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수출경쟁력제고방안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수출경쟁력제고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한국과 수출과의 관계

Ⅱ. 국제경쟁력의 의미와 조건

Ⅲ. 주요 시장에서의 한국기업의 경쟁력과 사례
1. 미국
2. 일본
3. 중국
4. 유럽 (EU)

Ⅳ. 한국 주력산업들의 경쟁력 위기

Ⅴ. 결 론

본문내용

야 함
ㅇ 안전, 건강, 환경 등을 고려한 틈새시장 개척과 함께 일본의 아웃소싱 추세를 대일 부품수출 활성화의 계기로 삼고, 유통분야 및 인터넷, 전자, 통신, 생명공학 등 첨단분야에 대한 진출을 확대
ㅇ 2001년 대일수출이 전년대비 19.3% 감소한 가운데 전열기기, 케이블, 주형베이스, 유선전화기, 특수차량 부품, 철구조물, 주물용 절연제 등 수출호조 품목에 대한 시장유지 및 확대에 주력
ㅇ 제트엔진 등 선진국이 독과점하고 있는 고기술 품목과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 수출확대를 도모하고, 장기적으로는 첨단분야에 대한 정부지원 확대를 통해 수출구조를 개편
ㅇ 원-엔 환율이 100엔당 1,050~1,100원에서 안정되도록 운용하는 한편, 일본시장에 대한 수출보험 지원 등도 강화
ㅇ 일본의 관세, 비관세 장벽 완화를 위해 정부간 정례 협의회 개최 등 통상협력을 강화해야 하며, 민간채널을 통한 접근도 바람직
ㅇ 2001년 우리나라 전체 수출의 14.3%를 외투기업이 기여한 만큼, 일본기업 투자유치를 확대해야 하며, 이를 위해 노사문제 해결, 고비용 생산구조 해소 등 투자여건 개선에 주력
ㅇ FTA 추진과 관련, 국내 일부 산업계가 수출확대 효과에 대한 의구심 때문에 소극적인 입장을 보이는 만큼, 주요 산업별 실질 협력과 일본의 비관세 장벽 완화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임
상위 20대품목 :
- 14개 품목이 성장산업(주도, 상실)에 속한 반면 쇠퇴산업(상실, 역주도)에는 6개 품목이 포함되어 주로 성장산업 분야에 특화
주도영역에서 음성재생기, 광학용품 등은 점유율이 빠르게 확대
상실영역중 자료처리기계(컴퓨터), 통신기기, 전자기계부품 등은 한국의 점유율이 상승한 반면 일본은 빠르게 하락
- 수요정체 산업에서는 화물차, 자동차부품 등이 해외 직접 진출에 따른 현지생산 확대로 쇠퇴
공작기계, 특수산업기계 등 고가제품은 수요정체에도 불구 기술력을 바탕으로 점유율 확대
주 도 (6개) : 승용차, 전기기계, 음성재생, 측정장비, 화학, 광학 등
상 실 (8개) : 전자관, 기계부품, 통신장비, 컴퓨터, 내연기관. 이륜차 등
쇠 퇴 (3개) : 자동차부품, 화물자동차, 펌프 등
역주도 (3개) : 특수산업기계, 선박, 공작기계 등
2) 수출부진 개선방안
□ 품질경쟁력 향상
ㅇ 중국 등 후발경쟁국의 부상에 따라 가격경쟁력에 의존한 수출은 한계를 드러내고 있으므로 품질향상 및 제품차별화가 필요
- 후발경쟁국들이 갖지 못한 기술, 디자인, 아이디어를 적극 활용해야 하며, 「중가격, 고품질」의 독자적인 상품이미지 구축이 필요함
- 이를 위해 전통산업의 IT화 촉진, 국가이미지 및 브랜드파워 개선을 위한 홍보강화 등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
□ 틈새시장 개발노력 강화
ㅇ 수출품목의 시장점유 주기가 짧아지고, 후발 개도국과의 경쟁 또한 치열하게 전개되는 현실을 감안, 신제품 개발주기를 단축해 시장을 선도하는 전략이 필요
ㅇ 일본사회의 고령화추세와 환경에 대한 인식제고로 안전, 건강, 환경 등에 대한 관심이 강화되면서 관련 상품의 수요가 늘고 있으므로 이 시장을 전략적으로 개척
