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학파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경제학파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2

Ⅱ. 고전학파 2
1. 고전학파의 주요 이론 2

Ⅲ. 역사학파
1. 역사학파의 주요이론 2

Ⅳ. 한계효용학파 4

Ⅴ. 신고전학파 5

Ⅵ. 케인즈학파 6
1. 케인즈의 이론 6
2. 케인즈 경제학의 의의 6
3. 케인즈의 공과 6

Ⅶ. 통화주의 학파 7

Ⅷ. 합리적 기대학파 8

Ⅸ. 공급중시 경제학 8

Ⅹ. 결론 9

본문내용

에 대한 조세수입이 기존소득에 대한 조세수입감소분을 상쇄하고도 남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과연 현재의 세율이 A점을 상회할 정도로 높은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그림 1>래퍼곡선
세율인하로 인한 세후 임금의 상승이 노동공급의 증가를 가져올 것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원론적인 반론을 제기할 수 있다. 세후 임금의 상승은 여가의 기회비용을 높임으로써 노동공급을 증가시키는 대체효과뿐 아니라, 실질소득의 상승을 통하여 노동공급을 감소시키는 소득효과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만약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를 압도하는 경우에는 세율을 인하할 때 공급측면 경제학의 주장과는 달리 노동공급이 오히려 줄어들게 된다.
이자소득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공급측면의 경제학은 이자소득에 대한 세율인하를 통하여 저축을 증대시키는 것이 경제의 장기적 성장을 위해 필요하다고 주장하나, 이에 대해서도 세후 이자율의 상승이 저축에 미치는 대체효과와 소득효과를 고려하면 세율인하가 과연 저축의 증가를 가져올 것인가에 대해 반론을 제기할 수 있다.
1980년대 초 레이건행정부가 단행한 대폭적인 세율인하조치는 케인즈경제학에 입각하여 총수요를 증가시킬 목적으로 추진한 것이 아니라, 높은 세율이 노동, 저축, 투자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따라서 이를 낮춤으로써 경제의 효율성을 제고시켜야 한다는 공급측면의 경제학을 수용한 것이었다. 이런 점에서 레이거노믹스는 세율인하의 인센티브효과를 강조하는 공급측면 경제학의 실험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실험의 결과는 미국의 재정적자를 사상초유의 수준으로 증가시켰으며, 노동공급이나 저축을 증가시켰다는 명백한 증거도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따라 1970년대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이 경험한 저성장, 고물가를 배경으로 등장했던 공급측면의 경제학에 대한 관심도 사라질 수밖에 없었다.
한편, 이처럼 다소 극단적인 주장을 펴는 경제학자들 외에도 경제의 총공급측면을 강조하는 펠드스타인(M. Feldstein), 서머스(L. Summers) 등의 학자들이 있으며 이들의 주장 중 일부를 공급측면의 경제학이라 부르는 경우도 있다. 이들은 규제완화, 재정적자의 감축, 투자세액공세 등을 통하여 경제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고 투자를 증가시키는 정책이 장기적 경제성장에 중요하다고 지적하였으며 특히 규제완화는 많은 공감을 얻고 있다.
Ⅹ. 결 론
지금까지 현대경제학의 발전과정에서 각 시대적 학파의 주요 논점과 이론들을 살펴보았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경제학은 계몽주의와 종교개혁의 산물로 나타나서 정책·사회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으나 현대경제학은 경제현실을 설명할 수 없는 위기에 봉착하여 경제학 자체의 타당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경제학이 아직도 진정한 과학으로 정립되지 못한 것은 근본적으로 경제현상을 설명하는 인식의 틀에 많은 취약점들이 있기 때문이며 이를 극복하기 이해서는 포괄적이면서 타당성을 지닌 새로운 경제이론이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마샬은 원래 수학자로서 기존경제학의 체계를 수학적 형식을 빌려서 재정립하였으며, 케인즈는 국민경제의 문제를 실제변수로 측정할 수 있는 길을 열어놓음으로써 수리경제학이 현대경제학의 주축을 이루게 하였다. 이들은 논리적 일관성을 강조한 나머지 현실적 타당성을 결여함으로써 경제학 자체가 생명을 잃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경제학은 이러한 취약점들을 극복하고 새로운 해결책을 모색해야만 할 것이다.
현재의 경제학적 논쟁은 케인즈 이후에 획기적이라고 할 수 있는 새로운 이론체계가 나오지 않고 있다. 즉, 고전학파의 경제이론이 유일하고 경제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그 보다 더 낳은 이론은 없다고 모두가 믿고 있을때 케인즈는 고전학파와는 전혀 다른 다시 말해 고전학파의 이론과 완전히 상반되는 이론 체계를 정립함으로서 경제학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하지만 그 후에 현실 경제에 여러 가지 문제를 설명할 전혀 새로운 이론 체계는 아직까지 나오지 않고 있다.
※ 참고자료
♧ 人物經濟學史 / 朴長煥 著 / 法文社
♧ 경제학의 선구자들 / 일본경제신문사 엮음, 새길
♧ 經濟學說史 / 金光洙 著 / 구민사
♧ 경제학 입문 이상직외 2인 공저 학문사 1997
♧ 신경제사 김신웅외 3인 공저 도서출판 두남 1998
♧ 서양 경제사 강의 장상환 옮김 한울 1983
♧ 경제사상사 주명건 지음 박영사 1984
♧ 경제학사 주명건 박영사 1995
♧ 경제학과 경제사상 조영달 드림북스 1998
♧ 세계화와 현대경제』, 박광서·박유영·오성동·국승규·김형준 , 두남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11.22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25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