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정
[양식의 세 종류]
양식의 본질이 정신적 유형의 대상적 형태화에 있다고 한다면, 그것은 문화의 전영역에 걸쳐 나타난다 하더라도, 특히 예술의 영역에서 전형적인 실현을 본다고 말하지 않으면 안된다. 예술상의 양식개념은 예술적 표현이나 형성방식의 유형적 분화에 관한 기술개념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와, 특수한 의미에 있어서의 가치개념으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전자가 문제되지만, 이것은 유형적 분화를 규정하는 조건의 차이에 따라서 다음의 세 가지 의미형태로 구분.
1. 역사적 양식
예술창작 주체의 정신적 특성이나 경향에 의해서 규정되며, 그 다양성에 근거하여 분화하는 양식으로 가장 보편적으로 양식이라고 하는 것.
a) 개개 예술가의 개인적 정신의 개성에서 그 규정근거를 가지는 것
i)일정한 예술가의 개인양식(작가양식)
ii)그 연령적 발전단계에 따라 분화하는 청년양식, 장년양식, 노년양식
b)일정한 범위에 있어서의 집단의 객관적 정신의 차이에 따라서 구별되는 것
i)소위 시대정신과 민족정신에 각각 대응하는 양식( 고딕, 르네상스, 바로크 등)
ii)민족양식(프랑스, 독일양식등)을 비롯하여 동일한 시대 가운데의 시기나 세대의 양식
iii)일정지역(지방)의 양식, 계급양식, 유파양식 등
예술의 발전은 이러한 양식들 특히 시간적 역사적 양식이 일정한 발전법칙에 따라 융성하고 쇠퇴하는 것에서 존재한다고 여겨짐.
그 내면적이며 자율적인 동인을 보여주는 것으로 리글 이후 예술의(쿤스트볼른)이라는 개념이 예술학에 도입되고 있다.
리글은 예술품이 사용목적, 재료, 기교에 의해 제약받는 예술적 기능(쿤스트
[양식의 세 종류]
양식의 본질이 정신적 유형의 대상적 형태화에 있다고 한다면, 그것은 문화의 전영역에 걸쳐 나타난다 하더라도, 특히 예술의 영역에서 전형적인 실현을 본다고 말하지 않으면 안된다. 예술상의 양식개념은 예술적 표현이나 형성방식의 유형적 분화에 관한 기술개념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와, 특수한 의미에 있어서의 가치개념으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전자가 문제되지만, 이것은 유형적 분화를 규정하는 조건의 차이에 따라서 다음의 세 가지 의미형태로 구분.
1. 역사적 양식
예술창작 주체의 정신적 특성이나 경향에 의해서 규정되며, 그 다양성에 근거하여 분화하는 양식으로 가장 보편적으로 양식이라고 하는 것.
a) 개개 예술가의 개인적 정신의 개성에서 그 규정근거를 가지는 것
i)일정한 예술가의 개인양식(작가양식)
ii)그 연령적 발전단계에 따라 분화하는 청년양식, 장년양식, 노년양식
b)일정한 범위에 있어서의 집단의 객관적 정신의 차이에 따라서 구별되는 것
i)소위 시대정신과 민족정신에 각각 대응하는 양식( 고딕, 르네상스, 바로크 등)
ii)민족양식(프랑스, 독일양식등)을 비롯하여 동일한 시대 가운데의 시기나 세대의 양식
iii)일정지역(지방)의 양식, 계급양식, 유파양식 등
예술의 발전은 이러한 양식들 특히 시간적 역사적 양식이 일정한 발전법칙에 따라 융성하고 쇠퇴하는 것에서 존재한다고 여겨짐.
그 내면적이며 자율적인 동인을 보여주는 것으로 리글 이후 예술의(쿤스트볼른)이라는 개념이 예술학에 도입되고 있다.
리글은 예술품이 사용목적, 재료, 기교에 의해 제약받는 예술적 기능(쿤스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