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경 디즈니랜드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경 디즈니랜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 테마파크

본론
1. 월트 디즈니
2. 디즈니사의 해외진출
3. 동경디즈니 랜드
4. 동경디즈니랜드 vs 유로디즈니랜드
5. 동경디즈니랜드 성공철학

결론
1. 동경디즈니랜드 문제점&해결방안
2. 서울디즈니랜드

본문내용

뷰에서 그는 이런 말을 했다. \"철저한 비일상적 공간의 창출\"
“꿈의 공간, 마술의 공간, 환상의 공간”인 디즈니랜드에는 절대 없는 것이 두 가지가 있다. 그건 바로 공원내 안내방송과 자판기이다. \"비일상적 공간 창출\"에 저해 되는 요소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디즈니랜드안에서는 사방어디든 도시라는 공간을 느끼지 못하게 나무로 둘러싼 것도 같은 이유에서라고 한다.
리피터율(한 번 온 사람이 다시 찾아오는 %)97%라는 믿기 어려운 수치도 그 이유를 증명하는 듯하다. 일본인 입장객의 40%이상이 5번째 이상 왔다고 대답한 것도 역시 대단하다.
예전에 한번 방송국에서 이러한 실험을 했다. .디즈니랜드의 공원 내에서 몰래 쓰레기를 버린 다음. 그 쓰레기를 몇 초 만에 치우는지에 대한 실험이었다. 물론 디즈니랜드관계자는 아무도 모르고 있었고. 몰래카메라와 스텝이 준비되었다. 어떠한 신호도 없이. 쓰레기를 버려졌고. 초침이 움직였다. 과연 떨어진 쓰레기는 평균 약 7초 만에 없어졌다고 한다.
이러한 철저한 공간창출의 노력이 결국 디즈니랜드를 세계최고의 관객 수 입장기록, 수익기록을 세우는 비결의 밑바탕이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도쿄디즈니랜드의 근무자(디즈니랜드의 고유의 표현 \"캬스토\")에게 금지된 사항이 있다. [쟈빠츠](머리염색)과 짙은 눈 화장인데 순수함과 깨끗함으로 입장객을 맞이하기 위해서이다.
▶ TDL의 집객 전략
① 테마의 매력
② 영원히 완성하지 않는 테마 파크라는 주장 하에 끊임없는 개발과 투자
③ Guest Realation이라고 불리는 Hospitality
④ 이벤트 쇼의 연결되는 캐릭터 상품의 매력
⑤ 유원지 식당은 맛없다는 인식을 회복시킨 풍부한 고급 메뉴
⑥ Guest를 향한 질 높은 서비스
▶ TDL의 연출 마케팅
① 30억엔을 들여 기획제작한 야간 퍼레이드『디즈니 환티루젼』
시기 : 95년7월 개시
목적 : 10년간 계속 실시한 『TDL엘렉트로니컬 퍼레이드』를 전면적으로 쇄신하고 새로운 화제를 일으키면서 집객력을 높이기 위해
컨셉 : 『TDL엘렉트로니컬 퍼레이드』와 같은 빛을 사용한 환상의 세계 연출
스토리 : 야간실시 퍼레이드, 빛이나 광섬유로 장치한 배자동차와 캐릭터, 댄서가 전면 500m에 걸쳐 춤을 춰가며 전개하는 퍼레이드
『미키와 꽃의 요정들』 『디즈니의 악한들』『왕자와 공주 』3테마로 구성
<디즈니 환타루전 제작 메모>
이『디즈니 환티루젼』이라고하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위해, 세계 4곳의 디즈니 테마삔의 스텝이모여, 컨셉단계로부터 스토리의 제작에 참여하였다. 처음 기획이 나온것은 1993년 초두였으나 완성에 이르기까지 실로 2년이상의 세월을 요했다고 했다.
큰 특징으로서는 퍼레이드만이 아니라, 도중에 정지해서 쇼를 행하는 것, 플로트등 엔터테인먼트들의 모습이나 빛, 색깔이 관람객의 눈앞에서 변한다고 하는 것, 전체의 스토리가 크게 3단락으로 나눠어진다는 것이었다. 각각의 단락은 차별화된 비쥬얼, 스토리, 음악으로 구서되면서 전체를 통해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었다.
퍼레이드를 통해 흐르는 테마곡과 각 플로트로부터의 음악을 동조시키면서 디지털 오디오를 사용해 음악과 조명, 에니멘이션을 동조시키는 것을 연결성이 되도록 했다.
『디즈니 환티루젼』은 지금까지 세계의 디즈니 테마 파크에 있어 행해져온 각각의 엔터테인먼트에 더해진 기술력과 새롭게 도입된 광섬유, 빛을 발하는 진공관 다이오드등의 기술에 의해 창조성있는 표현과 더욱 뛰어난 엔터테인먼트로써 완성된 것이다.
음악은 빛을 발하는 플로트, 커스텀, 엔터테이너들을 돋보이게 하는데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했다.
퍼레이드 전체를 동해 흐르는 테마곡으로 플로트로부터 흐르는 각각의 연합에 맞춰 편곡시킨 테마곡이나 디즈니 음악이 동조해 조화한 단락이 없이 흐르는 퍼레이드 음악을 관람객은 체험할 수 있다. 디즈니 캐릭터가 등장하는 쇼안에서는 같은 디즈니 음악의 변화로 그 이미지를 표현 시켰다.
퍼레이드 전체의 음악에는 일부 신디사이저를 이용하였지만, 대부분은 오케스트라 음악이 사용되었다. 그 이유로써 작곡가의 부르스히리는 『오케스트라 음악의 보다 자연에 가깝게 보다 순수한 스타일은, 디즈니 음악의 대부분을 공통으로하나 자신도 그음악이 몇 년을 지나도 오래됐다고 느끼지 않은 이유가 바로 그것이라고 믿는다』고 하였다. 클래식을 기초로한 이 음악은 작곡 개시로부터 음악 편집의 완료까지 약 8개월을 요했다.

