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산후조리의 의미
2. 산후조리의 목적
3. 산후조리의 기간
4. 전통적인 산후관습
5. 산후조리의 기본원리와 방법
6. 전통적인 산후조리법
7. 산후조리의 현대적 적용
Ⅲ. 결 론
Ⅱ. 본 론
1. 산후조리의 의미
2. 산후조리의 목적
3. 산후조리의 기간
4. 전통적인 산후관습
5. 산후조리의 기본원리와 방법
6. 전통적인 산후조리법
7. 산후조리의 현대적 적용
Ⅲ. 결 론
본문내용
빼주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젖을 잘 돌게 하므로 모유수유를 계획하고 있는 산모는 특히 섭취해야 할 식품이다.
< 산모가 피해야 할 음식 >
① 차가운 채소, 얼음
찬 음식은 몸의 기운을 차갑게 하여 혈액순환, 소화력을 저하시키며 생리기능 전반의 회복에도 좋지 않다.
② 마른오징어, 육포 등 딱딱한 음식
산후에는 치아가 약한 상태이므로 질기고 단단한 음식은 좋지 않다. 특히, 마른 오징어나 무와 같은 딱딱한 음식은 이를 약하게 만들기 때문에 좋지 않다.
③ 짠 음식
짠 음식은 혈액순환의 저하로 유즙 분비를 방해한다.
7. 산후조리의 현대적 적용
그 동안 우리나라에서 적용된 산후관리 방법과 지식체들은 서양의 가치 신념을 반영한 서구의 지식 그대로의 의식으로서 우리 사회의 문화적 특성과 많이 위배되어 혼돈과 갈등의 원인이 되어 왔다. 예를 들면, 산후의 조기이상, 전통적인 원리와 무관한 병원식사, 샤워의 종용 및 따뜻하지 않은 일반 환자 중심의 병실 환경 등 일반 여성들이 갖고 있는 산후조리의 원리를 반영하지 못하여 온 것과 간호전달방식 역시 수직적인 위치에서 이러한 문화적 측면을 전혀 반영하지 않은 일방적인 관리, 지시나 교육으로 되어온 것이 주지의 사실이다.
산후조리의 문화적 영향 하에 있는 현실에서 적절한 간호중재를 위해서는 간호사가 대상자인 여성이 무엇을 요구하는지, 어떻게 그 기대를 충족시키며, 기대되는 결과를 어디 위해 어떤 과정을 밟아 어떻게 향상시켜야 할지 알아야 한다(Arnold, 1993). 여성의 기대와 관심을 알지 않고 간호사의 일방적인 교육이나 중재는 아무리 전문가 자신이 적절하다고 믿는다 해도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
Ⅲ. 결 론
산후조리는 산후 여성이 특별한 특권의 기간 동안 회복을 증진시키고, 건강을 유지하며, 질병을 예방하며, 이전의 산후조리 동안 얻은 병의 치료, 앞으로의 건강을 증진하고 수유 증진과 아기의 건강을 유지. 증진하기 위해 산모가 준수해야 할 구체적인 방법과 과업을 의미한다. 산후조리는 구체적인 목적, 원리와 방법, 근거, 기간 및 결과가 명시되어 있는 여성들의 출산과 관련된 건강신념 및 실천체계로서 산모 자신, 가족, 이웃과 사회 집단이 총체적으로 그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산후조리는 한국전통과 문화 속에 깊게 뿌리를 내린 생리정신사회문화적인 총체로서의 현상이며, 산모를 돌보기 위해서 여러 세대를 통한 축적된 경험을 토대로 고안된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산후조리는 산후의 여성과 평생 동안의 여성의 절병 없는 건강과 안녕을 위해 여성들의 경험을 통해 중요시되며, 또한 여성들에 의해 여성의 관점에서, 일반 여성들에 의해 고안된, 전인적인 접근 안목을 갖는 구체적인 지식과 방법을 포함하고 있는 실체로 한국의 고유한 사회문화 내에 녹아 있는 동양 철학사상인 조화와 균형의 세계관 속에서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형성되고 사회화 과정을 통해 학습되고 전습되어 온 독특한 의미 체계의 망을 갖고 있는 하나의 상징적인 현실이라고 볼 수 있겠다.
앞으로 우리는 전문적인 산후관리인 산후조리의 의미를 산모의 관점에서부터 파악하여 산후조리가 여성의 건강유지 증진 및 질병의 예방 방법이라는 의미를 대상자에게 교육하고, 또한 산모 건강증진을 위해 한국의 산후 문화와 일치된 간호중재 개발의 중요성을 알아야 하겠다.
Ⅳ. 참고문헌
여성건강간호학(상) / 이경혜 외 10명 / 현문사
모성간호학 1 / 이영숙 / 현문사
출산과 육아의 풍속사 / 나은주 / 사람과 사람
http://doctor.co.kr/site/jks/k02.html
http://medcity.com/jilbyung/sanhubaram.html
< 산모가 피해야 할 음식 >
① 차가운 채소, 얼음
찬 음식은 몸의 기운을 차갑게 하여 혈액순환, 소화력을 저하시키며 생리기능 전반의 회복에도 좋지 않다.
