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신보건사회사업의 개념
1. 정신보건사회사업의 정의
2. 정신보건 사회사업의 구성요소
[2] 정신보건사회사업의 발달
1. 우리나라에서의 발달
[3] 정신보건 사회사업의 대상
1. 성격장애의 분류
2. 신경증의 분류
3. 정신분열증의 분류
[4] 정신보건사회사업의 기능
1. 정신과 치료팀과 협력
2. 환자 및 가족에 대한 직접적인 서비스
3. 병원 내 프로그램계획과 정책결정에 참여
4. 지역사회자원조직과 연결
5. 교육프로그램에 참여
6. 정신보건 및 지역사회에 정신사회재활을 위한 연구․조사
[5] 정신보건사회사업가의 역할
[6] 정신보건사회사업의 실천분야
1. 종합병원 신경정신과와 정신과 전문병원
2. 신경정신과 의원
3. 지역사회 보건소
4. 정신요양원
5. 사회복귀시설
6.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
1. 정신보건사회사업의 정의
2. 정신보건 사회사업의 구성요소
[2] 정신보건사회사업의 발달
1. 우리나라에서의 발달
[3] 정신보건 사회사업의 대상
1. 성격장애의 분류
2. 신경증의 분류
3. 정신분열증의 분류
[4] 정신보건사회사업의 기능
1. 정신과 치료팀과 협력
2. 환자 및 가족에 대한 직접적인 서비스
3. 병원 내 프로그램계획과 정책결정에 참여
4. 지역사회자원조직과 연결
5. 교육프로그램에 참여
6. 정신보건 및 지역사회에 정신사회재활을 위한 연구․조사
[5] 정신보건사회사업가의 역할
[6] 정신보건사회사업의 실천분야
1. 종합병원 신경정신과와 정신과 전문병원
2. 신경정신과 의원
3. 지역사회 보건소
4. 정신요양원
5. 사회복귀시설
6.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
본문내용
상담, ② 음성반응환자의 집단지도, ③ 사회복귀를 위한 집단치료, ④ 사회기술과 적응훈련, ⑤ 생활 기술과 대인관계훈련, ⑥ 가족정신교육과 상담, ⑦ 정신장애인의 가족회 조직과 육성, ⑧ 재가 정신장애자에 대한 가정방문, ⑨ 지역사회자원 동원과 후원회 조직과 육성, ⑩ 지역사회주민을 위한 정신건강교육, 지역사회주민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계몽사업, 의료기관과 지역사회기관과의 연결 업무 등이 사회복지사가 할 수 있는 주요 역할이라 볼 수 있다.
6.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
사회정신의학과 지역사회정신의학(community psychiatry)이 예방정신의학적인 성격을 가지기 시작하면서 다양한 예방과 재활 및 재발 방지를 위한 운동이 일어났다.
지역사회정신의학의 영향을 보면, 일정한 지역사회로의 귀환조치, 다양한 지역사회 보건서비스의 통합, 학교, 경찰서, 산업장과 같은 비정신 의학기관에서 정신의학적 상담과 서비스, 지역사회와 정신질환자와의 지속적인 유대관계의 확립 및 유지 지역사회 정신건강 프로그램의 조직화 등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지역사회정신보건은 전통적인 임상정신의학의 문제점에 대한 의료적 대책의 변화이다. 즉, 입원치료 후 사후지도가 불충분하고, 청소년, 노인의 치료 대책이 뒤졌으며, 병원중심주의의 경직된 치료 활동의 제한성 등으로부터 내부적으로는 정신병원의 개방제(open ward system)로 발전되었고, 치료적 공동사회의 형성, 집단치료, 작업치료의 적극화, 각종 재활(rehabilitation)의 강화, 환자의 사회복귀대책의 현실화 등으로 발전되어가는 진료행태로 변해가기 시작하였다. 이는 병원에 장기입원으로 인한 인격의 황폐를 막기 위한 것으로 입원기간의 단축을 가져왔다.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의 성격은 전통적인 정신병원의 입원치료로서 다루지 못하는 영역인 예방, 홍보 그리고 재활서비스를 다룸으로써 전에는 정신질환자가 지역사회와 격리되어야 했으나 좀 더 개방적이고 치료적인 지역사회환경 내에서 치료 이외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첫째, 특정지역주민의 정신보건을 진료하는 진료권(catchment area)을 성정하여 시행하고, 둘째, 의료서비스의 연속성을 위하여 입원전, 입원중, 입원후에 이르는 전 과정을 통하여 일되고 연속성 있는 치료 체계를 확립하며, 셋째, 지역사회정신의학은 예방정신의학이라 할 정도로 예방을 강조한다. 그리고 넷째, 지역사회주민의 직간접의 참여를 강조한다.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의 주요기능은 입원환자보호(in-patient care), 외래환자보호(out-patient care), 응급환자보호(emergency care), 개방병원의 부분입원(partiel hospitalization in open hospital) 및 교육프로그램 등이다.
