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결론
본론
결론
본문내용
on의 실현으로 고객들의 발길을 붙잡고있다.①입지선점의 우위:다점포화에 따른 대량판매와 대량구매를 통한 가격경쟁력확보(강력한 바잉파워로 규모의 경제 실현),이는 대량 매입을 통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일정 규모의 다점포가 이뤄지면 저비용 운영이 가능해 이익 경영이 가능하게 된다. 또 다른 성공 요인으로 물류센터 운영을 들 수 있는데 적시 배송 적정재고를 유지하고 유통단계 축소에 따른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②고객지향적 마케팅:최저 가격 2배 보상제, 품질 불만족 상품 100% 교환, 계산착오 보상제 등 고객 중심의 경영이념을 실현해 가고 있다.③선진화된 시스템: 데이터 웨어 하우스 시스템을 활용 매출, 손익, 단품관리 등 각종 정보를 입체적으로 분석하고 지역별, 상황별로 관리해 차별화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 국내 최초로 현장 발주가 가능한 GOT 시스템을 도입해 단말기 하나로 상품을 보면서 점포 자체에서 발주가 가능하도록 했으며 제조업체와 판매 정보를 공유하는 EDI시스템으로 상품 공급과 관리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④md차별화:한국형 할인점이라는 독자적인 영역을 개발해 우리 방식에 맞는 MD 전략을 펴고 있다.98년부터 차별화 전략의 일환으로 패션 부문을 강화해 왔다.의류 매출 구성비는 스포츠를 합해 20% 수준에 달하며 앞으로 협력업체 의존형 상품 보다는 단품을 중심으로 철저히 독자 MD력을 강화하는데 역점을 둘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PB, PNB 상품을 적극 개발해 매출 구성비를 25%까지 확대할 방침이다(의류pb상품:이베이직,마이크로,자연주의 생식품:이플러스)
이마트는 인구 10만은 독자상권, 20만은 경합상권, 50만 이상은 다자간 상권으로 보고 우선 20만 이상의 도시에 출점하는 것을 기본 전략으로 삼고 있다. 이 같은 전략으로 8월 현재 35개점을 연말까지 43개점으로 늘리고 2005년에는 전국에 총 85개 점포망에 매출 10조원을 달성해 할인점 시장의 마켓 쉐어를 40% 이상 확보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중국을 비롯한 동남아 시장 진출도 추진하고 있다.
※홈플러스의 경영전략
홈플러스는 삼성과 테스코의 합자회사이다. 홈플러스는 단순 할인점이 아닌 가치점을 지향하고 있다. 홈플러스는 ①철저한 현지화: 국내기업과의 합자와 테스코라는 이름대신 홈플러스라는 이름사용.②지역 1번점 전략: 홈플러스는 외곽에 입점하는 대신 상권중심에 입점하거나 상권내 1번점이
④md차별화:한국형 할인점이라는 독자적인 영역을 개발해 우리 방식에 맞는 MD 전략을 펴고 있다.98년부터 차별화 전략의 일환으로 패션 부문을 강화해 왔다.의류 매출 구성비는 스포츠를 합해 20% 수준에 달하며 앞으로 협력업체 의존형 상품 보다는 단품을 중심으로 철저히 독자 MD력을 강화하는데 역점을 둘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PB, PNB 상품을 적극 개발해 매출 구성비를 25%까지 확대할 방침이다(의류pb상품:이베이직,마이크로,자연주의 생식품:이플러스)
이마트는 인구 10만은 독자상권, 20만은 경합상권, 50만 이상은 다자간 상권으로 보고 우선 20만 이상의 도시에 출점하는 것을 기본 전략으로 삼고 있다. 이 같은 전략으로 8월 현재 35개점을 연말까지 43개점으로 늘리고 2005년에는 전국에 총 85개 점포망에 매출 10조원을 달성해 할인점 시장의 마켓 쉐어를 40% 이상 확보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중국을 비롯한 동남아 시장 진출도 추진하고 있다.
※홈플러스의 경영전략
홈플러스는 삼성과 테스코의 합자회사이다. 홈플러스는 단순 할인점이 아닌 가치점을 지향하고 있다. 홈플러스는 ①철저한 현지화: 국내기업과의 합자와 테스코라는 이름대신 홈플러스라는 이름사용.②지역 1번점 전략: 홈플러스는 외곽에 입점하는 대신 상권중심에 입점하거나 상권내 1번점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