② 마른오징어, 육포 등 딱딱한 음식
산후에는 치아가 약한 상태이므로 질기고 단단한 음식은 좋지 않다. 특히, 마른 오징어나 무와 같은 딱딱한 음식은 이를 약하게 만들기 때문에 좋지 않다.
③ 짠 음식
짠 음식은 혈액순환의 저하로 유즙 분비를 방해한다.
7. 산후조리의 현대적 적용
그 동안 우리나라에서 적용된 산후관리 방법과 지식체들은 서양의 가치 신념을 반영한 서구의 지식 그대로의 의식으로서 우리 사회의 문화적 특성과 많이 위배되어 혼돈과 갈등의 원인이 되어 왔다. 예를 들면, 산후의 조기이상, 전통적인 원리와 무관한 병원식사, 샤워의 종용 및 따뜻하지 않은 일반 환자 중심의 병실 환경 등 일반 여성들이 갖고 있는 산후조리의 원리를 반영하지 못하여 온 것과 간호전달방식 역시 수직적인 위치에서 이러한 문화적 측면을 전혀 반영하지 않은 일방적인 관리, 지시나 교육으로 되어온 것이 주지의 사실이다.
산후조리의 문화적 영향 하에 있는 현실에서 적절한 간호중재를 위해서는 간호사가 대상자인 여성이 무엇을 요구하는지, 어떻게 그 기대를 충족시키며, 기대되는 결과를 어디 위해 어떤 과정을 밟아 어떻게 향상시켜야 할지 알아야 한다(Arnold, 1993). 여성의 기대와 관심을 알지 않고 간호사의 일방적인 교육이나 중재는 아무리 전문가 자신이 적절하다고 믿는다 해도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
Ⅲ. 결 론
산후조리는 산후 여성이 특별한 특권의 기간 동안 회복을 증진시키고, 건강을 유지하며, 질병을 예방하며, 이전의 산후조리 동안 얻은 병의 치료, 앞으로의 건강을 증진하고 수유 증진과 아기의 건강을 유지. 증진하기 위해 산모가 준수해야 할 구체적인 방법과 과업을 의미한다. 산후조리는 구체적인 목적, 원리와 방법, 근거, 기간 및 결과가 명시되어 있는 여성들의 출산과 관련된 건강신념 및 실천체계로서 산모 자신, 가족, 이웃과 사회 집단이 총체적으로 그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산후조리는 한국전통과 문화 속에 깊게 뿌리를 내린 생리정신사회문화적인 총체로서의 현상이며, 산모를 돌보기 위해서 여러 세대를 통한 축적된 경험을 토대로 고안된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산후조리는 산후의 여성과 평생 동안의 여성의 절병 없는 건강과 안녕을 위해 여성들의 경험을 통해 중요시되며, 또한 여성들에 의해 여성의 관점에서, 일반 여성들에 의해 고안된, 전인적인 접근 안목을 갖는 구체적인 지식과 방법을 포함하고 있는 실체로 한국의 고유한 사회문화 내에 녹아 있는 동양 철학사상인 조화와 균형의 세계관 속에서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형성되고 사회화 과정을 통해 학습되고 전습되어 온 독특한 의미 체계의 망을 갖고 있는 하나의 상징적인 현실이라고 볼 수 있겠다.
앞으로 우리는 전문적인 산후관리인 산후조리의 의미를 산모의 관점에서부터 파악하여 산후조리가 여성의 건강유지 증진 및 질병의 예방 방법이라는 의미를 대상자에게 교육하고, 또한 산모 건강증진을 위해 한국의 산후 문화와 일치된 간호중재 개발의 중요성을 알아야 하겠다.
Ⅳ. 참고문헌
여성건강간호학(상) / 이경혜 외 10명 / 현문사
모성간호학 1 / 이영숙 / 현문사
출산과 육아의 풍속사 / 나은주 / 사람과 사람
http://doctor.co.kr/site/jks/k02.html
http://medcity.com/jilbyung/sanhubaram.html
키워드
추천자료
[생활대]-파스타 조리법
모성간호학
모성건강 및 모성보호의 사회학적 의미와 방향
권숙희 교수님의 레포트
산욕기 간호(postpartum period) case study
우울증의 원인, 정의, 종류, 요인, 트라우마, 가면성 우울증, 자가진단 치료, 과정, 문제점, ...
2014년 1학기 조리과학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시니어 여성을 위한 산후 전문 케어 서비스신사업 신사업 우수 창업제안서 - 「골드미스 웰씨...
시니어 여성을 위한 산후 전문 케어 서비스신사업 신사업 우수 제안서 (창업·사업계획서) - “...
2015년 1학기 조리과학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보편적普遍的 복지와 선별적 복지의 특징과 차이점에 대한 고찰
2016년 1월부터 시행하는 성남시 3대 무상복지사업과 보건복지부와의 법적다툼 내용을 서술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