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직접투자사례분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외직접투자사례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M & A
1. M&A에 대한 이해
1) M&A형 해외직접투자의 발달원인
2) M&A의 의미
3) M&A의 주된 동기
2. M&A의 방법과 형태
1) M&A의 방법
2) M&A의 형태
(1) 거래형태에 따른 분류
(2) 결합형태별 분류
(3) 거래의사에 따른 분류
(4) 기업의 인수.합병목적과 동기에 따른 분류
(5) 결제수단에 따른 분류
(6) 결합주체에 따른 분류
3. M&A 진행절차와 수행단계
1) 사전 M&A
2) 협상계약단계
3) 사후 M&A
4. M&A의 기능과 장단점
1) M&A의 기능
2) M&A의 장단점
5. M&A에 대한 대책강구
6.. 적대적 M&A
1) 적대적 M&A의 역사
2) 적대적 M&A에 대한 견해의 대립
3) 적대적 M&A의 목적
4) 적대적 M&A의 방법
※ MBO에 의한 M&A
5) 적대적 M&A의 대응방안
6) SK사태를 통하여 본 적대적 M&A 진행상황 및 평가
. 지역별사례연구(단독투자와 합작투자를 중심으로...)
1. 단독투자
1) 단독투자의 정의
2) 단독투자의 장단점
2. 합작투자
1) 합작투자의 정의
2) 합작투자를 선호하는 이유
3) 합작투자의 장단점
3. 중국
1) 중국의 경제동향
(1) 고성장 지속여부
(2) 위앤화 환율
(3) 에너지 및 원자재 파동
(4) 섬유쿼터 폐지
(5) 한국과의 투자관계
사례
4. 아세안
1) 설립과 기능
2) 경제적 기능적 협력
3) 우리나라와의 투자관계
(1) 말레이시아
(2) 인도네시아
(3) 필리핀
(4) 태국
(5) 싱가포르
(6) 베트남
(7) 미얀마
사례
5. EU
1) 가입국가
2) 본부가 있는도시
3) 우리나라와의 관계
4) 경제활동 모습
사례
6. 미국
1) 미국 경제동향
2) 미국 무역동향
3) 미국의 경제 및 통상 현안
4) 한국의 대미 교역현황
5) 미국의 대한 투자현황
사례
7. 기타
사례
. 해외직접투자의 성공방안
(1) 기업이 위기에 빠지는 이유
1-1 한국기업들 왜 휘청거리나
1-2 위기에 빠지는 기업의 특징
1-3 우리기업들은 위기로부터 안전한가
1-4 위기 감지를 위한 조기경보 시스템 작동
(2) 해외진출 관련 주요 현안
(3) 해외진출 성공 방안
3-1 공격적 해외진출로 글로벌 기회를 선점
3-2 현지화 추진
3-3 글로벌 경쟁 우위 확보
3-4 본국, 본사 중심에서 탈피
3-5 글로벌 리더 확보 육성
(4) 사례분석

본문내용

학 등 주력사업 집중육성=SK㈜의 중국시장 중점 육성분야는 석유, 화학, 윤활유, 아스팔트로 집약된다. 석유사업은 화동·화북지역을 중심으로 도소매망 진출을 추진하고 화학사업 분야는 유통·판매까지 사업영역을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중국의 석유 및 화학제품에 대한 수요는 매년 급속 증가할 것으로 기대돼 SK㈜의 중국 내 매출도 급신장할 것으로 보인다.
SK㈜가 국내외 강점을 보이고 있는 윤활유 사업은 현지 생산체제를 갖추고 판매망을 전국적으로 확대하는 한편, 아스팔트 사업도 현지에서 R&D·생산·물류까지 포괄하는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아스팔트 제품도 SK㈜의 든든한 매출창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SK는 중국 수입 아스팔트 시장의 45%를 차지, 점유율 1위를 달리고 있다. 지난해에는 SK㈜의 대 중국 아스팔트 수출 실적(누적)이 500만t을 돌파하기도 했다. 특히 2008년 북경올림픽 특수를 톡톡히 볼 것으로 기대돼 사업 전망이 밝다.
이에 대비 SK㈜는 최근 중국 현지업체와 51대49의 지분율로 600만달러를 투자, 최대 3만t의 아스팔트를 저장하고 입·출하 할 수 있는 물류기지를 확보키로 했다. 이 기지는 중국 내 아스팔트 수요가 집중되고 있는 상하이, 쩌지앙성 주변에 위치, 향후 SK의 중국 아스팔트 사업 확대에 공헌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지난해 말 SK㈜는 중국 시노펙과 용제생산·마케팅공동법인을 설립키로 했다. 이 법인은 연간 6만t의 친환경 탈방향족 용제를 생산할 수 있는 설비로 상하이에 건설된다.
용제는 페인트 잉크, 세척제 등 각종 화학공정에 사용되는 물질로, 중국 전체 용제시장 규모는 연간 270만t 규모에 달하고 연평균 10∼15%씩 급성장하고 있는 매력적인 시장이다. SK㈜는 이 가운데 중고가 용제시장에 집중해 마케팅을 전개할 예정이다. 이 법인은 2006년 상반기부터 상업생산에 돌입한다.
