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우리나라 국가정신보건전략(National Mental Health Strategy)
Ⅱ. 정신장애인 실태
Ⅲ. 우리나라 정신보건 관련기관 현황
Ⅳ. 우리나라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
Ⅴ. 우리나라 정신보건시설의 현황
Ⅵ.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수련제도
Ⅱ. 정신장애인 실태
Ⅲ. 우리나라 정신보건 관련기관 현황
Ⅳ. 우리나라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
Ⅴ. 우리나라 정신보건시설의 현황
Ⅵ.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수련제도
본문내용
의료보장 종류별 분포>
(단위 : 명, %)
정신보건시설
전체
의료보험 대상자
의료보호 대상자
총 계
10,626(100.0)
5,453(51.3)
5,173(48.7)
정신보건센터
9,502(100.0)
4,663(49.1)
4,839(50.9)
사회복귀시설
1,124(100.0)
790(70.3)
334(29.7)
주: * 2000. 9. 30. 현재
Ⅵ.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수련제도
1. 이론교육
1) 1급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이론교육
번호
과목계열
과 목 명
년 차별이수기간
평가
2년차
3년차
1
정신보건기초계열
정신보건사회사업
5
2
성격이론
8
3
정신보건 행정 및 정책
8
5
4
지역사회자원 개발 및 관리
10
소 계
20
5
사정 및 평가계열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10
6
논문연구
10
7
사례분석
5
5
8
사회조사 및 통계
10
9
지도감독론
15
소 계
5
50
10
정신의학계열
응급정신의학
6
11
사회사업치료계열
개별치료
14
10
12
집단치료
14
10
13
가족치료
14
10
소 계
48
30
26
정신건강문제계열
알코올 및 약물남용
8
27
학대 및 방임
8
소 계
16
31
사회복지서비스계열
자원봉사관리 및 교육
5
32
사례관리
5
33
사회기술훈련
5
소 계
15
총 계
100
100
▣ 1급 정신보건사회복지사외 1년차 이론교육 과정은 2급 과정과 동일하다.
▣ 1급 2년차 이론교육과정의 주목적은 개별, 집단, 가족치료 중심으로 실무적 프로그램 실기에 역점을 둔다. 2년차에서 각 치료 및 개입에 관한 이론교육은 역할극 등 실무적인 교육과정을 원칙으로 하고 시간 중 1/2는 기관에서의 실무연습 보고서로 대치 할 수 있다.
▣ 1급 3년차 교육의 목적은 지도자로서의 전문성 향상과 지역사회보건 증진 전략에 역점을 둔다. 3년차의 이론 강의는 총 10시간이내의 공식적인 강의로 하고 나머지 시간은 공식 보고서로 대치할 수 있다. 즉, 수퍼바이저와의 윤리적 딜레마를 토론한 내용, 사례분석, 각 기관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보고서 발표 등으로 운영한다.
2) 2급 정신보건사회지사 이론교육
번호
과목계열
과 목 명
이수시간
평가
1
정신보건기초계열
정신보건 사회사업
6
2
정신사회재활
5
3
알콜 및 약물중독
5
4
지역사회 자원관리
5
5
지역사회 정신보건
6
6
정신보건 관련법규
4
7
임 상 심 리
2
8
정 신 간 호
2
소 계
8개 과목
35
9
사정 및 평가계열
심리사회적 사정
7
10
사회사업 기록
6
11
사례관리
7
소 계
3개과목
20
12
정신의학계열
정신병리론Ⅰ
5
12
정신병리론Ⅱ
5
13
진단분류체계
8
14
정신생물학
4
15
약물학
3
소 계
4개 과목
25
16
사회사업치료계열
집단치료
4
17
집단지도
4
18
가족교육
6
19
위기개입
6
소 계
4개 과목
20
20
정신건강 문제계열
인간과 성
5
21
학대와 방임
5
소 계
4개 과목
10
22
사회복귀서비스계열
주거훈련
8
23
생활훈련
5
24
직업훈련
5
25
사회기술훈련
10
26
인간관계훈련
8
27
사회복귀시설설치 및 운영
4
소 계
6개 과목
40
총 계
총 27개 과목
150
2. 임상수련 : 정신보건 사회복지사 수련지침
개요
본 지침은 정신보건법의 근거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수련과정을 운영하기 위한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의 수련지짐이다.
1) 법적인 근거
정신보건법 제7조
정신보건법 시행령 제2조, 별표 1,2
2) 수련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자격 및 수련과정
(1) 1급 수련
① 고등교육법에 의한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을 전공하여 석사학위 이상을 소지하고 사회복지사업법에 의한 사회복지사 1급 자격을 소지한 자로서,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한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수련기관에서 3년 이상 수련하여야 한다.
② 2급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자격취득 후 정신보건시설 또는 보건소에서 5년 이상 정신보건분야의 임상실무에 종사한 자로서 이론 및 임상수련 기간은 없으며 연간 필요 학술활동 점수를 취득하고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사협회의 규정에 따라 자격승급에 대한 심사를 필하여야 한다.
