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도분만 산부 간호
2.조기분만 임부 간호
3.조기파막 임부 간호
4.임신성 고혈압 임부 간호
5.전치태반 임부 간호
6.태반조기박리 임부 간호
7.제왕절개 산부 간호
8.산후출혈 산모 간호
9.임신중절 환자 간호
2.조기분만 임부 간호
3.조기파막 임부 간호
4.임신성 고혈압 임부 간호
5.전치태반 임부 간호
6.태반조기박리 임부 간호
7.제왕절개 산부 간호
8.산후출혈 산모 간호
9.임신중절 환자 간호
본문내용
궁의 과다 팽창(쌍태아, 양수과다증)
- 혈관 질환(본태성 고혈압, 당뇨병)
- 만성 신장 질환
*자간증 - 경련을 동반한 자간전증
- 분만전 50% 발생
- 분만시 25% 발생
- 산욕 48시간 이내 25% 발생
B. 만성 고혈압
임신전 혈압 140/90mmHg
임신 20주전 또는 분만후 지속적으로 혈압 140/90mmHg 유지
임신 20주 이후 진단검사
- funduscopic examination에서 출혈 보임
- plasma urea nitrogen; ≥20mg/dl
- plasma creatinine level; ≥1mg/dl
-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
C. 임신악화성 고혈압 - 임신 30주 전에 자간증으로 빠르게 진행
- 만성 고혈압의 과거력
- 혈압, 단백뇨, 부종 등의 증상 악화
D. 이행성 고혈압 - 분만시 또는 산욕 초기에 일시적으로 혈압 상승이 있으나 산후 10일내 정상으로 회복
3) 증상
(1) 자간전증
자간전증은 임신 20주 이후에 혈압상승, 단백뇨, 그리고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자간전증의 증상은 치료나 분만으로 없어질 수 있으나, 자간증의 증상은 계속 지속된다.
고혈압은 자간전증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증상으로 갑자기 혹은 점차적으로 발생한다.
건강한 임부는 임신 중기와 말기 초까지는 혈압이 감소된 상태이며, 그 이후에 점차로 증가한다. 고혈압이란 보통 혈압을 6시간 간격으로 두 번 측정하였을 때 평상시 혈압보다 수축기압이 30mmHg 이상, 이완기압이 15mmHg 이상 상승할 때 혹은 140/90mmHg 이상일 때를 말한다.
다음으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증상은 갑작스런 체중증가이며, 이는 조직내에 수분 축적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이러한 체중증가는 보이지 않는 곳에서의 부종으로부터 시작하여 얼굴이나 손가락 부종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적이다. 경한 자간전증에서 체중은 임신 2기까지는 한달에 1.5kg, 3기에는 일주일에 0.5kg 정도씩 증가하는 것이 정상이라고 할 수 있다.
단백뇨도 자간전증에서 많이 나타나는 증상중의 하나이다. 혈관경련이 진행되는 정도에 따라 단백뇨의 정도는 매우 다양하므로 한번의 소변검사로 진단하기 보다는 24시간 뇨수집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정확한 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경한 자간전증에서 뇨단백은 300mg/l
(1+dipstick)에서 1gm/l (2+)사이로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자연배뇨를 통하여 중간뇨를 수집하거나 단순도뇨를 이용한 소변검사에서 볼 수 있는 결과이다. 24시간 뇨 수집에서는 뇨단백이 5gm/l (3+) 정도까지 검출될 수 있다. 단백뇨는 고혈압이나 체중증가보다 늦게 나타나는 증상이므로 임신성 고혈압의 진행정도를 확인하는데 지표가 될 수 있다.
중증 자간전증일 경우는 신체 다른 기관에서도 다양한 증상을 보이므로
*다음과 같은 증상들이 발견되면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임부가 안정 상태에서 6시간 간격으로 최소한 두 번 이상 측정한 혈압이 160/110mmHg 이상
- 24시간 소변검사에서 단백뇨 5g/L 이상 혹은 최소 4시간 간격으로 두 번 이상 한 소변검사에서 3+ 이상
- 핍뇨(소변량 500ml 이하/24시간)
- 뇌 혹은 시각 장애
- 폐부종 혹은 청색증
- 심와부 혹은 우상복부 통증
- 간기능 손상
- 혈소판 감소증
- 태아 발육 지연
자간전증의 중요한 세 가지 증상인 고혈압, 체중증가, 그리고 단백뇨는 임부가 초기에는 인식하지 못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증상들이 실제적으로 나타나도 임부는 정상적인 변화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산전관리를 정기적으로 받아 이러한 증상들을 조기에 발견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통, 희미해진 시야, 눈꺼풀이나 손가락의 부종등과 같이 임부가 인식할 수 있는 증상이 나타나게 되면 이는 질병이 많이 진전된 상태이다. 그리고 질병의 심각성이 고혈압의 정도와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3+ 이상의 단백뇨와 경련을 가진 임부가 혈압은 단지 140/85mmHg일 수도 있으므로 전체적인 측면에서의 산전관리가 필요하다.