따라서 지역사회정신보건의 서비스 프로그램은 5가지의 기본적인 서비스와 5가지의 부수적인 서비스가 있다.
우선 기본적인 서비스를 보면 ① 입원환자를 위한 서비스:24시간 병원에서 보호를 받는다. ② 외래환자를 위한 서비스: 가족, 성인, 개인을 위한 개별적 또는 집단적 치료를 제공한다. ③ 응급실서비스: 연중무후, 1일 24시간 개방으로 정신과 응급에 대한 준비를 갖춘다. ④ 부분입원: 낮병원이나 밤병원 또는 주말에 집중적인 치료를 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⑤ 지역사회기관이나 전문가들에 대한 교육과 자문: 지역사회에서 보호나 보조를 주는 기관에 대한 정신보건 상담서비스 제공이다.
다음으로 부수적인 서비스를 보면, ① 진료서비스: 적당한 치료과정과 의뢰, ② 재활서비스: 정신질환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를 위한 교육적, 직업적, 사회적 지도 프로그램, ③ 지역사회 안에서 사전사후보호: 거택보호, 가정방문지도, ④ 훈련서비스: 모든 정신보건 관계요원들의 훈련, ⑤ 조사와 평가 서비스: 지역사회주민의 욕구와 지역사회가용자원조사 등이다.
지역사회보건센터에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적인 직원의 구성은 정신의학, 사회사업학, 심리학, 간호학을 전공한 사람으로 구성되나 준전문가나 자원봉사자들도 참여하고 다른 전문가들(법률가, 작업요법사, 레크레이션지도자, 교사, 사회학자 등)도 참여하게 된다.
지역사회에서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활동하는 영역을 E. M. Golderg는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① 예방적 사업(preventative work): 지역사회의 여러 사회기관이나 등록된 의사를 유용하게 활용하여 일상적인 위기에 적응을 돕는 일
② 예비적 사업(preliminary work): 치료를 위한 수단에 환자나 그 가족의 잠재적인 것을 활동으로 전개하는 일
③ 퇴원한 환자에 대한 사후지도와 재활(after care & rehabilitation) 및 병의원치료에 적절하지 않는 만성환자에 대한 사회적 재교육(social receducation)에 참여하는 일(사회복귀시설운영, 정신요양시설내의 사회치료)
④ 교육사업과 조사(education work & research)(Timms, 1965: 124)등이다.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에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①센터에서 환자의 입원치료도 하지만 장기입원 치료를 피하고 단기입원치료를 하므로 각종 시설에 있는 환자들의 퇴원 후 사회복귀를 위해 지역사회 자원 활용을 돕는다.
② 환자가 자신의 능력을 적절히 활용하거나 자신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연속성 있는 보호계획에 참여하고, 환자의 가정이나 지역사회 안정된 관계를 유지하게 돕는다.
