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초기약물의 영향
◇ Orton's influence
◇ The influence of Strauss and Werner
◇ The influence of Cruickshank, Myklebust, Johnson, and Kirk.
◇ Learning Disabilities as an Applied Field Molded by Social and Political Forces.
◇ 구어에서의 특수학습장애
◇ Orton's influence
◇ The influence of Strauss and Werner
◇ The influence of Cruickshank, Myklebust, Johnson, and Kirk.
◇ Learning Disabilities as an Applied Field Molded by Social and Political Forces.
◇ 구어에서의 특수학습장애
본문내용
요구에 적합하지 않다.
많은 최근의 근거는 이와 같은 기록들에 의해서 지지되어 지고 있지만 이후에 이루어질 논의의 근거로서는 타당성을 갖지 않는다.
◇ Orton\'s influence
1920년대에 Samuel Orton은 읽기능력 결손은 언어 기능을 수행하는 대뇌의 좌반구의 처리 지연과 실패에 기인한 것이라는 가설을 임상연구로 테스트 하면서 읽기 장애의 연구를 확장시켰다. Orton에 따르면 읽기 장애가 있는 아이들은 b/d, p/q, saw/was, not/ton 등을 혼돈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언어적 상징을 지배하는 좌반구의 결함을 의미한다고 한다. Orton의 이론은 자극적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고 mobilizing 교사와 부모들은 아이들의 학문, 행동, 사회성 발달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는 읽기 쓰기 장애에 관심을 보였으며, 읽기 장애를 가진 아이들을 위한 교수법 발굴에 관심을 보였다. 게다가 Orton의 영향력은 오늘날의 학습장에의 개념화에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 1937년 Orton은 다음과 같은것을 명백히 하는 평균 지적능력을 가진 아이들과 평균 이상의 지적능력을 가진 아이들의 여러 사례들을 보고하였다.
1) developmental alexia (발달상의 독서불능증) , difficulty learning to read (읽기 학습의 어려움) 2) developmental agraphia (발달상의 실서증), significant difficulty in learning to write (쓰기 학습의 현저한 어려움)
3) developmental word deafness (발달상의 단어 귀머거리), a specific deficit in verbal understanding within a context of normal auditory ( 보통 청력자의 특정한 구어 이해 장애) 4) developmental motor aphasia (발달상의 motor 실어증), motor speech delay (motor 발화 지연) 5) abnormal clumsiness (비정상의 서투름) 6) stuttering (말더듬기)
Orton은 읽기 장애가 장애의 단계에서 명백히 나타나는 문제라는 것을 처음으로 강조하고, 이는 대뇌의 기능장애에서 기인한 것이고 낮은 지적 능력과 동시에 일어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 The influence of Strauss and Werner
Orton이 읽기 장애에 대한 과학적임상적 관심을 불러일으키는데 공헌했다면, 2차 세계대전후 Strauss 와 Werner 의 동료들은 공식적으로 인정된 학습장애의 범주를 제시하였다. 그들의 영향력은 지능발달이 지연된 아이들의 연구에서 시작되었고, 특별히 신경학상으로 손상은 없으나 뇌손상으로 인해 지능발달이 지연된 아이들의 행동을 비교하는데 관심을 두었다. Strauss와 Lehtinen 은 뇌손상 있는 정신지체 아동은 figure-ground의 지각과 주위 집중, 의며 형성에 어려움을 보였지만, 반면에 뇌손상이 없는 정신지체 아동은 수행에 있어서 어느 정도 정신지체가 없는 아동과 비슷한 유사한 반응을 보였다. 이 연구에서 Strauss는 지체장애는 없으나 학습에 어려움을 격고 있는 아동들을 연구하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면서 “minimal brain damage\" 를 소개한다. - 지각 인식 불안의 질적 조사에서 정신지체가 없는 아동일 경우, 심리적 불안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뇌손상 아동에게 문제를 제시했을 때, 그 문제가 뇌손상과 관련 있는 문제가 아닐지라도 그들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이는 뇌손상을 진단하는데 정당성을 부여할 것이다.
Strauss와 그의 동료들은 다른교육 분야로부터 학습장애 분야 발전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1. 학습에서 개인적 차이는 아동이 학습 과제를 수행하는데 있어 개인마다 다른 방법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2. 교육과정은 아동 개인의 약점과 강점에 맞게 결정되어져야 한다.
3. 학습 과정에 결함이 있는 아동들은 그 과정을 강화할지라도 정상적으로 수업 받도록 하며, 아동의 결함을 강조하지 않는 수업방법을 발전시킨다.
