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절 都市空間構造의 意味
1. 도시의 공간적 질서
2. 도시공간구조의 개념
제2절 都市의 土地利用과 機能分化
1. 都市土地利用의 槪念과 特徵
2. 도시토지이용의 분류
3. 도시토지이용의 기능분화
4. 도시토지이용의 기능분화에 관한 이론
제3절 도시의 巨視的 內部構造理論
1. burgess의 동심원지대이론(concentric zone theory)
2. hoyt의 선형이론(sector theory
3. harris-ullman의 다핵심 이론(multiple-nuclei theory)
4. simmons의 다차원이론
1. 도시의 공간적 질서
2. 도시공간구조의 개념
제2절 都市의 土地利用과 機能分化
1. 都市土地利用의 槪念과 特徵
2. 도시토지이용의 분류
3. 도시토지이용의 기능분화
4. 도시토지이용의 기능분화에 관한 이론
제3절 도시의 巨視的 內部構造理論
1. burgess의 동심원지대이론(concentric zone theory)
2. hoyt의 선형이론(sector theory
3. harris-ullman의 다핵심 이론(multiple-nuclei theory)
4. simmons의 다차원이론
본문내용
개한 바와 같이 도시지리학에서는 전통적으로 도시 토지이용의 공간적 분포를 기술하기 위하여 3개의 명백하게 다른 모델을 사용해 왔다. 즉 \"토지이용패턴은 도심으로부터의 거리의 함수로서 규칙적으로 변화한다.\"는 burgess의 동심원이론, \"토지이용은 축에 따라 변화한다.\"는 hoyt의 선형이론 그리고 harris와 ullman의 다핵심이론이그것이다. 그러나 다핵심이론에 의하면 특정용도간의 공간적 관계가앞서의 두 이론처럼 일반적인 모델의 형태를 띠지 못하고 여러 개의불연속적인 핵심을 중심으로 토지이용이 분화된다고 설명하고 있어 이들 3개 이론간에는 뚜렷한 일관성이나 조화를 발견하기가 어렵다.이들 전통적 공간구조모델의 이론적 한계를 극복하고 통합을 시도하기위해 j. w. simmons는 1965년 \"도시토지이용의 서술적 모델\"이라는 논문에서 도시내에는 여러 개의 독립된 차원들이 있으며 이들을 결합할 때 비로소 도시의 사회적 패턴을 기술할 수 있게 된다고 하는 다차원적 공간구조개념을 제기하였다. 이와 같은 다차원적인 성격을 지배하는 이론적 토대는 이른바 사회지역분석(socail area analysys)에 관한 연구성과에 그뿌리를 두고 있다. 사회지역분석은 원래 도시인구의 사회경제적 구조를 서술할 목적으로 1940년대에 shevky, williams, bell 등 사회학자들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 기법은 세 가지의 기본적인 사회구성개념,즉 도시화인자(또는 가구적 특성), 사회적 지위(또는 경제적 지위),인종적 분포패턴 등의 요소가 도시내의 공간적 패턴형성에 어떤 관련을 갖는가를 규명하고자 노력하였다. 사회지역분석 연구자들은 이들세 가지 구성요소가 도시사회의 기본적인 사회적 추세를 반영한다는의미에서 이들 요소들을 도시의 사회적 공간을 나타내는 지표로 선택하였다. 다시 말해서 사회지역분석 옹호론자들은 산업화의 진전, 풍요로움과 생산성의 향상으로 도시거주자들의 생활양식이 크게 바뀌었고,생활의 핵심적 단위가 되었던 가정의 중요성이 점차 감소하였으며 아울러 가정과 직장간의 분리현상이 늘어남에 따라 사회적 공간의 분화현상도 현저해진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초기의 연구에서는 사회지역분석에서 얻어진 결과의 공간적 해석이 뒤따르지 못하였지만, 1960년대에 이르러서는 도시 및 사회지리학자들을 중심으로 사회지역분석결과의 도면분석을 통해 상기한 세 가지 구성요소들이 동심원설이나 선형설 또는 다핵심모델에서의 도시공간해석과 일치하는 공간적 규칙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hartshorn, 1980:222).많은 연구자들이 주로 미국과 캐나다의 도시들을 대상으로 사회지역분석기법을 적용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차원과 공간패턴이공통적으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고 simmons는 밝히고 있다(simmons, 1965:171).
