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문학상 희곡 부문 수상, 1998년에는 《느낌, 극락 같은》으로 제5회 우경문화예술상을 수상하였다. 우화와 비유로 충만한 비사실주의 작품을 주로 써서 알레고리의 작가라는 별명이 붙었으며, 작품 세계는 인간의 실존적 고뇌를 정교한 논리로 구성한 것이 특색이다. 등단 이후 거의 해마다 창작 희곡을 내놓았고, 그 가운데 11편은 서울연극제 무대에 올랐다.
2.주제
인간 간의 차별로 인해 발생하는 갈등과 대립.
3.줄거리
주민들은 칠산리가 빨갱이 소굴이라고 아직까지 인식되고 있어 개발이 지연되는데, 그 원인은 무덤의 주인공인 어미와 그 자녀들에게 있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장면이 전개되어 가고 있는 동안 12명이나 되는 자녀들이 호적에 없는 까닭이 밝혀진다. 그 자녀들은 어미의 친자식이 아니고, 칠산리 산속의 빨치산의 자녀들인데 군에 입대하여 전사하게 되는 남편을 둔 어미가 맡아 길렀던 것이다. 어미가 결국 12자녀들을 먹이기 위해 굶어 죽게 되고 그 뒤 12자녀들은 뿔뿔이 흩어졌으며, 그 가운데 막내는 지금 경찰에 쫓기고 있다. 면사무소가 문닫을 시간인 오후 5시 30분까지 7자녀들은 나머지 5명의 자녀들이 도착하기를 기다리다가 결국 막내가 칠산리로 직행하여 마을사람들과 대결하고 있다고 소식을 듣는다. 7자녀들은 많은 논란을 거쳐 장남이 제의한 대로 어미를 화장하여 각각 나누어 갖자는 데에 수긍하고, 눈 내리는 가운데 칠산리 무덤으로 떠난다.
4.내용
칠산리가 오랜 전부터 빨갱이소굴로 오해받아서 빨갱이자식들은 어디를 가고 욕을 먹어서 맘대로 살기 힘들고 차별받는다. 주민들이 무덤핑계로 빨갱이자식들을 칠산리에서
2.주제
인간 간의 차별로 인해 발생하는 갈등과 대립.
3.줄거리
주민들은 칠산리가 빨갱이 소굴이라고 아직까지 인식되고 있어 개발이 지연되는데, 그 원인은 무덤의 주인공인 어미와 그 자녀들에게 있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장면이 전개되어 가고 있는 동안 12명이나 되는 자녀들이 호적에 없는 까닭이 밝혀진다. 그 자녀들은 어미의 친자식이 아니고, 칠산리 산속의 빨치산의 자녀들인데 군에 입대하여 전사하게 되는 남편을 둔 어미가 맡아 길렀던 것이다. 어미가 결국 12자녀들을 먹이기 위해 굶어 죽게 되고 그 뒤 12자녀들은 뿔뿔이 흩어졌으며, 그 가운데 막내는 지금 경찰에 쫓기고 있다. 면사무소가 문닫을 시간인 오후 5시 30분까지 7자녀들은 나머지 5명의 자녀들이 도착하기를 기다리다가 결국 막내가 칠산리로 직행하여 마을사람들과 대결하고 있다고 소식을 듣는다. 7자녀들은 많은 논란을 거쳐 장남이 제의한 대로 어미를 화장하여 각각 나누어 갖자는 데에 수긍하고, 눈 내리는 가운데 칠산리 무덤으로 떠난다.
4.내용
칠산리가 오랜 전부터 빨갱이소굴로 오해받아서 빨갱이자식들은 어디를 가고 욕을 먹어서 맘대로 살기 힘들고 차별받는다. 주민들이 무덤핑계로 빨갱이자식들을 칠산리에서
추천자료
연극에 있어서의 발성
희곡과 시나리오의 차이에 대한 사례 연구 : 인생차압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
발성에 대하여
희곡 이론 정리
언어치료프로그램 발성 훈련
발성이란 무엇인가
희곡 각색하기 - 안녕, 먼 곳의 친구들이여
송영의 희곡 연구 - 카프, 풍자 희곡을 중심으로 한 변모양상과 의미
[베른하르트][베른하르트문학][베른하르트희곡]베른하르트의 문학적 특징, 베른하르트의 망명...
[성악의 기초] 모음의 발성 방법
희곡의 갈등구조, 캐릭터의 구축 양상, 극적 시공간의 특징에 대해서
희곡 오이디푸스 왕, 소포클레스
희곡 오이디푸스 왕 - 갈등양상 및 주동인물들의 행위 요약
희곡창작의 이해 희곡감상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