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전설의 정의와 특징
2. 전설의 연구사
3. 전설의 형성과 전개
4. 전설의 갈래
5. 전설의 형식: 문체와 구조
6. 전설의 인간관과 사회적 기능
7. 앞으로의 연구 방향
2. 전설의 연구사
3. 전설의 형성과 전개
4. 전설의 갈래
5. 전설의 형식: 문체와 구조
6. 전설의 인간관과 사회적 기능
7. 앞으로의 연구 방향
본문내용
거에 있었던 사실에 대한 것으로 대부분의 전설이 이에 속함
예언적 전설
다분히 신앙적인 예언성을 지닌 것으로 예언의 실현 여부에 따라 완성전설과 예언 미완성전설로 나누기도 함
표현방법에 따라
건조체 전설
줄거리만 간단히 드러나는 것으로 증거물에 대한 설명만으로 그치는 경우
윤색체 전설
길고 수식이 많으며 대체로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전설이 이에 해당
5. 전설의 형식: 문체와 구조
문체
: 전설에서 구사되는 어휘와 문체는 대체로 자연스럽고 소박한 일상어가 중심을 이룬다.
최소요건인 증거물만 갖추어지면 되기 때문에 그 길이도 상상력의 자유가 무제한으로 허용되는 민담에 비해 그리 길지 않다.
진술방식의 두가지 예>
지금 우리 눌차리에는 태운장군바우라 카는 바우가 하나있습니다.
있는데, 옛날에 그 태운장군바우에서 제(祭)를 모셨는데, 그 태운장군바우에서 일년에 한 번씩 정월초사흘날이 되면, 그 태운장군바우의 태운장군이 말을 타고 우리 부락을 보고 달려와요. 오는데, 그 태운장군바우가 지금 가보면 현 위치가 있습니다만 그것은 눌차리에서 사는 사람만이 태운장군바우라 카는 것을 알고 있고 아무도 모릅니다.
▶ 설명적 진술 방식- 태운장군바위라는 증거물에 대한 정보전달에 초점
영변 영산면에 가면 칠불동이란 게 있어요. 칠불동, 부처가 일곱이 지나간 자리라고 칠불동이 있어요. 그것이 살수싸움 때 나온 그건데, 거 수양대군 그 막대한 그 군인이 그것이 평양을 점령하기 위해서 거 살수까지 왔던 거 사실 아닙니까?
▶논증적 진술 방식- 전설내용의 사실성 여부에 대한 초점
구조
단순한 전설에서는 구조를 찾기 힘든 것도 있으나, 허구적 서사가 중심이 된 전설에서는 유기적 짜임새가 돋보이는 것이 많다.
화자의 의식과 표현사이의 상반관계
전설을 사실로 의식하는 화자가 표현은 오히려 사실로 믿기 어렵게 이야기함으로써 전설의 전승력을 담보하는 장치로 활용
비합리적 지향과 합리적 결말의 상반관계
초월적인 경이이자 비합리적인 것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기대를 담되 증거물이 지닌 현실성을 중심으로 초월성과 현실성, 비합리성과 합리성의 구조적 긴장관계를 유지
등장인물의 성격과 결말의 반전관계
주인공이 비범한 인물로 긍정적인 성격을 띠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좌절하거나 불행한 결말에 이르게 함으로써 비극성을 극명하게 드러냄.
극적 대립의 지속
자아와 세계의 갈등과 대립이 애초부터 전제된 갈등으로 그 갈등과 대립이 끝까지 지속됨.
특히, 지명전설의 경우 서두와 결말에서는 대체로 역사성과 사실을 담보하는 구체적 시공간과 증거물이 제시되고, 도입부와 증시부에서는 증거물의 존재를 시간적 선후관계로 성실히 설명하는 짜임을 하고 있다.
6. 전설의 인간관과 사회적 기능
인간관
초자연적 질서의 개입↔ 인간적 속성 반영
예> 장자못전설, 달래고개전설
전설에서 문제 삼는 인간적 현실은 본능과 규범과의 갈등을 기저로 하여 다양한 국면으로 재현되되 대부분 인간중심적 가치에 기반한 현세지향적 세계관의 일단을 보이고 있다.
