭이니, 일물과체탕으로 주치한다.
【注】
주석
太陽中之證, 身熱而倦者, 暑也;
태양중갈지증 신열이권자 서야.
태양병 더위먹은 증상에 몸에서 열나고 권태로움은 더위이다.
身熱疼重者, 濕也;
신열동중자 습야.
몸에서 열나고 아프며 무거운 것은 습사이다.
脈微弱者, 暑傷氣也。
맥미약자 서상기야.
맥이 미약함은 서사가 기를 손상함이다.
以此證脈揆之, 乃因夏月中暑之人, 暴貪風, 過飮冷水, 水氣雖輸行于[於]皮中, 不得汗瀉所致也。
이차증맥규지 내인하월중서지인 폭탐풍량 과음냉수 수기수수행우피중 부득한사소치야.
이 증상과 맥으로 헤아려보면 여름철에 더위 먹은 사람이 갑자기 바람과 추위를 탐하여 냉수를 과다하게 마셔서 수기가 비록 피부 속을 운수하고 운행하여도 발한하고 설사할 수 없기 때문이다.
此時卽以香飮、大順散汗之, 可立愈矣。
차시즉이향유음 대순산한지 가립유의.
이 때는 향유음과 대순산으로 발한하면 곧 나을 수 있다.
若稍緩, 水氣旣不得外瀉, 勢必內攻于[於]中而作喘腫脹矣。
약초완 수기기부득외사 세필내공어중이작천종창의.
만약 조금 완만하여 수기가 이미 밖으로 쏟을 수 없어도, 세력은 반드시 중초에서 안을 공격하여 숨참과 종창이 생긴다.
喘則以大棗湯, 腫脹則以瓜一物湯下之可也。
천즉이정력대조탕 종창즉이과체일물탕하지가야.
숨차면 정력대조탕이고, 종창이 있으면 과체일물탕으로 사하함이 옳다.
【集注】
집주
周揚俊曰:無形之熱傷其肺金, 則用白虎加人參湯;
주양준왈 무형지열상기폐금 즉용백호가인삼탕.
주양준이 말하길 무형의 열이 폐금을 손상하면 백호가인삼탕을 사용한다.
有形之水傷其肺金, 則用瓜湯, 各有所主也。
유형지수상기폐금 즉용과체탕 각유소주야.
형체가 있는 물이 폐금을 손상하면 과체탕을 사용하니 각각 주치가 있다.
李[]曰:中邪在表, 故身熱。
이문왈 중갈사재표 고신열.
이문이 말하길 더위에 적중함이 표부에 있으면 몸에서 열난다.
傷冷水, 故身疼。
상냉수 고신동.
냉수에 손상하므로 몸이 아프다.
中暑傷氣, 氣虛故脈微弱也。
중서상기 기허고맥미약야.
더위에 적중하여 기를 손상하니 기가 허약하므로 맥이 미약하다.
瓜治身面四肢浮腫, 散皮膚中水氣, 苦以泄之也。
과체치신면사지부종 산피부중수기 고이설지야.
과체는 몸과 얼굴 사지의 부종을 치료하고, 피부 속의 수기를 흩어지게 하니 고미로 용설하게 함이다.
<一物瓜湯方>
일물과체탕방
瓜(二十)
과체이십개.
참외꼭지 20개
右[上], 以水一升, 煮取五合, 去滓, 頓服。
상좌 이수일승 자취오합 거재 돈복.
위 참외꼭지를 썰어서 물 1되로써 5홉이 될 때까지 달여 찌꺼기를 제거하고 돈복한다.
百合狐惑陰陽毒病脈證幷治第三
백합호혹음양독병맥증병치제삼.
제 3 백합호혹병과 음양 독병의 맥과 증상과 치료법.
論曰:百合病者, 百脈一宗, 悉致其病也。
논왈 백합병자 백맥일종 실치기병야.
논의하여 말하길 백합병은 모든 맥이 하나의 종주로 모두 그 병을 일으킨다.