③ 교도소, 소년원, 소년감별소 등 교정기관이나 학교, 교회 등의 자문에 응하여 센터의 광범한 서비스를 돕는다.
④ 센터의 응급서비스에서 특히 자살예방을 위한 활동에 참여하고 필요시 다른 전문기관에 의뢰하거나 안내한다.
⑤ 교육 및 계몽활동으로서 지역사회 내의 각 조직이나 기관에서 정신보건교육과 계몽활동을 하여 정신건강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을 돕는다.
따라서 정신보건 사회복지사는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에서 집단이나 개인에게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자문지도계획가로서, 지역사회기관간의 관계를 향상시키고 지여사회자원의 활성화로 주민의 정신건강(환자의 치료재활예방 등)의 향상을 기하는 지역사회 조직가이다.
6.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
사회정신의학과 지역사회정신의학(community psychiatry)이 예방정신의학적인 성격을 가지기 시작하면서 다양한 예방과 재활 및 재발 방지를 위한 운동이 일어났다.
지역사회정신의학의 영향을 보면, 일정한 지역사회로의 귀환조치, 다양한 지역사회 보건서비스의 통합, 학교, 경찰서, 산업장과 같은 비정신 의학기관에서 정신의학적 상담과 서비스, 지역사회와 정신질환자와의 지속적인 유대관계의 확립 및 유지 지역사회 정신건강 프로그램의 조직화 등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지역사회정신보건은 전통적인 임상정신의학의 문제점에 대한 의료적 대책의 변화이다. 즉, 입원치료 후 사후지도가 불충분하고, 청소년, 노인의 치료 대책이 뒤졌으며, 병원중심주의의 경직된 치료 활동의 제한성 등으로부터 내부적으로는 정신병원의 개방제(open ward system)로 발전되었고, 치료적 공동사회의 형성, 집단치료, 작업치료의 적극화, 각종 재활(rehabilitation)의 강화, 환자의 사회복귀대책의 현실화 등으로 발전되어가는 진료행태로 변해가기 시작하였다. 이는 병원에 장기입원으로 인한 인격의 황폐를 막기 위한 것으로 입원기간의 단축을 가져왔다.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의 성격은 전통적인 정신병원의 입원치료로서 다루지 못하는 영역인 예방, 홍보 그리고 재활서비스를 다룸으로써 전에는 정신질환자가 지역사회와 격리되어야 했으나 좀 더 개방적이고 치료적인 지역사회환경 내에서 치료 이외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첫째, 특정지역주민의 정신보건을 진료하는 진료권(catchment area)을 성정하여 시행하고, 둘째, 의료서비스의 연속성을 위하여 입원전, 입원중, 입원후에 이르는 전 과정을 통하여 일되고 연속성 있는 치료 체계를 확립하며, 셋째, 지역사회정신의학은 예방정신의학이라 할 정도로 예방을 강조한다. 그리고 넷째, 지역사회주민의 직간접의 참여를 강조한다.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의 주요기능은 입원환자보호(in-patient care), 외래환자보호(out-patient care), 응급환자보호(emergency care), 개방병원의 부분입원(partiel hospitalization in open hospital) 및 교육프로그램 등이다.
따라서 지역사회정신보건의 서비스 프로그램은 5가지의 기본적인 서비스와 5가지의 부수적인 서비스가 있다.
우선 기본적인 서비스를 보면 ① 입원환자를 위한 서비스:24시간 병원에서 보호를 받는다. ② 외래환자를 위한 서비스: 가족, 성인, 개인을 위한 개별적 또는 집단적 치료를 제공한다. ③ 응급실서비스: 연중무후, 1일 24시간 개방으로 정신과 응급에 대한 준비를 갖춘다. ④ 부분입원: 낮병원이나 밤병원 또는 주말에 집중적인 치료를 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⑤ 지역사회기관이나 전문가들에 대한 교육과 자문: 지역사회에서 보호나 보조를 주는 기관에 대한 정신보건 상담서비스 제공이다.