ㅇ 또 일본경제의 장기침체에 따른 경쟁격화 및 기업의 구조조정에 따른 비용절감 압박으로 해외로의 지속적인 수입선 전환 확대가 예상되므로 이같은 일본기업의 아웃소싱 추세를 적극 활용, 대일수출 증가로 연결
ㅇ 특히 일본에 대한 현지화 전략의 일환으로 유통분야 투자진출을 통한 시장공략과 함께 인터넷, 전자, 통신, 생명공학 등 첨단분야에 대한 진출 및 일본기업과의 협력을 강화
□ 수출호조 품목의 시장유지 및 확대
ㅇ 대일수출시 한때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다가 곧바로 후발국에게 시장을 빼앗기는 사례가 많아 최근의 수출호조 품목을 지원
- 2001년 대일수출이 전년대비 19.3% 감소했으나, 전열기기, 케이블, 주형베이스, 유선전화기, 특수차량 부품, 철구조물, 주물용 절연제 등은 수출이 증가
품 목
현 황
경쟁국 동향
전열기기 및 관련부품
(HS 8516)
ㅇ 2000년과 2001년에도 수입 증가율이 각각 21%와 29.8%에 달했으며, 2년 연속 중국이 30%대의 증가세를 기록하며 1위를 고수
ㅇ 우리나라는 2001년 78%의 증가율로 3위로 부상했는데, 이는 10위권 중 최고 수준
중국과 태국이 전체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
절연전선, 케이블
(HS 8544)
ㅇ 수입증가율 11.8%를 기록한 품목으로, 96년 미국을 앞선 중국이 계속 1위를 고수
ㅇ 우리나라는 95년부터 수출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2001년에는 33.6%가 증가했는데, 이는 베트남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 수준
2001년 순위는 필리핀, 미국, 베트남 순이며, 이들 역시 플러스 증가율을 기록
주형베이스 및 관련금속
(HS 8480)
ㅇ 94년 이래 견조한 수입 증가세가 이어진 가운데 한국산이 24% 증가하며 58.5%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
중국(49.4%)과태국(37.2%)이 증가율을 높이고 있음
유선 전화기
(HS 8517)
ㅇ 2001년 1위인 미국이 전년대비 27.6% 감소한데 반해 우리나라는 593.1%의 높은 증가율로 전년 11위에서 8위로 부상
중국과 대만 역시 124.6%와 85.8%의 증가율을 기록
트랙터등 특수차량 부품
(HS 8708)
ㅇ 6위권인 우리나라는 99년 이래 3년 연속 30%대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2001년에는 33.2%로 다른국가 증가율을 상회
미국, 독일, 중국, 태국, 대만 등이 1~5위를 차지
철강 구조물
(HS 7308)
ㅇ 최근 2년간 증가세가 유지된 가운데 우리나라는 전년대비 71.6%가 증가하며 1위를 기록
다른 국가의 추격은 거의 없음
주물용
점결제
(HS 3824)
ㅇ 미국이 30% 이상의 시장을 차지하고 있는 있는 품목으로, 일본 전체적으로도 2000년 14.8%, 2001년 16.8% 등 견조세를 기록중
ㅇ 우리나라는 2000년만 해도 미국, 독일, 싱가포르에 뒤졌으나, 2001년에는 전년대비 131.7%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며 시장을 확대, 독일과 싱가포르를 제치고 2위로 올라섬
미국이 오랫동안 1위 자리를 지켜온 품목으로 독일, 싱가포르, 중국 등이 우리 뒤를 바짝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6.02.04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80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