두통은 경한 증상이 있을 때도 드물게 나타나지만 대부분은 진전된 상황을 아려주며, 경련의 전구증상으로 심한 두통이 나타나기도 한다. 시력장애는 시야가 약간 흐려지는 것에서부터 일시적으로 실명하는 것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경한 자간전증의 경우는 경련이 거의 일어나지 않지만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심한 자간전증인 경우는 항상 경련의 위험을 가지고 있다.
(2) 자간증
자간증은 자간전증의 좀 더 심각한 형태이며, 발작과 경련을 동반한다. 경련은 중추신경계내의 신경세포에서 너무 많은 전기성 물질을 동시에 분비함으로서 초래된다. 이는 임신의 가장 커다란 합병증으로 전체 임부의 0.2% 정도에서 올 수 있으며, 14%의 모체 사망률과 14-27%의 주산기 사망률을 가지고 있다.
자간증은 항상 두통이 선행되며, 흥분이나 과민반응, 시야의 흐려짐이나 일시적인 실명과 같은 시각장애, 심와부 통증, 혈액농축등과 같은 증상을 나타낸다. 그러나 자간증의 심각성이 고혈압이나 단백뇨의 정도와 직접적으로 일치하지는 않는다. 심지어 자간증을 가지고 있는 임부중 20%는 혈압이 140/90mmHg 이하이고, 단백뇨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자간증은 예방 가능하며, 최근 점점 더 많은 여성들이 산전관리를 규칙적으로 받기 때문에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자간증에서 경련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예측되어지는 원인적 요인은 고혈압성 뇌질환, 혈관경련, 출혈, 허혈증, 그리고 뇌부종 등이 있다. 자간증은 갑자기 시작되고 60-75초간 지속된다.
자간증시 발생되는 경련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
① 침습기
경련이 시작되는 단계로, 임부는 안면 근육의 경련이 시작되며, 눈동자는 한 곳을 응시한 채 고정된다.
② 수축기
전신근육의 수축에 의한 경직이 나타나 얼굴은 뒤틀리고 안구가 돌출되며 충혈된다. 주먹은 꽉 움켜지게 되고 다리는 뒤틀려 신체의 모든 근육들이 강직성 수축상태가 된다(15-20초간 지속).
③ 경련기
턱이 갑자기 열렸다 닫혔다 하며 눈꺼풀도 같은 현상을 보인다. 또한 다른 안면 근육과
- 혈관 질환(본태성 고혈압, 당뇨병)
- 만성 신장 질환
*자간증 - 경련을 동반한 자간전증
- 분만전 50% 발생
- 분만시 25% 발생
- 산욕 48시간 이내 25% 발생
B. 만성 고혈압
임신전 혈압 140/90mmHg
임신 20주전 또는 분만후 지속적으로 혈압 140/90mmHg 유지
임신 20주 이후 진단검사
- funduscopic examination에서 출혈 보임
- plasma urea nitrogen; ≥20mg/dl
- plasma creatinine level; ≥1mg/dl
-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
C. 임신악화성 고혈압 - 임신 30주 전에 자간증으로 빠르게 진행
- 만성 고혈압의 과거력
- 혈압, 단백뇨, 부종 등의 증상 악화
D. 이행성 고혈압 - 분만시 또는 산욕 초기에 일시적으로 혈압 상승이 있으나 산후 10일내 정상으로 회복
3) 증상
(1) 자간전증
자간전증은 임신 20주 이후에 혈압상승, 단백뇨, 그리고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자간전증의 증상은 치료나 분만으로 없어질 수 있으나, 자간증의 증상은 계속 지속된다.
고혈압은 자간전증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증상으로 갑자기 혹은 점차적으로 발생한다.
건강한 임부는 임신 중기와 말기 초까지는 혈압이 감소된 상태이며, 그 이후에 점차로 증가한다. 고혈압이란 보통 혈압을 6시간 간격으로 두 번 측정하였을 때 평상시 혈압보다 수축기압이 30mmHg 이상, 이완기압이 15mmHg 이상 상승할 때 혹은 140/90mmHg 이상일 때를 말한다.
다음으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증상은 갑작스런 체중증가이며, 이는 조직내에 수분 축적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이러한 체중증가는 보이지 않는 곳에서의 부종으로부터 시작하여 얼굴이나 손가락 부종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적이다. 경한 자간전증에서 체중은 임신 2기까지는 한달에 1.5kg, 3기에는 일주일에 0.5kg 정도씩 증가하는 것이 정상이라고 할 수 있다.
단백뇨도 자간전증에서 많이 나타나는 증상중의 하나이다. 혈관경련이 진행되는 정도에 따라 단백뇨의 정도는 매우 다양하므로 한번의 소변검사로 진단하기 보다는 24시간 뇨수집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정확한 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경한 자간전증에서 뇨단백은 300mg/l
(1+dipstick)에서 1gm/l (2+)사이로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자연배뇨를 통하여 중간뇨를 수집하거나 단순도뇨를 이용한 소변검사에서 볼 수 있는 결과이다. 24시간 뇨 수집에서는 뇨단백이 5gm/l (3+) 정도까지 검출될 수 있다. 단백뇨는 고혈압이나 체중증가보다 늦게 나타나는 증상이므로 임신성 고혈압의 진행정도를 확인하는데 지표가 될 수 있다.