▶ 역사적 현실 속에 존재하는 인간의 실존적 자각을 일깨우는 자기성찰의 문학으로서의 역할 담당
사회적 기능
① 교육적 기능
『도깨비가 잡아 준 안동 김씨 조상묘터전설』
가문의 은근한 자랑
『칠곡면 용동 열효각전설』
열녀 배출지로서의 자부심
예>
② 공동체로서의 유대감 강화 기능
『오뉘힘내기전설』
양웅불립(兩雄不立)과 남아선호의 사회적 통념이 지닌 불합리를 비판하는 힘
『장자못전설』
이웃과 함께 나누는 공생적 가치관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전설』『치악산의 유래』
자연과 인간, 동물과 인간의 관계
『사명당전설』
민중영웅의 웅장한 기상과 담대한 포부
예>
③ 동일시를 통한 현실개척 기능
예> 『아기장수전설』
7. 앞으로의 연구 방향
① 한국적 방법론을 새로 정립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진지한 검토가 있어야 한다.
② 오늘날 전하고 있는 현대적 전설을 채집, 정리하고 그 성격 규명 및 의미를 파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③소련일본중국미국 등에 흩어져 있는 해외교포들의 전설을 채집, 정리하여 서로 비교해 보는 작업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연오랑 세오녀(延烏郞細烏女)
출전:{삼국유사},권1,기이, 연오랑 세오녀
해와 달의 생성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이 설화는 일월신화(日月神話)의 흔적을 간직하고 있다. 더구나 일본 측의 자료를 보면 이 설화가 일본의 건국신화와 관계 있음도 알 수 있다. 또 우리 나라의 영일(迎日)이란 지명도 이 이야기와 관계 있다.
신라 8대 임금 아달라(阿達羅) 왕 때의 일이다. 동해 바닷가에 연오랑(延烏郞)과 세오녀(細烏女) 부부가 살고 있었다. 어느 날 바다 위에 홀연히 바위 하나가 나타나자, 연오랑은 이것을 타고 일본으로 건너갔다. 일본에서는 바위를 타고 온 이 사람을 왕으로 모셨다. 한편 아내인 세오녀는 아무리 기다려도 남편이 집으로 돌아오지 않자 궁금하여 바다에 나가 보았다. 남편이 벗어놓은 신발을 보고 자기도 그 바위에 올라탔다. 그리하여 세오녀도 일본으로 건너가 남편을 만나 왕비가 되었다. 그런데 이 부부가 신라땅을 떠난 뒤부터 해와 달이 빛을 잃었다. 왕은 천문을 맡은 신하에게 그 연유를 물었다. 그러자 그 신하는 \"해와 달의 정(精)이 우리 나라에 있다가 이제 일본으로 갔기 때문에 이런 변괴가 생기는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왕은 곧 사신을 일본에 파견하였다. 연오랑 부부를 귀국시키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연오랑은 \"우리가 여기에 온 것은 하늘의 뜻이니, 어찌 홀홀히 돌아갈 수 있겠소. 그러나 나의 아내가 짠, 가는 명주를 줄 터이니 이것을 가지고 가서 하늘에 제사하면 해와 달이 다시 빛을 발할 것이오.\" 라고 말하며 그 비단을 주었다. 사신이 그 비단을 가지고 와서 하늘에 제사했더니 과연 해와 달이 옛날같이 빛났다고 한다. 그래서 그 명주를 국보로 모시고, 그 창고를 귀비고(貴妃庫)라 했고, 제사지낸 곳을 영일현(迎日縣)이라고 하였다.
남원에는 일찍부터 <흥부전>의 주인공 흥부가 실존인물이라는 이야기들이 있어왔다. 그 가운데서도 동면 성산리와 아영면 성리가 흥부와 관련된 마을이라고들 하는데, 내용인즉 성산마을은 흥부가 출생한 곳, 성리마을은 흥부가 놀부에게
예언적 전설
다분히 신앙적인 예언성을 지닌 것으로 예언의 실현 여부에 따라 완성전설과 예언 미완성전설로 나누기도 함
표현방법에 따라
건조체 전설
줄거리만 간단히 드러나는 것으로 증거물에 대한 설명만으로 그치는 경우
윤색체 전설
길고 수식이 많으며 대체로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전설이 이에 해당
5. 전설의 형식: 문체와 구조
문체
: 전설에서 구사되는 어휘와 문체는 대체로 자연스럽고 소박한 일상어가 중심을 이룬다.
