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비평 전의 방법
사무엘 존슨 같은 전문 비평가가 『그레이의 생애』에서 비평 전의 반응을 문학 작품의 가치를 결정하는 궁극적인 기준으로 삼았다. 그러나 존슨 박사가 말하는 18세기 영국의 일반 독자는 산업화된, 도시화한, 민주적인, 대량 교육을 받은 현대 미국의 일반 독자로 정의되어야 할 사람과는 별로 유사점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18세기에서 20세기 사이에 일어난 취향과 문학 교육 과정의 변화를 약간 고려한다면 우리가 어느 정도 비슷한 유형의 독자들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는 데에 대략 동의할 수 있을 것이다.
교양과 학식이 많은 사람들을 포함해서 문학이 많은 사람들에게 그토록 감동을 줄 수 있고, 관심의 대상이 될 수 있고, 그렇게 분명하고 현저하게 교훈적인 용도를 지닌 것이라면, 그것은 지적으로 분석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 분명하다고 전통주의자들은 판단했다. 그러한 견해로 인해서 교육자들은 문학을 교과목으로 삼게 되었다.
일단 문학이 교과 과정 안에 자리를 잡자, 문학은 그것이 무엇이고 무엇을 의미하는가 뿐만 아니라 그것의 방법과 이유를 알기 위해서 그것을 분석하는 (그리고 다시 결합하는) 비평의 정식 훈련을 받게 되었다.
일부 전문 비평가들은 비평의 효과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에 명백한 공감을 표하면서 이러한 논의에서 있게 마련인 면밀한 검색을 견뎌낼 만한 주관과 감상을 중시하는 비평의 기준을 옹호했다.
이 장에서 우리의 목적은 비평 전의 반응은 문학 작품을 완전히 감상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정말 필수적인 것임을 보여주려는 것이다. 그렇게 하면서 비평 <전>의 반응이 무가치한 것이 아닌 것과 마찬가지로 분석이나 전문 지식이 미학적 감수성을 떨어뜨리지 않는다는 사실을 제시하려고 한다. 우리의 감각은 때때로 우리를 잘못 이끌 수 있으므로, 순수한 즐거움을 위해서 읽혀질 뿐만 아니라 연구되고 있는 문학 작품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는 것은 자명한 말이다.
학생들이 항상 기억해야 할 것은 비평 전의 반응이 문학에 대한 열등한 반응이 아니라는 점이다. (결국 우리는 셰익스피어가 『햄릿』에 대한 박학한 비평 방법이 형성할 수 있도록 그 작품을 쓰지 않았다는 것을 확신하게 될 것이다.) 오히려, 기쁨이나 즐거움이 예술의 목표라면, 오감과 감정을 주로 이용하는 비평 전의 반응은 불가결한 것이다. 그것이 없다면 비평가는 사실의 정확성이나 올바른 기계적 형식을 위해서 교정이나 보는 것이 좋다.
○ 배 경
학생들의 영화에 대한 비평 전의 반응은 일반 독자의 문학에 대한 비평 전의 반응과 유사하다. 『치사의 무기』에 나오는 현란한 남부 캘리포니아 무대는 문학 작품의 배경(『허클베리 핀』의 남북 전쟁 전의 남부, <젊은 굿맨 브라운>의 청교도들의 마사추세츠, <수줍은 연인에게>의 기사도 정신이 지배하는 영국, 『햄릿』의 11세기 덴마크)에 해당한다.