意欲食復不能食, 常然, 欲臥不能臥, 欲行不能行, 欲飮食或有美時, 或有不用聞食臭時, 如寒無寒, 如熱無熱, 口苦, 小便赤,
의욕식복불능식 상묵묵연 욕와불능와 욕행불능행 욕음식혹유미시 혹유불용문식취시 여한무한 여열무열 구고 소변적.
뜻은 다시 잘 먹으려고 하나 먹지 못하고, 항상 묵묵하고, 누우려고 하나 눕지 못하고, 보행하려고 해도 다니지 못하고, 음식을 먹으려고 하나, 혹은 맛이 있으나 혹은 밥냄새를 맡으려고 하지 않고, 추운듯하나 한증은 없고, 더운 듯하나 열증이 없고, 입이 쓰고 소변이 붉다.
諸藥不能治, 得藥則劇吐、利, 如有神靈者, 身形如和, 其脈微數。
제약불능치 득약즉극토 리 여유신령자 신형여화 기맥미삭.
모든약으로 치료할 수 없고, 약을 얻으면 심하게 구토하고 하리하며 귀신에 씌운듯하고 몸이 조화된 듯하나 그 맥이 미삭맥이다.
每尿[溺]時頭痛者, 六十日乃愈;
매뇨시두통자 육십일내유.
매번 소변본 때 머리가 아픈 것은 60일에 낫는다.
若尿時頭不痛者, 淅然者, 四十日愈;
약뇨시두불통자 석연자 사십일유.
淅(쌀 일, 씻은 쌀, 소리의 형용 석; 水-총11획; x)
만약 소변볼 때 머리가 아프지 않고 쌀 일듯하면 40일에 낫는다.
若尿[溺]快然, 但頭眩者, 二十日愈。
약뇨쾌연, 단두현자 이십일유.
만약 소변이 상쾌하고 다만 머리만 아찔하면 20일에 낫는다.
其證或未病而預見, 或病四五日而出, 或病二十日或一月微見者, 各隨證治之。
기증혹미병이예현 혹병사오일이출 혹병이십일혹일월미현자 각수증치지.
그 증상이 혹은 병이 없이 미리 증상이 나타나거나 혹은 병이 4~5일인데 나타나거나 혹은 병이 20일이나 혹은 30일에 약간 나타나니 각각 증상을 따라 치료해야 한다.
【注】
주석
百合, 百瓣一, 如人百脈一宗, 命名取治, 皆此義也。
백합 백판일체 여인백맥일종 명명취치 개차의야.
瓣(외씨, 외씨의 核, 꽃잎 판; 瓜-총19획; ban)
백합은 백개의
經曰:寒傷形, 暑傷氣。
경왈 한상형 서상기.
내경에서 말하길 한기는 형체를 손상하고 서사는 기를 손상한다.
氣傷則氣消而脈虛弱, 所以弦細遲也。
기상즉기소이맥허약 소이현섹지야.
기가 손상하면 기가 소모되고 맥이 허약하므로 그래서 현세규지맥이다.
小便已毛聳者, 陽氣內陷, 不能衛外, 手足亦逆冷也。
소변이모종자 양기내함 불능위외 수족역역랭야.
소변이 그치고 털이 솟음은 양기가 안으로 함몰하여 밖을 지키지 못함이니 손발이 또한 차짐이다.
勞動則擾乎陽, 故熱甚, 則口開, 口開則前板齒燥也。
노동즉요호양 고열심 즉구개 구개즉전판치조야.
노동하면 양이 요란하므로 열이 극심해지고 입이 벌려지니, 입이 벌어지면 앞니가 건조하게 된다.
發汗虛其陽, 則惡寒甚。
발한허기양 즉오한심.
발한하여 양기가 허약하면 오한이 심해진다.
溫針動火邪, 則發熱甚。
온침동화사 즉발열심.
온침으로 화사를 동요하면 발열이 극심해진다.
下之亡津液, 則淋甚也。
하지망진액 즉임심야.