최소요건인 증거물만 갖추어지면 되기 때문에 그 길이도 상상력의 자유가 무제한으로 허용되는 민담에 비해 그리 길지 않다.
진술방식의 두가지 예>
지금 우리 눌차리에는 태운장군바우라 카는 바우가 하나있습니다.
있는데, 옛날에 그 태운장군바우에서 제(祭)를 모셨는데, 그 태운장군바우에서 일년에 한 번씩 정월초사흘날이 되면, 그 태운장군바우의 태운장군이 말을 타고 우리 부락을 보고 달려와요. 오는데, 그 태운장군바우가 지금 가보면 현 위치가 있습니다만 그것은 눌차리에서 사는 사람만이 태운장군바우라 카는 것을 알고 있고 아무도 모릅니다.
▶ 설명적 진술 방식- 태운장군바위라는 증거물에 대한 정보전달에 초점
영변 영산면에 가면 칠불동이란 게 있어요. 칠불동, 부처가 일곱이 지나간 자리라고 칠불동이 있어요. 그것이 살수싸움 때 나온 그건데, 거 수양대군 그 막대한 그 군인이 그것이 평양을 점령하기 위해서 거 살수까지 왔던 거 사실 아닙니까?
▶논증적 진술 방식- 전설내용의 사실성 여부에 대한 초점
구조
단순한 전설에서는 구조를 찾기 힘든 것도 있으나, 허구적 서사가 중심이 된 전설에서는 유기적 짜임새가 돋보이는 것이 많다.
화자의 의식과 표현사이의 상반관계
전설을 사실로 의식하는 화자가 표현은 오히려 사실로 믿기 어렵게 이야기함으로써 전설의 전승력을 담보하는 장치로 활용
비합리적 지향과 합리적 결말의 상반관계
초월적인 경이이자 비합리적인 것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기대를 담되 증거물이 지닌 현실성을 중심으로 초월성과 현실성, 비합리성과 합리성의 구조적 긴장관계를 유지
등장인물의 성격과 결말의 반전관계
주인공이 비범한 인물로 긍정적인 성격을 띠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좌절하거나 불행한 결말에 이르게 함으로써 비극성을 극명하게 드러냄.
극적 대립의 지속
자아와 세계의 갈등과 대립이 애초부터 전제된 갈등으로 그 갈등과 대립이 끝까지 지속됨.
특히, 지명전설의 경우 서두와 결말에서는 대체로 역사성과 사실을 담보하는 구체적 시공간과 증거물이 제시되고, 도입부와 증시부에서는 증거물의 존재를 시간적 선후관계로 성실히 설명하는 짜임을 하고 있다.
6. 전설의 인간관과 사회적 기능
인간관
초자연적 질서의 개입↔ 인간적 속성 반영
예> 장자못전설, 달래고개전설
전설에서 문제 삼는 인간적 현실은 본능과 규범과의 갈등을 기저로 하여 다양한 국면으로 재현되되 대부분 인간중심적 가치에 기반한 현세지향적 세계관의 일단을 보이고 있다.
▶ 역사적 현실 속에 존재하는 인간의 실존적 자각을 일깨우는 자기성찰의 문학으로서의 역할 담당
사회적 기능
① 교육적 기능
『도깨비가 잡아 준 안동 김씨 조상묘터전설』
가문의 은근한 자랑
『칠곡면 용동 열효각전설』
열녀 배출지로서의 자부심
예>
② 공동체로서의 유대감 강화 기능
『오뉘힘내기전설』
양웅불립(兩雄不立)과 남아선호의 사회적 통념이 지닌 불합리를 비판하는 힘
『장자못전설』
이웃과 함께 나누는 공생적 가치관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전설』『치악산의 유래』
자연과 인간, 동물과 인간의 관계
『사명당전설』
민중영웅의 웅장한 기상과 담대한 포부
예>
③ 동일시를 통한 현실개척 기능
예> 『아기장수전설』
7. 앞으로의 연구 방향
① 한국적 방법론을 새로 정립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진지한 검토가 있어야 한다.