첫째 차원은 사회계층(social rank)으로서 이는 인구의 경제적, 교육적 그리고 직업적 수준을 나타낸다. 이 인자는 축상으로 변화하며, hoyt가 예측한 바와 같이 고소득주거지역 \'섹터\'와 저소득주거지역 \'섹터\'를 발생시킨다.
둘째 차원은 도시화로서 가족구성, 세대의 유형, 여성의 노동참여 등을 반영한다. 이 인자(\'생활양식\' 변수)의 분포를 지도상에 도면화해보면 burgess의 통근지대와 마찬가지로 노동자 아파트지대로부터 교외에 이르는 동심원지대를 형성한다.
셋째의 차원은 인종별 분리현상(segregation)으로서 이는 도시 인구의인종, 민족적 구조와 관련되어 있다. 인구의 이러한 특성은 harris와ullman의 다핵심구조와 마찬가지로 본질적으로는 무작위적 불규칙하게분포되는 경향을 보인다.
다차원 이론은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사회계층의 차원에는 선형이론이, 도시화의 차원에서는 동심원이론이 그리고 인종별 분리의 차원에서는 다핵심이론이 적용되는 것으로 상정하고 있으며 이 세 가지패턴을 모두 종합하면 도시구조의 완벽한 구성이 가능한 것으로 보고있다. 다시 말해서 도시는 이와 같이 세 가지의 층, 즉 경제적 지위,도시화 요소 그리고 인종분리 요소가 중첩된 일종의 공간적 \'샌드위치\'를 형성하게 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murdie(1971:279-290)도 도시공간구조에 관한 앞서의 세 가지 고전적 모델들이 도시의 내부공간구조를 서로 모순되게 서술하는 것이 아니라, 각기 서로 다른 측면에서 사회적 분화현상을 서술함으로써 각 모델들이 서로 보완해주는 관계에 있다고 주장하여 simmons와 견해를 같이 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다찬원이론에 나타나는 3가지 인자별 공간분포패턴과 고전적 3대 토지이용모델은 그 의미가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주장도있다(石水照雄, 1974:71-73). 즉, 다차원이론에서 말하는 \'경제적 지위\', \'도시화\' 또는 \'인종별 분리\' 등은 인자분석법(factor analysis)이라는 통계적 방법을 통해 다수의 변수간의 관련성으로부터 추출해낸새로운 형태의 사회적 인자에 불과하지만 burgess, hoyt 그리고 harris와 ullman 등의 모델들은 cbd, 공업지구, 주택지구라든가 고소득 주택지역, 저소득 주택지역 또는 도매 및 경공업 지역, 중공업지역 등실제의 물리적 토지이용의 측면에서 분류한 부분지역(sub-region)의분포를 토대로 이론을 구성하고 있다. 요컨대 石水照雄은 다차원이론이 사회적 인자의 공간적 분포패턴에 의미를 두고 있는 반면 동심원,선형, 다핵심이론 등은 보다 직접적인 토지이용의 공간분포패턴에 역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다차원 이론 속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는 선형패턴, 동심원패턴 및 다핵심패턴은 본래의 각 토지이용 패턴을 形*化한,어디까지나 非*地的인 패턴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사회계층, 도시화,인종별 분리 등 3대 인자에 관해 기술한 다차원이론 속에 나타나는 세가지 공간패턴은 각각 대응되는 전통적 토지이용모델과는 근본적으로의미가 다르다는 주장이다.이러한 문제점을 인정한다 하더라도 적어도 이들 전통적 토지이용모텔들이 하나의 틀 속에 통합될 수 있으며, 또한 통합될 경우 보다 충실하게 도시의 물리적 공간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받을 수있었다는 점은 다차원이론이 남긴 귀중한 성과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차원은 사회계층(social rank)으로서 이는 인구의 경제적, 교육적 그리고 직업적 수준을 나타낸다. 이 인자는 축상으로 변화하며, hoyt가 예측한 바와 같이 고소득주거지역 \'섹터\'와 저소득주거지역 \'섹터\'를 발생시킨다.
둘째 차원은 도시화로서 가족구성, 세대의 유형, 여성의 노동참여 등을 반영한다. 이 인자(\'생활양식\' 변수)의 분포를 지도상에 도면화해보면 burgess의 통근지대와 마찬가지로 노동자 아파트지대로부터 교외에 이르는 동심원지대를 형성한다.