퍼레이드의 무드와 쇼의 무드, 한 순간에 변화하는 의상의 색! 이 쇼 Concept을 목표로 완전히 새로운 의상 제작이 시작되었다.
제작은 소재를 찾기 시작해 각각 연구개발의 성과를 올리면서 쇼의 컨셉, 연출, 음악, 안무에 배려한 작업은 의상 디자인의 초기 컨셉단계로부터 실물의 완성까지 18개월의 시간을 요했다.
의상에 사용된 소재는 약 290 종류로 그 의상의 10종류의 빛이 사용되었다. 막크람으로 조직된 광섬류는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으로 최초의 퍼레이드 단락에 있어서도, 꽃이나 나비, 잠자리, 벌레등의 의상에 사용되었다. 아트 분야에서도 단면의 빛 만을 이용해온 광섬유를, 그 매듭이 빛이라고하는 성질을 활용해 , 연결하는것에 의해, 꽃잎이나 벌레들의 날개등 레이스와 같은 섬세한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표현했다. 또 미키는 모자는 투명튜브에 주입된 액체가 빛을 전송하는 발광광법을 취해 미키가 7가지색을 자유롭게 구사하여 각각의 연출이 가능하게 되었다.
② 최초로 유아를 타겟으로 한 테마 랜드 『Toon Town』
시설 : 96년 4월 16일 Open
컨셉 : 디즈니 만화 주인공들이 모여 사는 거리
구성 : 미키 에비뉴 - 미키미니의 집 구피도드의 집
다운타운 툰타운 - 판매시설과 로져레빗의 카타운
스퀘아 - 레스 토랑으로 구성
“Toon Town\"에는 신장 제한이 없다. 오히려 성인의 입장을 제한하는 Town피크가 있고, 거리의 광장에 위치한 조각상들은 어린이들이 마음껏 오르며 즐길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만일 어린이들이 떨어지더라도 상처입지 않도록 지면에 부드러운 소재를 사용하는 기술을 도입했다.
③세계 최초의 대 해프닉 미크로 어드벤쳐
시설 : 87년 3월에 Open한 『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5.11.27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30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