사하하면 진액이 망하므로 임증이 심해진다.
42
太陽中, 身熱疼重, 而脈微弱, 此以夏月傷冷水, 水行皮中所致也, 一物瓜湯主之。
태양중갈 신열동중 이맥미약 차이하월상냉수 수행피중소치야 일물과체탕주지.
태양병 더위에 적중하고, 몸에서 열나고 아프며 무거우며 맥이 미약함은 이는 여름철에 냉수에 손상하여, 물이 피부속에 운행하는 까닭이니, 일물과체탕으로 주치한다.
【注】
주석
太陽中之證, 身熱而倦者, 暑也;
태양중갈지증 신열이권자 서야.
태양병 더위먹은 증상에 몸에서 열나고 권태로움은 더위이다.
身熱疼重者, 濕也;
신열동중자 습야.
몸에서 열나고 아프며 무거운 것은 습사이다.
脈微弱者, 暑傷氣也。
맥미약자 서상기야.
맥이 미약함은 서사가 기를 손상함이다.
以此證脈揆之, 乃因夏月中暑之人, 暴貪風, 過飮冷水, 水氣雖輸行于[於]皮中, 不得汗瀉所致也。
이차증맥규지 내인하월중서지인 폭탐풍량 과음냉수 수기수수행우피중 부득한사소치야.
이 증상과 맥으로 헤아려보면 여름철에 더위 먹은 사람이 갑자기 바람과 추위를 탐하여 냉수를 과다하게 마셔서 수기가 비록 피부 속을 운수하고 운행하여도 발한하고 설사할 수 없기 때문이다.
此時卽以香飮、大順散汗之, 可立愈矣。
차시즉이향유음 대순산한지 가립유의.
이 때는 향유음과 대순산으로 발한하면 곧 나을 수 있다.
若稍緩, 水氣旣不得外瀉, 勢必內攻于[於]中而作喘腫脹矣。
약초완 수기기부득외사 세필내공어중이작천종창의.
만약 조금 완만하여 수기가 이미 밖으로 쏟을 수 없어도, 세력은 반드시 중초에서 안을 공격하여 숨참과 종창이 생긴다.
喘則以大棗湯, 腫脹則以瓜一物湯下之可也。
천즉이정력대조탕 종창즉이과체일물탕하지가야.
숨차면 정력대조탕이고, 종창이 있으면 과체일물탕으로 사하함이 옳다.
【集注】
집주
周揚俊曰:無形之熱傷其肺金, 則用白虎加人參湯;
주양준왈 무형지열상기폐금 즉용백호가인삼탕.
주양준이 말하길 무형의 열이 폐금을 손상하면 백호가인삼탕을 사용한다.
有形之水傷其肺金, 則用瓜湯, 各有所主也。
유형지수상기폐금 즉용과체탕 각유소주야.
형체가 있는 물이 폐금을 손상하면 과체탕을 사용하니 각각 주치가 있다.
李[]曰:中邪在表, 故身熱。
이문왈 중갈사재표 고신열.
이문이 말하길 더위에 적중함이 표부에 있으면 몸에서 열난다.
傷冷水, 故身疼。
상냉수 고신동.
냉수에 손상하므로 몸이 아프다.
中暑傷氣, 氣虛故脈微弱也。
중서상기 기허고맥미약야.
더위에 적중하여 기를 손상하니 기가 허약하므로 맥이 미약하다.
瓜治身面四肢浮腫, 散皮膚中水氣, 苦以泄之也。
과체치신면사지부종 산피부중수기 고이설지야.
과체는 몸과 얼굴 사지의 부종을 치료하고, 피부 속의 수기를 흩어지게 하니 고미로 용설하게 함이다.
<一物瓜湯方>
일물과체탕방
瓜(二十)
과체이십개.
참외꼭지 20개
右[上], 以水一升, 煮取五合, 去滓, 頓服。
상좌 이수일승 자취오합 거재 돈복.