여기서 다루어진 작품의 배경에 대한 비평 전의 반응은 다양하고 제멋대로일 것 같다. 『허클베리 핀』의 한 독자는 초기의 전원적인 미국에 대한 향수에, 미시시피강을 내려가는 헉과 짐의 뗏목 여행의 느린 속도와 목가적인 기분에 반응을 보일 것이다. 그렇지만 또 하나의 독자는 귀족적인 그랜저포드가의 부유한 실내 가구나 아칸소의 강변에 자리한 촌락이 보여주는 변경의 원시성과 펠프스가의 소규모 농장의 묘사를 좋아할 것이다. 어떤 독자들은 <젊은 굿맨 브라운>에서의 뉴잉글랜드 숲의 고딕적인 짜임새를 접하고 어둡고 음울한 햄릿성에서처럼 진지해질 것이다. <수줍은 연인에게>의 실제 배경은 (균형있게 설계된 정원인지? 귀족 영지의 넓은 공원인지? 쁘띠 뜨리아농 형의 아파트인지?) 추정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대리석 납골당”과 “광막한 영겁의 사막” 같은 무시무시하거나 섬뜩한 장소들이 언급된 반면 “인도의 간지스강”과 “험버강의 물결” 같은 낭만적인 의미를 내포하는 배경이 언급되어 있다.
○ 플 롯
개별적인 영화 자체에 대한 학생들의 단순한 견해는 주인공과 적대 인물(햄릿 대 그의 숙부, 멜 깁슨 대 폭력배들, 살인자들 및 마약 밀매자들)을 포함하는 갈등(플롯)에 대한 독자의 비평 전의 반응과 동일하다. 극적 사건을 좋아하는 독자들은 햄릿이 복수하는 단계에서 복수가 죄 없는 사람에게 미칠 때조차도 스릴을 느낄 것이며, 햄릿이 오필리아의 진실성과 무죄를 알지 못하는 데서 그리고 그가 정당한 판단의 결과를 즐기지 못하게 되는 데서 얄
사무엘 존슨 같은 전문 비평가가 『그레이의 생애』에서 비평 전의 반응을 문학 작품의 가치를 결정하는 궁극적인 기준으로 삼았다. 그러나 존슨 박사가 말하는 18세기 영국의 일반 독자는 산업화된, 도시화한, 민주적인, 대량 교육을 받은 현대 미국의 일반 독자로 정의되어야 할 사람과는 별로 유사점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18세기에서 20세기 사이에 일어난 취향과 문학 교육 과정의 변화를 약간 고려한다면 우리가 어느 정도 비슷한 유형의 독자들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는 데에 대략 동의할 수 있을 것이다.
교양과 학식이 많은 사람들을 포함해서 문학이 많은 사람들에게 그토록 감동을 줄 수 있고, 관심의 대상이 될 수 있고, 그렇게 분명하고 현저하게 교훈적인 용도를 지닌 것이라면, 그것은 지적으로 분석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 분명하다고 전통주의자들은 판단했다. 그러한 견해로 인해서 교육자들은 문학을 교과목으로 삼게 되었다.
일단 문학이 교과 과정 안에 자리를 잡자, 문학은 그것이 무엇이고 무엇을 의미하는가 뿐만 아니라 그것의 방법과 이유를 알기 위해서 그것을 분석하는 (그리고 다시 결합하는) 비평의 정식 훈련을 받게 되었다.
일부 전문 비평가들은 비평의 효과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에 명백한 공감을 표하면서 이러한 논의에서 있게 마련인 면밀한 검색을 견뎌낼 만한 주관과 감상을 중시하는 비평의 기준을 옹호했다.
이 장에서 우리의 목적은 비평 전의 반응은 문학 작품을 완전히 감상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정말 필수적인 것임을 보여주려는 것이다. 그렇게 하면서 비평 <전>의 반응이 무가치한 것이 아닌 것과 마찬가지로 분석이나 전문 지식이 미학적 감수성을 떨어뜨리지 않는다는 사실을 제시하려고 한다. 우리의 감각은 때때로 우리를 잘못 이끌 수 있으므로, 순수한 즐거움을 위해서 읽혀질 뿐만 아니라 연구되고 있는 문학 작품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는 것은 자명한 말이다.