이와 유사하게 Kavale와 Forness도 연구를 발표하면서 Strauss와 그의 동료들과 함께 학습장애 패러다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1) 학습장애는 개인의 유전자에 따라 다르며, 그에 따른 임상모델이 나타난다.
2) 학습장애는 신경학적 결함과 관련이 있다. 3) 학습장애를 가진 아동의 학업 문제는 정신 지체 결함과 관련이 있으며, 결함은 지각 영역에서 현저하게 나타난다.
4) 보통의 지적능력을 가졌으나 학습장애를 보이는 아동의 학업 실패는 IQ과 학업 성취도의 모습 때문이다. 5) 학습장애는 다른 신체장애에서 기인할 수 없다.
Strauss 와 그의 동료들이 학습장애 패러다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minimal brain damage\"의 가설은 50년이 지난 후에 힘을 얻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연구는 학습장애에 대한 생각과, 1950~60년대에 행동 연구자들의 ”정상적인 지적능력을 가졌으나 학습에 실패하는 아이들의 연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 The influence of Cruickshank, Myklebust, Johnson, and Kirk.
학습장애의 초기 개념화와 연구에 선두자인 Cruickshank, Myklebust, Jonson. and Kirk 은 학습자의 특성과 학습 결함의 교육상의 조정의 중요성과 원인에 초점을 맞췄다. 예를 들어 Cruickshank과 그의 동료들은 학습과 주의 집중에 결함이 있는 아동들이 교실내에서 그들을 흐트려 놓는 자극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교실 모델을 추천하기도 하는등 학습 장애 연구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이와 비슷하게 Myklebust, Johnson은 Northwest 대학에서 언어형태의 영향에 관한 방대한 연구와 학교 교육과 관련있는 학습 장애의 개선을 위한 과정을 디자인 하였다. 그러나 학습장애의 공식적인 인지에 막대한 영향을 준 사람은 Samuel Kirk이다. 1963년 Kirk는 신체장애아동의 지각 문제 연구
많은 최근의 근거는 이와 같은 기록들에 의해서 지지되어 지고 있지만 이후에 이루어질 논의의 근거로서는 타당성을 갖지 않는다.
◇ Orton\'s influence
1920년대에 Samuel Orton은 읽기능력 결손은 언어 기능을 수행하는 대뇌의 좌반구의 처리 지연과 실패에 기인한 것이라는 가설을 임상연구로 테스트 하면서 읽기 장애의 연구를 확장시켰다. Orton에 따르면 읽기 장애가 있는 아이들은 b/d, p/q, saw/was, not/ton 등을 혼돈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언어적 상징을 지배하는 좌반구의 결함을 의미한다고 한다. Orton의 이론은 자극적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고 mobilizing 교사와 부모들은 아이들의 학문, 행동, 사회성 발달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는 읽기 쓰기 장애에 관심을 보였으며, 읽기 장애를 가진 아이들을 위한 교수법 발굴에 관심을 보였다. 게다가 Orton의 영향력은 오늘날의 학습장에의 개념화에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 1937년 Orton은 다음과 같은것을 명백히 하는 평균 지적능력을 가진 아이들과 평균 이상의 지적능력을 가진 아이들의 여러 사례들을 보고하였다.
1) developmental alexia (발달상의 독서불능증) , difficulty learning to read (읽기 학습의 어려움) 2) developmental agraphia (발달상의 실서증), significant difficulty in learning to write (쓰기 학습의 현저한 어려움)
3) developmental word deafness (발달상의 단어 귀머거리), a specific deficit in verbal understanding within a context of normal auditory ( 보통 청력자의 특정한 구어 이해 장애) 4) developmental motor aphasia (발달상의 motor 실어증), motor speech delay (motor 발화 지연) 5) abnormal clumsiness (비정상의 서투름) 6) stuttering (말더듬기)
Orton은 읽기 장애가 장애의 단계에서 명백히 나타나는 문제라는 것을 처음으로 강조하고, 이는 대뇌의 기능장애에서 기인한 것이고 낮은 지적 능력과 동시에 일어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 The influence of Strauss and Werner
Orton이 읽기 장애에 대한 과학적임상적 관심을 불러일으키는데 공헌했다면, 2차 세계대전후 Strauss 와 Werner 의 동료들은 공식적으로 인정된 학습장애의 범주를 제시하였다. 그들의 영향력은 지능발달이 지연된 아이들의 연구에서 시작되었고, 특별히 신경학상으로 손상은 없으나 뇌손상으로 인해 지능발달이 지연된 아이들의 행동을 비교하는데 관심을 두었다. Strauss와 Lehtinen 은 뇌손상 있는 정신지체 아동은 figure-ground의 지각과 주위 집중, 의며 형성에 어려움을 보였지만, 반면에 뇌손상이 없는 정신지체 아동은 수행에 있어서 어느 정도 정신지체가 없는 아동과 비슷한 유사한 반응을 보였다. 이 연구에서 Strauss는 지체장애는 없으나 학습에 어려움을 격고 있는 아동들을 연구하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면서 “minimal brain damage\" 를 소개한다. - 지각 인식 불안의 질적 조사에서 정신지체가 없는 아동일 경우, 심리적 불안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뇌손상 아동에게 문제를 제시했을 때, 그 문제가 뇌손상과 관련 있는 문제가 아닐지라도 그들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이는 뇌손상을 진단하는데 정당성을 부여할 것이다.
