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주제 선택의 간략한 동기와 소개
Ⅱ. 현재 소비자 Trend 분석
Ⅲ. 시장 분석
1) MP3 플레이어 시장환경
2) 거시적 환경 분석
3) 미시적 환경 분석
4) 시장점유율
Ⅳ. 경쟁사 분석
1) 현재 시장의 경쟁자 상황
2) 제품별 경쟁사
3) 경쟁사에 대한 대처
Ⅴ. 아이 리버의 성공 요인
1) 기술과 스피드에 의한 시장 선점
2) 독자 브랜드 구축
3) 이노에 의한 디자인
4) 사람 중심 운영
5) 고객 중심 경영
6) 브리티니 스피어스를 통한 세계화
Ⅵ. 분석 과 향후 전략
1) 성장성-점유율 도표
2) 아이리버의 향후 전략
Ⅶ. 결 론
Ⅱ. 현재 소비자 Trend 분석
Ⅲ. 시장 분석
1) MP3 플레이어 시장환경
2) 거시적 환경 분석
3) 미시적 환경 분석
4) 시장점유율
Ⅳ. 경쟁사 분석
1) 현재 시장의 경쟁자 상황
2) 제품별 경쟁사
3) 경쟁사에 대한 대처
Ⅴ. 아이 리버의 성공 요인
1) 기술과 스피드에 의한 시장 선점
2) 독자 브랜드 구축
3) 이노에 의한 디자인
4) 사람 중심 운영
5) 고객 중심 경영
6) 브리티니 스피어스를 통한 세계화
Ⅵ. 분석 과 향후 전략
1) 성장성-점유율 도표
2) 아이리버의 향후 전략
Ⅶ. 결 론
본문내용
를 탑재한 MP3P인 신형 `아이팟`(iPod)을 국내 출시하고 있다. 아이팟은 전세계 HDD MP3P의 대명사로 불리는 제품이다. 기존 아이팟과 비교해 용량대비 제품 가격이 절반 수준이고 매킨토시는 물론, 윈도 계열 PC를 기본 지원하는 만큼 국내시장에서 성공을 자신한다.
삼성전자도 10GB와20GB의 용량 HDD MP3P인 `옙 YP900\'을 출시하였다. 이 제품은 인코딩 기능을 기본으로 갖췄으며, 리튬폴리머 배터리를 탑재해 한 번 충전으로 10시간 연속 사용이 가능하다.
현재 한국 시장에서 하드타입을 찾는 고객은 주로 의견 선도자들이다. 이들은 선도기업인 애플사의 하드타입을 선호하고 있다. 실제로 아이리버와 기능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깔끔한 디자인과 명성에 힘입어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이 선호하고 있다. 따라서, 특별한 마케팅 전략이나 유통 시스템이 구축되어있지 않음에도 소비자들이 직접 찾아다니는 실정이다. 그러나 하드타입 시장이 아직 얼마나 큰 수요를 창출할지는 아직 미지수이기 때문에 좀더 시장의 상황을 주시해야할 필요가 있다.
3) 경쟁사에 대한 아이리버의 대처
①삼성의 점유율확대에 대하여
레인콤은 삼성전자의 공세에 대응하기 위해 제품별로 가격을 1만1000~9만9000원 인하했다. 레인콤 측은 \"홈쇼핑 판매 활성화와 신제품 출시를 앞둔 재고정리를 위해 가격을 인하했지만, 삼성전자를 의식한 부분도 없지 않다\"고 설명했다. 레인콤은 30만화소 디지털카메라가 내장된 `iFT1000\'을 시작으로 신개념 컨버전스 MP3P를 집중적으로 출시해 시장 1위 자리를 수성하겠다는 입장이다.
② 애플사의 HDD Type에 대하여
애플사의 독점 상황에서 아이리버는 다기능의 여러 신제품을 iPOD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출시하여 꾸준히 하드타입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현재 아이리버는 한층 업그레이드된 H320을 출시하여 하드타입 시장으로 공략하고 있다. 세련된 디자인과 컬러 액정을 탑재한 이 제품은 이미지 뷰어(image viewer)로 jpg, bmp 파일을 볼 수 있으며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직접 사진을 다운 받아서 볼 수도 있다.
