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푸집에 대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거푸집에 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받이를 댄다.
멍에대기의 간격은, 일반적으로 밑에서 75cm 정도, 위에서 90~110cm 정도, 철선조임간격은 하부 75cm, 중앙 90cm, 상부 100~110cm 정도로 벽 거푸집 배치한다.
벽에 요철이 없고 넓은 벽애는 패널을 크게 짜대는 것이 유리하다.
벽에도 밑에 청소구멍을 내어야 하고, 문꼴부는 벽의 한쪽 거푸집을 짠 다음 소요치수로 가설문틀 또는 두꺼운 널 등으로 갓둘레를 막고 가새를 대어 변형을 방지한다. 창문 밑은 그냥 두어도 좋지만 콘크리트가 위로 밀려오르게 될 우려가 있을 때에는 대어야 한다.
(4) 보의 거푸집
보의 단면치수는 각각 다르므로, 보의 거푸집에 패널을 사용하기는 불편하다. 일반적으로 거푸집은 밑판과 옆판을 따로 짜서 조립하거나 함께 짜서 건다. 보의 거푸집은 밑판을 먼저, 받침기둥.팔대.보밑 멍에로 받쳐짠 다음 옆판을 댄다. 옆판은 밑판보다 먼저 떼낼 수 있게 짜야 한다.
보의 나비가 클 때에 멍에는 원칙적으로 두 줄로 하고, 나비가 작고 경미한 것은 한 줄로 한다.
보의 헌칭(hunching)은 대개 아래 윗층이 같으므로, 위층의 기둥이 작아졌을 때에는 보의 거푸집 밑판의 한 끝을 길게 이어내면 된다.
보 거푸집
(5) 바닥 거푸집
바닥거푸집은 패널을 쓸 때가 많다. 먼저 받침기둥위에 멍에를 걸고, 벽옆.보 옆에는 장선받이를 대고 여기 에 장선을 패널의 크기에 맞추어 대고 패널을 짠다.
(6) 받침 기둥
간격은 그 크기(굵기)와 하중을 고려하여 정한다. 하중은 한 개의 받침기둥이 받는 면적의 콘크리트무게의 배위 값을 취하고, 기둥은 단면과 좌굴길이로 산출한다. 따라서 층높이가 높을때에는 이동.변형을 막기 위하여 그 중간 또는 상호에 2×10(cm) 정도의 가새 또는 잡이대(연결대) 등을 댄다. 받침기둥 밑은 두 개의 쐐기를 쳐서 높이를 조절한 보.바닥판의 지지방법 다.
지면에 새울때에는, 받침기둥 밑에는 땅을 고르고 다진 위에 나비가 상당한 판을 받침기둥 밑에 놓아 가라앉지 않게 해야한다.
보.바닥판 등의 거푸집의 지주는 딜 수 있는 대로 통재를 쓰고, 승인을 얻은 것 또는 특별히 긴 것 외에는 3단 이상 이어쓰지 않는다. 지주는 중강세서 수평으로 서로 연결하거나 가새를 대어 지주의 옆휨을 막아야 한다. 주체가 철골일 때에는 철골보에서 볼트 등으로 밑창판을 달아매면 지주는 생략할 수가 있다. 보 및 바닥판의 거푸집은 중앙에서 간사이(span)의 1/300~1/500정도로 치켜올리는 것이 보통이지만 지나치게 할 필요는 없다.
(7) 기타 거푸집
계단 거푸집 채양 거푸집
계단, 채양 등은 미리 공작도 또는 원척도를 작성하고 그에 따라 가공 조립한다.
시스템 거푸집
시스템 거푸집이란 종래의 거푸집 공법과는 달리 기둥 거푸집, 벽 거푸집, 보 거푸집 등을 지상에서 미리 제작한 후 설치 장소에서는 조립만 하고, 탈형 시에 는 대형 유닛(unit)으로 해체하여 다음 장소에서 그대로 전용할 수 있는 거푸집 을 말한다.
1) 슬라이딩 폼(sliding form, slip form)
슬라이딩 폼은 슬립 폼이라고도 하며, 수평수직적으로 반복된 구조물을 시공 이음이 없이 균일한 형상으로 시공하기 위하여 요크(yoke)로드(rod)유압잭 (jack)을 이용하여 거푸집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조물을 시공하는 거푸집 공법.
거푸집의 높이는 약 1.2m, 하부가 약간 넓게 되어 있다. 공기(工期)를 약 1/3정도로 단축할 수 있고, 내외 비계 발판을 따로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거푸집 재료 슬라이딩 폼 및 설치비가 절약된다.
2) 갱 폼(gang form)
사용할 때마다 작은 부재의 조립, 분해를 반복하지 않고 대형화단순화하여 한번에 설치하고 해체하는 거푸집을 말한다. 원래 갱 폼이라고 하는 것은 넓은 의미에서는 대형화한 모든 거푸집을 의미하지만 시스템 거푸집을 분류할 때는 벽체용 거푸집만을 뜻한다. 고층 아파트, 콘도미니엄, 병원, 사무소 건물, 벽식구조 의 건물이 적용 효과가 매우 크며, 수직적 또는 수평적으로 동일 모듈(module)이 15개정도 이상이면 적용이 가능하다.
3) 클라이밍 폼(climbing form)
벽체 전용 거푸집으로서 거푸집과 벽체 마감 공사를 위한 비계틀을 일체로 조립하여 한꺼번에 인양시켜 거푸집을 설치하는 공법으로 갱 폼에 거푸집을 설치를 위한 비계틀과 마감용 비계를 일체로 제작한 거푸집이라 할 수 있다.
클라이밍 폼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① 거푸집 작업과 마감 작업을 위한 비계틀이 일체로 제작되어 비계 설치가 필요 없다.
② 고소작업시 안전성이 높다.
③ 거푸집 해체시 콘크리트에 미치는 충격이 적다.
④ 장비를 이용하므로 인력 절감 및 공기 단축이 가능하다.
⑤ 콘크리트면의 품질이 양호하다. 그러나 초기 투자비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4) 플라잉 폼(flying form, flying shore form)
바닥 전용 거푸집으로서 거푸집판장선멍에서포터 등을 일체로 제작하여 수평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푸집으로 테이블 폼(table form)이라고도 한다.
5) 터널 폼(tunnel form)
터널 폼이란 벽식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시공할 때 벽과 바닥의 콘크리트 타설 을 한번에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벽체용 거푸집과 바닥 거푸집을 일체로 제작하여 한번에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도록 한 거푸집이다. 종류로는 트윈 셸(twin shell)과 모노 셸(mono shell)등이 있으며 주로 아파트, 병원의 병실, 호텔의 객 실, 토목공사의 원형 터널, 배수암거 등에 사용된다.
6) 와플 거푸집(waffle form)
무량판구조(無梁板構造:mush slab construction), 또는 평판구조(平板構 造:flat slab construction)에서 특수 상자 모양의 기성 재 거푸집을 와플 거푸집이라 한다. 이것은 철판제 또는 합성수지판제로 하여 밑에서 보면 우물 반자의 형식으로 되는 것이다.
크기는 60~90cm각, 높이 9~18cm이고 모서리는 모두 둥그스름하게 되어있다. 이것은 바닥 거푸집을 짜고 그 위에 거리 간격을 맞추어 설치하는 법과 넓은 장선 와플 거푸집 을 井자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5.11.01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80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