중증 자간전증일 경우는 신체 다른 기관에서도 다양한 증상을 보이므로
*다음과 같은 증상들이 발견되면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임부가 안정 상태에서 6시간 간격으로 최소한 두 번 이상 측정한 혈압이 160/110mmHg 이상
- 24시간 소변검사에서 단백뇨 5g/L 이상 혹은 최소 4시간 간격으로 두 번 이상 한 소변검사에서 3+ 이상
- 핍뇨(소변량 500ml 이하/24시간)
- 뇌 혹은 시각 장애
- 폐부종 혹은 청색증
- 심와부 혹은 우상복부 통증
- 간기능 손상
- 혈소판 감소증
- 태아 발육 지연
자간전증의 중요한 세 가지 증상인 고혈압, 체중증가, 그리고 단백뇨는 임부가 초기에는 인식하지 못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증상들이 실제적으로 나타나도 임부는 정상적인 변화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산전관리를 정기적으로 받아 이러한 증상들을 조기에 발견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통, 희미해진 시야, 눈꺼풀이나 손가락의 부종등과 같이 임부가 인식할 수 있는 증상이 나타나게 되면 이는 질병이 많이 진전된 상태이다. 그리고 질병의 심각성이 고혈압의 정도와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3+ 이상의 단백뇨와 경련을 가진 임부가 혈압은 단지 140/85mmHg일 수도 있으므로 전체적인 측면에서의 산전관리가 필요하다.
두통은 경한 증상이 있을 때도 드물게 나타나지만 대부분은 진전된 상황을 아려주며, 경련의 전구증상으로 심한 두통이 나타나기도 한다. 시력장애는 시야가 약간 흐려지는 것에서부터 일시적으로 실명하는 것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경한 자간전증의 경우는 경련이 거의 일어나지 않지만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심한 자간전증인 경우는 항상 경련의 위험을 가지고 있다.
(2) 자간증
자간증은 자간전증의 좀 더 심각한 형태이며, 발작과 경련을 동반한다. 경련은 중추신경계내의 신경세포에서 너무 많은 전기성 물질을 동시에 분비함으로서 초래된다. 이는 임신의 가장 커다란 합병증으로 전체 임부의 0.2% 정도에서 올 수 있으며, 14%의 모체 사망률과 14-27%의 주산기 사망률을 가지고 있다.
자간증은 항상 두통이 선행되며, 흥분이나 과민반응, 시야의 흐려짐이나 일시적인 실명과 같은 시각장애, 심와부 통증, 혈액농축등과 같은 증상을 나타낸다. 그러나 자간증의 심각성이 고혈압이나 단백뇨의 정도와 직접적으로 일치하지는 않는다. 심지어 자간증을 가지고 있는 임부중 20%는 혈압이 140/90mmHg 이하이고, 단백뇨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자간증은 예방 가능하며, 최근 점점 더 많은 여성들이 산전관리를 규칙적으로 받기 때문에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자간증에서 경련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예측되어지는 원인적 요인은 고혈압성 뇌질환, 혈관경련, 출혈, 허혈증, 그리고 뇌부종 등이 있다. 자간증은 갑자기 시작되고 60-75초간 지속된다.
자간증시 발생되는 경련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
① 침습기
경련이 시작되는 단계로, 임부는 안면 근육의 경련이 시작되며, 눈동자는 한 곳을 응시한 채 고정된다.
② 수축기
전신근육의 수축에 의한 경직이 나타나 얼굴은 뒤틀리고 안구가 돌출되며 충혈된다. 주먹은 꽉 움켜지게 되고 다리는 뒤틀려 신체의 모든 근육들이 강직성 수축상태가 된다(15-20초간 지속).
③ 경련기
턱이 갑자기 열렸다 닫혔다 하며 눈꺼풀도 같은 현상을 보인다. 또한 다른 안면 근육과
추천자료
[자연과학] 제왕절개 case
산욕부 간호(산욕기, 제왕절개후, 정상분만후, 모유수유)
제왕절개산모간호
간호학과> 아두골반불균형-제왕절개 케이스스터디 (여성실습)
제왕절개술 환자의 사정, 간호진단, 목표, 간호중재, 평가
[간호학]C-Sec(제왕절개술)
제왕절개(Cesarean Delivery)환자의 수술 전. 후간호
제왕절개 케이스(간호사례)
[간호학]여성간호학-제왕절개
산욕case study - Cesarean Delivery 제왕절개분만
모성간호학 제왕절개C-sec산과병동 케이스
제왕절개 간호진단
cesarean section 제왕절개술 - 정리, 정의, 구조, 기능, 종류, 수술
모성 cesarean section 제왕절개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