② 오늘날 전하고 있는 현대적 전설을 채집, 정리하고 그 성격 규명 및 의미를 파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③소련일본중국미국 등에 흩어져 있는 해외교포들의 전설을 채집, 정리하여 서로 비교해 보는 작업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연오랑 세오녀(延烏郞細烏女)
출전:{삼국유사},권1,기이, 연오랑 세오녀
해와 달의 생성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이 설화는 일월신화(日月神話)의 흔적을 간직하고 있다. 더구나 일본 측의 자료를 보면 이 설화가 일본의 건국신화와 관계 있음도 알 수 있다. 또 우리 나라의 영일(迎日)이란 지명도 이 이야기와 관계 있다.
신라 8대 임금 아달라(阿達羅) 왕 때의 일이다. 동해 바닷가에 연오랑(延烏郞)과 세오녀(細烏女) 부부가 살고 있었다. 어느 날 바다 위에 홀연히 바위 하나가 나타나자, 연오랑은 이것을 타고 일본으로 건너갔다. 일본에서는 바위를 타고 온 이 사람을 왕으로 모셨다. 한편 아내인 세오녀는 아무리 기다려도 남편이 집으로 돌아오지 않자 궁금하여 바다에 나가 보았다. 남편이 벗어놓은 신발을 보고 자기도 그 바위에 올라탔다. 그리하여 세오녀도 일본으로 건너가 남편을 만나 왕비가 되었다. 그런데 이 부부가 신라땅을 떠난 뒤부터 해와 달이 빛을 잃었다. 왕은 천문을 맡은 신하에게 그 연유를 물었다. 그러자 그 신하는 \"해와 달의 정(精)이 우리 나라에 있다가 이제 일본으로 갔기 때문에 이런 변괴가 생기는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왕은 곧 사신을 일본에 파견하였다. 연오랑 부부를 귀국시키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연오랑은 \"우리가 여기에 온 것은 하늘의 뜻이니, 어찌 홀홀히 돌아갈 수 있겠소. 그러나 나의 아내가 짠, 가는 명주를 줄 터이니 이것을 가지고 가서 하늘에 제사하면 해와 달이 다시 빛을 발할 것이오.\" 라고 말하며 그 비단을 주었다. 사신이 그 비단을 가지고 와서 하늘에 제사했더니 과연 해와 달이 옛날같이 빛났다고 한다. 그래서 그 명주를 국보로 모시고, 그 창고를 귀비고(貴妃庫)라 했고, 제사지낸 곳을 영일현(迎日縣)이라고 하였다.
남원에는 일찍부터 <흥부전>의 주인공 흥부가 실존인물이라는 이야기들이 있어왔다. 그 가운데서도 동면 성산리와 아영면 성리가 흥부와 관련된 마을이라고들 하는데, 내용인즉 성산마을은 흥부가 출생한 곳, 성리마을은 흥부가 놀부에게
추천자료
세계국가론 - 국가에 대한 정의
[헨리조지][토지개혁론][헨리조지사상][칼마르크스]헨리조지의 생애, 헨리조지의 지대에 대한...
사회복지 조사론(조작적 정의, 귀납법, 연역법, 실험조사)
[부자론] 부자의 정의, 부자의 특징, 부자의 역할, 부자의 책임등등
개인을 지배하는 세계관 - 영화 피아니스트의 전설을 중심으로
[평생교육론] 우리나라의 평생교육정책 (우리나라의 평생교육정책에 대해 알아보고, 우리나라...
[정신건강론] 정신장애를 바라보는 관점의 역사적 인식에 대해 고찰하고 정신건강서비스 분야...
2015년 1학기 구비문학의세계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신화, 전설, 민담 자료 분석)
전승문학의 개념과 특징을 정리한 후 전승문학(민담, 신화, 전설, 우화) 그림책 하나를 선정...
[가족복지론] 아동학대 {아동학대의 정의 및 유형, 아동학대 실태, 법률 규정, 원인과 영향, ...
[대상관계이론] 대상관계론의 개념(정의), 클라인의 대상관계론, 대상상실
노인교육론_노인에 대한 기존의 다양한 정의는 무엇이며, 자신이 생각하는 노인에 대한 정의...
2018년 1학기 구비문학의세계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한국의 신화, 전설, 민담 자료)
시장조사론)서베이 조사의 1) 정의 2) 특징 3) 장단점을 기술하세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