Ⅴ. 아이 리버의 성공 요인
1) 기술과 스피드에 의한 시장 선점
아이 리버가 기술을 얼마나 중요시 여기느냐는 창업 초기의 에피소드를 보면 알수 있다. 아이리버가 독자 브랜드로 해외시장과 국내시장을 동시에 공략하려고 할때, 특히 해외시장을 공략하는것은 싶지 않은일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반영하듯 베스트 바이와 유통채널이 연결될때 까지 9개월이라는 긴시간이 걸렸다. 이러한 기간에도 R&D 투자를 중단하지 않았다. 즉 좋은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술을 위해서는 어려운 경영난도 장벽이 될수 없었던것이다. 이러한 아이리버의 뛰어난 기술은 빠른 신제품 출시로 이어진다. 아이리버 제품의 신제품 주기는 굉장히 짧은 편인데 신제품이 출시 되고 그 제품이 시장에서 성장 및 성숙되기도 전에 새로운 제품이 출시 되고 있다.
2) 독자 브랜드 구축
소닉 블루에게 주문자 상표 부착방식(OEM)으로 리오볼트를 판매하던 아이리버는
2002년 1월 새로운도전을 감행 하였다. 미국을 비롯한 세계시장에 아이리버 의 독자 브랜드 진출결정이 바로 그것이 었다. 국내시장에서는 최초의 제품 iMP-100
부터 아이리버의 독자 브랜드를 판매하고 있었지만 가격과 브랜드가 구매의사결정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미국, 나아가 세계시장에서의 한국의 작은 기업인 아이리버가 독자브랜드로 제품을 판매한다는것은 너무나 위험한 일이었다. 회사 내부에서도 반대의 의견이 거셌다. 이제 겨우 자리를 잡아가는 상황에서 안정된 시장점유율과 매출을 보장하는 소닉 블루와의 관계를 정리한다는 것은 기업의 생존과 직결된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이리버는 안정된 자리에 만족하기 보다는 보다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넓은 세계시장에서 아이리버를 알리기로 결정하였고 이를 추진하였다.
3) 이노에 의한 디자인
아이리버는 제품의 연구와 개발에 있어서 항상 세계 최고를 추구하여 앞서 왔지만 세계적인 제품과 기업으로 성장하여 고객에게 더욱 사랑받기위해서는 기술 뿐만 아니라 디자인도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였다 첫 제품이었던 iMP-100는 한국산업디자인 진흥원의 2000년 베스트10 디자인상을 수상하여 기능뿐만 아니라 디자인에서도 인정을 받았지만, 세계일류의 제품을 세계 일류의 디자인에 담고 싶다는 아이리버의 생각은 그후에도 지속 되었다. 그리고 이노의 디자인은 MP3플레이어의 주요고객층인 10~30대의
삼성전자도 10GB와20GB의 용량 HDD MP3P인 `옙 YP900\'을 출시하였다. 이 제품은 인코딩 기능을 기본으로 갖췄으며, 리튬폴리머 배터리를 탑재해 한 번 충전으로 10시간 연속 사용이 가능하다.
현재 한국 시장에서 하드타입을 찾는 고객은 주로 의견 선도자들이다. 이들은 선도기업인 애플사의 하드타입을 선호하고 있다. 실제로 아이리버와 기능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깔끔한 디자인과 명성에 힘입어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이 선호하고 있다. 따라서, 특별한 마케팅 전략이나 유통 시스템이 구축되어있지 않음에도 소비자들이 직접 찾아다니는 실정이다. 그러나 하드타입 시장이 아직 얼마나 큰 수요를 창출할지는 아직 미지수이기 때문에 좀더 시장의 상황을 주시해야할 필요가 있다.
3) 경쟁사에 대한 아이리버의 대처
①삼성의 점유율확대에 대하여
레인콤은 삼성전자의 공세에 대응하기 위해 제품별로 가격을 1만1000~9만9000원 인하했다. 레인콤 측은 \"홈쇼핑 판매 활성화와 신제품 출시를 앞둔 재고정리를 위해 가격을 인하했지만, 삼성전자를 의식한 부분도 없지 않다\"고 설명했다. 레인콤은 30만화소 디지털카메라가 내장된 `iFT1000\'을 시작으로 신개념 컨버전스 MP3P를 집중적으로 출시해 시장 1위 자리를 수성하겠다는 입장이다.