위 참외꼭지를 썰어서 물 1되로써 5홉이 될 때까지 달여 찌꺼기를 제거하고 돈복한다.
百合狐惑陰陽毒病脈證幷治第三
백합호혹음양독병맥증병치제삼.
제 3 백합호혹병과 음양 독병의 맥과 증상과 치료법.
論曰:百合病者, 百脈一宗, 悉致其病也。
논왈 백합병자 백맥일종 실치기병야.
논의하여 말하길 백합병은 모든 맥이 하나의 종주로 모두 그 병을 일으킨다.
意欲食復不能食, 常然, 欲臥不能臥, 欲行不能行, 欲飮食或有美時, 或有不用聞食臭時, 如寒無寒, 如熱無熱, 口苦, 小便赤,
의욕식복불능식 상묵묵연 욕와불능와 욕행불능행 욕음식혹유미시 혹유불용문식취시 여한무한 여열무열 구고 소변적.
뜻은 다시 잘 먹으려고 하나 먹지 못하고, 항상 묵묵하고, 누우려고 하나 눕지 못하고, 보행하려고 해도 다니지 못하고, 음식을 먹으려고 하나, 혹은 맛이 있으나 혹은 밥냄새를 맡으려고 하지 않고, 추운듯하나 한증은 없고, 더운 듯하나 열증이 없고, 입이 쓰고 소변이 붉다.
諸藥不能治, 得藥則劇吐、利, 如有神靈者, 身形如和, 其脈微數。
제약불능치 득약즉극토 리 여유신령자 신형여화 기맥미삭.
모든약으로 치료할 수 없고, 약을 얻으면 심하게 구토하고 하리하며 귀신에 씌운듯하고 몸이 조화된 듯하나 그 맥이 미삭맥이다.
每尿[溺]時頭痛者, 六十日乃愈;
매뇨시두통자 육십일내유.
매번 소변본 때 머리가 아픈 것은 60일에 낫는다.
若尿時頭不痛者, 淅然者, 四十日愈;
약뇨시두불통자 석연자 사십일유.
淅(쌀 일, 씻은 쌀, 소리의 형용 석; 水-총11획; x)
만약 소변볼 때 머리가 아프지 않고 쌀 일듯하면 40일에 낫는다.
若尿[溺]快然, 但頭眩者, 二十日愈。
약뇨쾌연, 단두현자 이십일유.
만약 소변이 상쾌하고 다만 머리만 아찔하면 20일에 낫는다.
其證或未病而預見, 或病四五日而出, 或病二十日或一月微見者, 各隨證治之。
기증혹미병이예현 혹병사오일이출 혹병이십일혹일월미현자 각수증치지.
그 증상이 혹은 병이 없이 미리 증상이 나타나거나 혹은 병이 4~5일인데 나타나거나 혹은 병이 20일이나 혹은 30일에 약간 나타나니 각각 증상을 따라 치료해야 한다.
【注】
주석
百合, 百瓣一, 如人百脈一宗, 命名取治, 皆此義也。
백합 백판일체 여인백맥일종 명명취치 개차의야.
瓣(외씨, 외씨의 核, 꽃잎 판; 瓜-총19획; ban)
백합은 백개의
추천자료
오노레 드 발자크의 '고리오영감'
EVERLAND 의 성공전략
그리스 신화의 주요 12신
[갯벌보존]해양습지 갯벌의 생태계와 환경영향평가의 문제
[유전학실험] 동물 식물의 핵형분석
건축계획) 백화점 건축
제주 올레길에 대한 이벤트상품 기획안
은어낚시통신
(A+자료) 한국 외식산업의 역사와 변화 및 특징과 발전배경과 환경적 성장요인 조사분석
몽십야를 통해 본 한일 근대화에 대한 생각
색의 어원과 의미
어패류의 조리.ppt
산림기사, 산림산업기사 필기 자주 나오는 것 정리 [조림학, 산림보호학, 임업경영, 임도공학...
1권 영양사정리 - <영양학> & <생화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