셋째의 차원은 인종별 분리현상(segregation)으로서 이는 도시 인구의인종, 민족적 구조와 관련되어 있다. 인구의 이러한 특성은 harris와ullman의 다핵심구조와 마찬가지로 본질적으로는 무작위적 불규칙하게분포되는 경향을 보인다.
다차원 이론은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사회계층의 차원에는 선형이론이, 도시화의 차원에서는 동심원이론이 그리고 인종별 분리의 차원에서는 다핵심이론이 적용되는 것으로 상정하고 있으며 이 세 가지패턴을 모두 종합하면 도시구조의 완벽한 구성이 가능한 것으로 보고있다. 다시 말해서 도시는 이와 같이 세 가지의 층, 즉 경제적 지위,도시화 요소 그리고 인종분리 요소가 중첩된 일종의 공간적 \'샌드위치\'를 형성하게 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murdie(1971:279-290)도 도시공간구조에 관한 앞서의 세 가지 고전적 모델들이 도시의 내부공간구조를 서로 모순되게 서술하는 것이 아니라, 각기 서로 다른 측면에서 사회적 분화현상을 서술함으로써 각 모델들이 서로 보완해주는 관계에 있다고 주장하여 simmons와 견해를 같이 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다찬원이론에 나타나는 3가지 인자별 공간분포패턴과 고전적 3대 토지이용모델은 그 의미가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주장도있다(石水照雄, 1974:71-73). 즉, 다차원이론에서 말하는 \'경제적 지위\', \'도시화\' 또는 \'인종별 분리\' 등은 인자분석법(factor analysis)이라는 통계적 방법을 통해 다수의 변수간의 관련성으로부터 추출해낸새로운 형태의 사회적 인자에 불과하지만 burgess, hoyt 그리고 harris와 ullman 등의 모델들은 cbd, 공업지구, 주택지구라든가 고소득 주택지역, 저소득 주택지역 또는 도매 및 경공업 지역, 중공업지역 등실제의 물리적 토지이용의 측면에서 분류한 부분지역(sub-region)의분포를 토대로 이론을 구성하고 있다. 요컨대 石水照雄은 다차원이론이 사회적 인자의 공간적 분포패턴에 의미를 두고 있는 반면 동심원,선형, 다핵심이론 등은 보다 직접적인 토지이용의 공간분포패턴에 역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다차원 이론 속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는 선형패턴, 동심원패턴 및 다핵심패턴은 본래의 각 토지이용 패턴을 形*化한,어디까지나 非*地的인 패턴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사회계층, 도시화,인종별 분리 등 3대 인자에 관해 기술한 다차원이론 속에 나타나는 세가지 공간패턴은 각각 대응되는 전통적 토지이용모델과는 근본적으로의미가 다르다는 주장이다.이러한 문제점을 인정한다 하더라도 적어도 이들 전통적 토지이용모텔들이 하나의 틀 속에 통합될 수 있으며, 또한 통합될 경우 보다 충실하게 도시의 물리적 공간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받을 수있었다는 점은 다차원이론이 남긴 귀중한 성과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학습지도안, 사회
인구통계를 이용한 도시체계 분석
공간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도시성장규칙 추출
국내외 자전거모범도시의 자전거 이용활성화 현황 및 시사점
[과외]고등 일반사회 1학기 중간 예상문제 04
[조경][조경식재][조경기법][조경양식][조경 정의][조경 분류][조경 역사][조경식재 기법][외...
[조사방법론A+] 재정착 원주민의 만족도에 따른 도심재개발 사업의 효과성
도시이용계획에서의 형태제한 검토
[사회과학] 정통성을 주장하는 왕도
상주시 자전거이용 현황과 자전거 정책 및 국내외 자전거 활성화 사업(자전거 도시)사례
164,국토계획법,개선방안,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문제점,개선,설명,요약,도시계획제도,1...
분석화학 - pH meter를 이용한 산,염기 적정 및 Gran도시
[생활환경과 조경] 공원,녹지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경상감영공원 견학)
현대 사회의 도시화, 산업화, 고령화, 등으로 인해 이용자들의 욕구 또한 세분화 되어 보다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