학생들이 항상 기억해야 할 것은 비평 전의 반응이 문학에 대한 열등한 반응이 아니라는 점이다. (결국 우리는 셰익스피어가 『햄릿』에 대한 박학한 비평 방법이 형성할 수 있도록 그 작품을 쓰지 않았다는 것을 확신하게 될 것이다.) 오히려, 기쁨이나 즐거움이 예술의 목표라면, 오감과 감정을 주로 이용하는 비평 전의 반응은 불가결한 것이다. 그것이 없다면 비평가는 사실의 정확성이나 올바른 기계적 형식을 위해서 교정이나 보는 것이 좋다.
○ 배 경
학생들의 영화에 대한 비평 전의 반응은 일반 독자의 문학에 대한 비평 전의 반응과 유사하다. 『치사의 무기』에 나오는 현란한 남부 캘리포니아 무대는 문학 작품의 배경(『허클베리 핀』의 남북 전쟁 전의 남부, <젊은 굿맨 브라운>의 청교도들의 마사추세츠, <수줍은 연인에게>의 기사도 정신이 지배하는 영국, 『햄릿』의 11세기 덴마크)에 해당한다.
여기서 다루어진 작품의 배경에 대한 비평 전의 반응은 다양하고 제멋대로일 것 같다. 『허클베리 핀』의 한 독자는 초기의 전원적인 미국에 대한 향수에, 미시시피강을 내려가는 헉과 짐의 뗏목 여행의 느린 속도와 목가적인 기분에 반응을 보일 것이다. 그렇지만 또 하나의 독자는 귀족적인 그랜저포드가의 부유한 실내 가구나 아칸소의 강변에 자리한 촌락이 보여주는 변경의 원시성과 펠프스가의 소규모 농장의 묘사를 좋아할 것이다. 어떤 독자들은 <젊은 굿맨 브라운>에서의 뉴잉글랜드 숲의 고딕적인 짜임새를 접하고 어둡고 음울한 햄릿성에서처럼 진지해질 것이다. <수줍은 연인에게>의 실제 배경은 (균형있게 설계된 정원인지? 귀족 영지의 넓은 공원인지? 쁘띠 뜨리아농 형의 아파트인지?) 추정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대리석 납골당”과 “광막한 영겁의 사막” 같은 무시무시하거나 섬뜩한 장소들이 언급된 반면 “인도의 간지스강”과 “험버강의 물결” 같은 낭만적인 의미를 내포하는 배경이 언급되어 있다.
○ 플 롯
개별적인 영화 자체에 대한 학생들의 단순한 견해는 주인공과 적대 인물(햄릿 대 그의 숙부, 멜 깁슨 대 폭력배들, 살인자들 및 마약 밀매자들)을 포함하는 갈등(플롯)에 대한 독자의 비평 전의 반응과 동일하다. 극적 사건을 좋아하는 독자들은 햄릿이 복수하는 단계에서 복수가 죄 없는 사람에게 미칠 때조차도 스릴을 느낄 것이며, 햄릿이 오필리아의 진실성과 무죄를 알지 못하는 데서 그리고 그가 정당한 판단의 결과를 즐기지 못하게 되는 데서 얄
추천자료
다양한 비평관점으로 바라본 '주홍글씨'
신비평과 리비스
독자반응비평의 중심 개념들에 대한 정의 (구조주의, 현상학, 주관 비평에 관하여..)
형식주의 비평
문학 비평 이론 중 신비평에 대한 조사
러시아형식주의비평
페미니즘과 문학비평 - 토릴 모이의 '다락방의 미친 여자'를 중심으로
햄릿(HAMLET), Alice Walker Everyday Use, Young Goodman Brown 비평분석
황순원 소설〈소나기〉의 구조주의 비평적 접근
<도서요약 및 분석>『신화비평』 및『탈구조주의 비평』에 대해
베오울프의 비평 및 작가론 조사
- 김수영 문학과 분단극복의 현재성을 중심으로 본 역사주의 비평의 이론과 실제
변증학발표-이슬람,이슬람의 신관,알라의 거룩성과 도덕성,알라의 사랑과 용서,꾸란의 특징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