(2) 2급 수련
① 사회복지사업법에 의한 사회복지사 1급 자격소지자로서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한 정신보건전문요원 수련기관에서 1년 이상 수련을 이수하여야 한다.
3) 수련의 구성
(1) 수련기간
1년 이상 실시되어야 하며 일정은 매년 3월부터 차기년도 2월까지의 기간 중 수련기관의 사정에 따라 정한다.
(2) 수련내용
⒜ 이론교육
① 연간 총 150시간을 이수하여야 한다.
② 이론교육은 본 학회에서 주관하는 교육에 참여하여야 하며 개별적으로 실행한 경우 교과과정에 대해 본 학회에서 인준을 받아야 한다.
⒝ 임상수련
① 연간 총 830시간 이상(학술활동 20시간별도)을 이수하여야 한다.
② 병원에서 수련하는 경우 수련시간의 1/4을 지역사회기관에서, 지역사회기관에서 수련을 하는 경우 수련시간의 1/3을 병원에서 수련하여야 한다. 즉, 병원에서는 지역사회 기관으로 207기간 이상, 지역사회기관에서 병원으로는 276시간 이상을 실습해야 한다.
③ 교환수련 기관이라 함은 수련기관으로 지정된 정신의료기관을 말하며, 지역사회기관은 보건복지부에서 인가한 사회복귀시설과 정신요양시설, 정신보건센터 및 보건소에서 실시하는 정신보건사업을 말한다.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수련기관으로 지정된 기관에서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부득이한 경우에는 최소한 사회복지사 근무하는 기관이어야 한다.
④ 수련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교환수련기관의 기관장 또는 담당자로부터 교환수련 이수중을 발급받아 자격심사시 제출하여야 한다.
⑤ 수련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자신의 임상수련 기록을 명확하게 관리할 일차적 책임이 있다. 모든 사례의 기록은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에서 매년 발간하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수련지침서에 의하여 기록함을 원칙으로 한다.
⒞ 수퍼비전 관련 지침
① 모든 수련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에서 인준한 수퍼바이저의 지도감독하에 정해진 수련과정을 이수하여야 한다.
② 수퍼바이저는 내부 수퍼바이저(상근 1급 정신보건사회복지사)와 외부 수퍼바이저(위촉 1급 정신보건사회
(단위 : 명, %)
정신보건시설
전체
의료보험 대상자
의료보호 대상자
총 계
10,626(100.0)
5,453(51.3)
5,173(48.7)
정신보건센터
9,502(100.0)
4,663(49.1)
4,839(50.9)
사회복귀시설
1,124(100.0)
790(70.3)
334(29.7)
주: * 2000. 9. 30. 현재
Ⅵ.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수련제도
1. 이론교육
1) 1급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이론교육
번호
과목계열
과 목 명
년 차별이수기간
평가
2년차
3년차
1
정신보건기초계열
정신보건사회사업
5
2
성격이론
8
3
정신보건 행정 및 정책
8
5
4
지역사회자원 개발 및 관리
10
소 계
20
5
사정 및 평가계열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10
6
논문연구
10
7
사례분석
5
5
8
사회조사 및 통계
10
9
지도감독론
15
소 계
5
50
10
정신의학계열
응급정신의학
6
11
사회사업치료계열
개별치료
14
10
12
집단치료
14
10
13
가족치료
14
10
소 계
48
30
26
정신건강문제계열
알코올 및 약물남용
8
27
학대 및 방임
8
소 계
16
31
사회복지서비스계열
자원봉사관리 및 교육
5
32
사례관리
5
33
사회기술훈련
5
소 계
15
총 계
100
100
▣ 1급 정신보건사회복지사외 1년차 이론교육 과정은 2급 과정과 동일하다.
▣ 1급 2년차 이론교육과정의 주목적은 개별, 집단, 가족치료 중심으로 실무적 프로그램 실기에 역점을 둔다. 2년차에서 각 치료 및 개입에 관한 이론교육은 역할극 등 실무적인 교육과정을 원칙으로 하고 시간 중 1/2는 기관에서의 실무연습 보고서로 대치 할 수 있다.
▣ 1급 3년차 교육의 목적은 지도자로서의 전문성 향상과 지역사회보건 증진 전략에 역점을 둔다. 3년차의 이론 강의는 총 10시간이내의 공식적인 강의로 하고 나머지 시간은 공식 보고서로 대치할 수 있다. 즉, 수퍼바이저와의 윤리적 딜레마를 토론한 내용, 사례분석, 각 기관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보고서 발표 등으로 운영한다.