성부총경리는 “SK는 한중수교 이전인 1991년부터 한국기업 최초로 북경 사무소를 개설하는 등 현지 경영 전략에 대한 노하우가 쌓여 있어 신사업 추진에 유리하다”면서 “고급 고가 제품을 중심으로 중국시장에 진출해 글로벌 SK 건설을 앞당길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10월 출범한 SK 중국투자유한공사는 오는 2010년 매출 5조원을 달성해 글로벌 에너지기업 도약을 위한 견인차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파이낸셜뉴스 2005. 03. 02 , 03. 22일자발췌-
[중국,고급·고가 시장을 공략하라]2010년 매출 5兆 ‘제2의 SK’ 심는다.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기업들은 매월 약 6 억 불에 달하는 막대한 금액을 중국에 투자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하지만 중국투자 성공 확률은 그다지 높지 않아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절반 이상이 중국 투자 후 4 년 이내에 철수하든가 청산절차를 밟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중국 투자에서 실패하지 않기 위해서는 우선 제품 자체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어야 하고 적절한 투자지역 선정 , 인맥관리 등 여러 가지 요건을 갖추어야 하지만 파트너 선정오류 , 법과 제도적 환경 미숙 , 외상거래로 인한 자금난 , 중국 업체의 추격 , 유통망 부재 등 곳곳에 도사리고 있는 함정을 피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KOTRA(www.kotra.or.kr) 는 중국 투자에 있어 그동안의 성공 · 실패 요인을 분석 , 중국에 투자하는 우리 기업이 알고 있어야 할 사항들을 ` 중국 투자 10 계명 \' 으로 정리하면서 국내 기업체의 중국진출에 있어서 주의점을 당부한 내용을 발체한 것이다.
① 충분한 사전 타당성 조사와 준비가 선행되어야 - 중국 지방정부나 파트너 말을 맹신하는 것은 위험
우선 중국의 투자 제한 · 장려 · 금지 · 우대 등의 범위를 확인하고 진출 목적 , 진출 형태 및 지역 , 판로 확보 등에 대한 타당성 여부를 조사해야 한다 . 중국 지방정부나 파트너 말을 맹신하는 것은 위험하므로 가능하면 투자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제반 환경과 시설을 점검하는 것이 좋다 . 아울러 최근 중국의 외자기업 유치 흐름을 파악하여 참고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
② 투자 형태 , 규모와 투자지 선정은 품목 , 판매 형태에 따라 고려해야
중국 현지 생산품을 내수 판매할지 혹은 수출할 것인지 투자 목적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필요하다 . 아울러 원부자재를 수급의 국내 조달 여부 및 물류비를 고려하여 입지 선정에 활용하는 것이 좋다 . 투자 규모는 여유 자금을 확보한 상황에서 무리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해야 투자 환경 변수에 대비할 수 있다 .
③ 중국 투자 관련법규를 숙지하고 개정 여부를 주시해야
중국 진출 외국기업의 가장 큰 애로사항은 중국의 복잡하고 불명확한 법규와 잦은 개정이다 . 게다가 중앙정부의 정책과 지방정부의 대책이 혼재되어 업체들에게 혼동을 야기하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주의가 요구된다 . 세무 · 회계 · 통관 · 노무 등 관련 법규를 숙지하고 수시로 개정 내용을 확인하자 .
④ 현지 파트너 선정에 주의를 기울여야
중국 현지 파트너와 제휴 시에는 동 기업의 경역방식 · 능력 · 평판 · 재무 · 영업 · 노무 상황을 분석하고 선정해야 하며 규모가 크다고 당연히 건실하다고 평가할 수 없으므로 세심한 분석을 요한다 . 아울러 일단 적절한 파트너가 선정되면 파트너의 경영자원 및 영업 네트워크를 충분히 활용도록 한다 .
⑤ 계약은 전략적인 마인드로 접근해야
합자 계약 시 계약서는 중문 및 한글로 작성하고 내용을 각각 한글 및 중문으로 번역하여 이중 체크하는 것이 좋다 . 기본 발생 비용 뿐 아니라 후방시설 증설에 따른 소요 비용 책임 등 세부 내용도 계약서에 명기하여 추후 발생할 수 있는 분쟁에 대비해야 한다 . 아울러 전문가의 자문과 검토 후 계약을 체결해야 함을 잊지 말자 .
⑥ 제품 품질 및 브랜드 인지도 제고로 현금 결제 유도
중국 내수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고도 현지의 외상거래 관행으로 경영상 문제를 겪거나 이른바 ` 흑자도산 \' 을 하는 업체가 많은 실정이다 . 제품의 품질 및 인지도를 향상시켜 현금 결제를 통한 전략적 내수 시장 진출을 고려하자 .
⑦ 준법 경영이
  • 가격4,000
  • 페이지수137페이지
  • 등록일2005.12.08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28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