Strauss와 그의 동료들은 다른교육 분야로부터 학습장애 분야 발전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1. 학습에서 개인적 차이는 아동이 학습 과제를 수행하는데 있어 개인마다 다른 방법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2. 교육과정은 아동 개인의 약점과 강점에 맞게 결정되어져야 한다.
3. 학습 과정에 결함이 있는 아동들은 그 과정을 강화할지라도 정상적으로 수업 받도록 하며, 아동의 결함을 강조하지 않는 수업방법을 발전시킨다.
이와 유사하게 Kavale와 Forness도 연구를 발표하면서 Strauss와 그의 동료들과 함께 학습장애 패러다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1) 학습장애는 개인의 유전자에 따라 다르며, 그에 따른 임상모델이 나타난다.
2) 학습장애는 신경학적 결함과 관련이 있다. 3) 학습장애를 가진 아동의 학업 문제는 정신 지체 결함과 관련이 있으며, 결함은 지각 영역에서 현저하게 나타난다.
4) 보통의 지적능력을 가졌으나 학습장애를 보이는 아동의 학업 실패는 IQ과 학업 성취도의 모습 때문이다. 5) 학습장애는 다른 신체장애에서 기인할 수 없다.
Strauss 와 그의 동료들이 학습장애 패러다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minimal brain damage\"의 가설은 50년이 지난 후에 힘을 얻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연구는 학습장애에 대한 생각과, 1950~60년대에 행동 연구자들의 ”정상적인 지적능력을 가졌으나 학습에 실패하는 아이들의 연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 The influence of Cruickshank, Myklebust, Johnson, and Kirk.
학습장애의 초기 개념화와 연구에 선두자인 Cruickshank, Myklebust, Jonson. and Kirk 은 학습자의 특성과 학습 결함의 교육상의 조정의 중요성과 원인에 초점을 맞췄다. 예를 들어 Cruickshank과 그의 동료들은 학습과 주의 집중에 결함이 있는 아동들이 교실내에서 그들을 흐트려 놓는 자극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교실 모델을 추천하기도 하는등 학습 장애 연구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이와 비슷하게 Myklebust, Johnson은 Northwest 대학에서 언어형태의 영향에 관한 방대한 연구와 학교 교육과 관련있는 학습 장애의 개선을 위한 과정을 디자인 하였다. 그러나 학습장애의 공식적인 인지에 막대한 영향을 준 사람은 Samuel Kirk이다. 1963년 Kirk는 신체장애아동의 지각 문제 연구
추천자료
유아의 발달과 특성에 관하여
교육의 심리학적 기초 요약정리
[지능개발,창의력개발] 지능과 창의력
경험 중심 교육의 역사적 개관 (진보주의와 듀이의 교육과정)
지체장애 운동프로그램
인지주의 학습이론 (쾰러의 통찰학습, 톨먼의 기호형태설, 정보처리 학습이론)
[모둠수업]모둠수업(모둠학습, 소집단학습) 이점과 전개과정, 모둠수업(모둠학습, 소집단학습...
[열린교육][열린수업][열린학습][열린교실][대화][마인드맵][문학][수행평가][학교교육]열린...
장애아동 놀이중심학습(놀이중심교육)의 의의와 유형, 정신지체아동, 지체장애아동(지체부자...
[협력학습][협력학습모형][협력학습 수업전략]협력학습의 개념, 협력학습의 필요성, 협력학습...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방안을 증진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
인간행동과사회환경1B) 행동발달에 대한 행동주의 이론의 입장과 요점에 대한 고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