2) 2급 정신보건사회지사 이론교육
번호
과목계열
과 목 명
이수시간
평가
1
정신보건기초계열
정신보건 사회사업
6
2
정신사회재활
5
3
알콜 및 약물중독
5
4
지역사회 자원관리
5
5
지역사회 정신보건
6
6
정신보건 관련법규
4
7
임 상 심 리
2
8
정 신 간 호
2
소 계
8개 과목
35
9
사정 및 평가계열
심리사회적 사정
7
10
사회사업 기록
6
11
사례관리
7
소 계
3개과목
20
12
정신의학계열
정신병리론Ⅰ
5
12
정신병리론Ⅱ
5
13
진단분류체계
8
14
정신생물학
4
15
약물학
3
소 계
4개 과목
25
16
사회사업치료계열
집단치료
4
17
집단지도
4
18
가족교육
6
19
위기개입
6
소 계
4개 과목
20
20
정신건강 문제계열
인간과 성
5
21
학대와 방임
5
소 계
4개 과목
10
22
사회복귀서비스계열
주거훈련
8
23
생활훈련
5
24
직업훈련
5
25
사회기술훈련
10
26
인간관계훈련
8
27
사회복귀시설설치 및 운영
4
소 계
6개 과목
40
총 계
총 27개 과목
150
2. 임상수련 : 정신보건 사회복지사 수련지침
개요
본 지침은 정신보건법의 근거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수련과정을 운영하기 위한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의 수련지짐이다.
1) 법적인 근거
정신보건법 제7조
정신보건법 시행령 제2조, 별표 1,2
2) 수련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자격 및 수련과정
(1) 1급 수련
① 고등교육법에 의한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을 전공하여 석사학위 이상을 소지하고 사회복지사업법에 의한 사회복지사 1급 자격을 소지한 자로서,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한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수련기관에서 3년 이상 수련하여야 한다.
② 2급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자격취득 후 정신보건시설 또는 보건소에서 5년 이상 정신보건분야의 임상실무에 종사한 자로서 이론 및 임상수련 기간은 없으며 연간 필요 학술활동 점수를 취득하고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사협회의 규정에 따라 자격승급에 대한 심사를 필하여야 한다.
(2) 2급 수련
① 사회복지사업법에 의한 사회복지사 1급 자격소지자로서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한 정신보건전문요원 수련기관에서 1년 이상 수련을 이수하여야 한다.
3) 수련의 구성
(1) 수련기간
1년 이상 실시되어야 하며 일정은 매년 3월부터 차기년도 2월까지의 기간 중 수련기관의 사정에 따라 정한다.
(2) 수련내용
⒜ 이론교육
① 연간 총 150시간을 이수하여야 한다.
② 이론교육은 본 학회에서 주관하는 교육에 참여하여야 하며 개별적으로 실행한 경우 교과과정에 대해 본 학회에서 인준을 받아야 한다.
⒝ 임상수련
① 연간 총 830시간 이상(학술활동 20시간별도)을 이수하여야 한다.
② 병원에서 수련하는 경우 수련시간의 1/4을 지역사회기관에서, 지역사회기관에서 수련을 하는 경우 수련시간의 1/3을 병원에서 수련하여야 한다. 즉, 병원에서는 지역사회 기관으로 207기간 이상, 지역사회기관에서 병원으로는 276시간 이상을 실습해야 한다.
③ 교환수련 기관이라 함은 수련기관으로 지정된 정신의료기관을 말하며, 지역사회기관은 보건복지부에서 인가한 사회복귀시설과 정신요양시설, 정신보건센터 및 보건소에서 실시하는 정신보건사업을 말한다.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수련기관으로 지정된 기관에서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부득이한 경우에는 최소한 사회복지사 근무하는 기관이어야 한다.
④ 수련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교환수련기관의 기관장 또는 담당자로부터 교환수련 이수중을 발급받아 자격심사시 제출하여야 한다.
⑤ 수련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자신의 임상수련 기록을 명확하게 관리할 일차적 책임이 있다. 모든 사례의 기록은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에서 매년 발간하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수련지침서에 의하여 기록함을 원칙으로 한다.
⒞ 수퍼비전 관련 지침
① 모든 수련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에서 인준한 수퍼바이저의 지도감독하에 정해진 수련과정을 이수하여야 한다.
② 수퍼바이저는 내부 수퍼바이저(상근 1급 정신보건사회복지사)와 외부 수퍼바이저(위촉 1급 정신보건사회
추천자료
[인문과학] 정신보건사회사업 [분석/조사]
정신보건사회복지의 개념
정신보건사회사업
정신보건사회복지 실천대상별 이해와 개입방법-청소년
정신장애인가족교육과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
정신보건사회복지론-위기개입
우리나라 정신보건사회복지의 현황과 과제 및 발전방향
사회복귀시설의 종류와 입소, 이용대상, 사업내용 및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기능
정신의료기관의 환자에 대한 서비스와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
정신보건사회복지의 개념 과 가치
[사회복지개론] 의료사회복지와 정신보건사회복지에 대한 이해와 정리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의 개념
[정신보건사회복지론] 중년여성우울증
정신보건사회복지의 개념과 목적 및 발달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