② 애플사의 HDD Type에 대하여
애플사의 독점 상황에서 아이리버는 다기능의 여러 신제품을 iPOD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출시하여 꾸준히 하드타입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현재 아이리버는 한층 업그레이드된 H320을 출시하여 하드타입 시장으로 공략하고 있다. 세련된 디자인과 컬러 액정을 탑재한 이 제품은 이미지 뷰어(image viewer)로 jpg, bmp 파일을 볼 수 있으며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직접 사진을 다운 받아서 볼 수도 있다.
Ⅴ. 아이 리버의 성공 요인
1) 기술과 스피드에 의한 시장 선점
아이 리버가 기술을 얼마나 중요시 여기느냐는 창업 초기의 에피소드를 보면 알수 있다. 아이리버가 독자 브랜드로 해외시장과 국내시장을 동시에 공략하려고 할때, 특히 해외시장을 공략하는것은 싶지 않은일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반영하듯 베스트 바이와 유통채널이 연결될때 까지 9개월이라는 긴시간이 걸렸다. 이러한 기간에도 R&D 투자를 중단하지 않았다. 즉 좋은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술을 위해서는 어려운 경영난도 장벽이 될수 없었던것이다. 이러한 아이리버의 뛰어난 기술은 빠른 신제품 출시로 이어진다. 아이리버 제품의 신제품 주기는 굉장히 짧은 편인데 신제품이 출시 되고 그 제품이 시장에서 성장 및 성숙되기도 전에 새로운 제품이 출시 되고 있다.
2) 독자 브랜드 구축
소닉 블루에게 주문자 상표 부착방식(OEM)으로 리오볼트를 판매하던 아이리버는
2002년 1월 새로운도전을 감행 하였다. 미국을 비롯한 세계시장에 아이리버 의 독자 브랜드 진출결정이 바로 그것이 었다. 국내시장에서는 최초의 제품 iMP-100
부터 아이리버의 독자 브랜드를 판매하고 있었지만 가격과 브랜드가 구매의사결정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미국, 나아가 세계시장에서의 한국의 작은 기업인 아이리버가 독자브랜드로 제품을 판매한다는것은 너무나 위험한 일이었다. 회사 내부에서도 반대의 의견이 거셌다. 이제 겨우 자리를 잡아가는 상황에서 안정된 시장점유율과 매출을 보장하는 소닉 블루와의 관계를 정리한다는 것은 기업의 생존과 직결된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이리버는 안정된 자리에 만족하기 보다는 보다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넓은 세계시장에서 아이리버를 알리기로 결정하였고 이를 추진하였다.
3) 이노에 의한 디자인
아이리버는 제품의 연구와 개발에 있어서 항상 세계 최고를 추구하여 앞서 왔지만 세계적인 제품과 기업으로 성장하여 고객에게 더욱 사랑받기위해서는 기술 뿐만 아니라 디자인도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였다 첫 제품이었던 iMP-100는 한국산업디자인 진흥원의 2000년 베스트10 디자인상을 수상하여 기능뿐만 아니라 디자인에서도 인정을 받았지만, 세계일류의 제품을 세계 일류의 디자인에 담고 싶다는 아이리버의 생각은 그후에도 지속 되었다. 그리고 이노의 디자인은 MP3플레이어의 주요고객층인 10~30대의
추천자료
MP3와 대중음악, 그 대립의 쟁점
불황을 겪고 있는 대중음악계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온라인 음악 사이트 (벅스뮤직, 소리바다)에 대한 법, 경제학적 분적
벅스 문제 분석에 따른 음악발전 모색방향
[시장분석]MP3 Player 시장현황 분석 조사
[P2P][MP3][음악공유문제][저작권][소리바다][저작권문제][저작권침해][저작권보호]P2P, MP3,...
한국의 락 음악, 대중화의 문제점에 대한 분석
음원 경쟁 시장속에서 벅스 뮤직의 BUSINESS 전략
한국 음악계의 소외된 장르
[예체능] 인간생활과 음악
[음악저작권][음악저작권 대상][음악저작권 위탁관리][음악저작권 권리][음악저작권 협회]음...
대중가요(대중음악) 특수성, 대중가요(대중음악) 위기, 대중가요(대중음악)와 문화현실, 대중...
[MP3][MP3 시장규모][MP3 시장전망][MP3 기술배경][MP3와 WMA][MP3 문제점][MP3 정책 과제]MP...
음악산업의 현황과 정책 및 전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