다음으로 부수적인 서비스를 보면, ① 진료서비스: 적당한 치료과정과 의뢰, ② 재활서비스: 정신질환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를 위한 교육적, 직업적, 사회적 지도 프로그램, ③ 지역사회 안에서 사전사후보호: 거택보호, 가정방문지도, ④ 훈련서비스: 모든 정신보건 관계요원들의 훈련, ⑤ 조사와 평가 서비스: 지역사회주민의 욕구와 지역사회가용자원조사 등이다.
지역사회보건센터에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적인 직원의 구성은 정신의학, 사회사업학, 심리학, 간호학을 전공한 사람으로 구성되나 준전문가나 자원봉사자들도 참여하고 다른 전문가들(법률가, 작업요법사, 레크레이션지도자, 교사, 사회학자 등)도 참여하게 된다.
지역사회에서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활동하는 영역을 E. M. Golderg는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① 예방적 사업(preventative work): 지역사회의 여러 사회기관이나 등록된 의사를 유용하게 활용하여 일상적인 위기에 적응을 돕는 일
② 예비적 사업(preliminary work): 치료를 위한 수단에 환자나 그 가족의 잠재적인 것을 활동으로 전개하는 일
③ 퇴원한 환자에 대한 사후지도와 재활(after care & rehabilitation) 및 병의원치료에 적절하지 않는 만성환자에 대한 사회적 재교육(social receducation)에 참여하는 일(사회복귀시설운영, 정신요양시설내의 사회치료)
④ 교육사업과 조사(education work & research)(Timms, 1965: 124)등이다.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에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①센터에서 환자의 입원치료도 하지만 장기입원 치료를 피하고 단기입원치료를 하므로 각종 시설에 있는 환자들의 퇴원 후 사회복귀를 위해 지역사회 자원 활용을 돕는다.
② 환자가 자신의 능력을 적절히 활용하거나 자신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연속성 있는 보호계획에 참여하고, 환자의 가정이나 지역사회 안정된 관계를 유지하게 돕는다.
③ 교도소, 소년원, 소년감별소 등 교정기관이나 학교, 교회 등의 자문에 응하여 센터의 광범한 서비스를 돕는다.
④ 센터의 응급서비스에서 특히 자살예방을 위한 활동에 참여하고 필요시 다른 전문기관에 의뢰하거나 안내한다.
⑤ 교육 및 계몽활동으로서 지역사회 내의 각 조직이나 기관에서 정신보건교육과 계몽활동을 하여 정신건강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을 돕는다.
따라서 정신보건 사회복지사는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에서 집단이나 개인에게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자문지도계획가로서, 지역사회기관간의 관계를 향상시키고 지여사회자원의 활성화로 주민의 정신건강(환자의 치료재활예방 등)의 향상을 기하는 지역사회 조직가이다.
추천자료
- (사회복지개론)정신보건사회복지와 정신건강복지원 견학 - 대전정신건강복지센터
- 우리나라 정신보건정책의 현황과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수련
- [정신건강론] 우리나라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이해
- 정신장애인의 인권과 권익옹호, 인권 및 권익옹호에 대한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
-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사정분류체계) ICD-10에 따른 정신장애분류와 정신장애진단통계편람에 따...
- 사정도구) 정보수집과 심리사회적 사정 및 목표, 계획, 수련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의견, 슈...
- 정신의료기관의 환자에 대한 서비스와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
- 사회복지기관실습보고서 정신보건센터사회복지기관조사소개 및 프로그램 평가 및 실습에 대한...
- 정신보건시설별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 논하시오
- 지역사회정신보건영역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업무와 역할
- 정신건강론 [우리나라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이해]
-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실천윤리와 정신장애인의 인권
- 정신보건사회복지 (개념, 역사, 대상, 접근방법, 정신보건사회복지사, 대상, 과제).PPT자료
- 정신보건사회복지 프로포절, 정신질환자 가족을 위한 가족교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