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문화제를다녀와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라문화제를다녀와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 론

II. 본 론
1. 제 33회 신라문화제 소개
1). 개최현황
2). 목적
3). 발전 연혁
2. 신라문화제의 잘된점
1). 참여축제
2). 전역축제
3). 다양한 분야의 행사
4). 불교 역사를 보여준 축제
5). 청소년 참여
6). 차량 진입의 제한
3. 신라 문화제의 문제점
1). 외국인 관광객의 배려 부족
2). 부족한 안내시설
3). 편의 시설의 부족
4). 두서없는 부스의 배치
5). 지나친 상업성
4. 신라문화제의 문제점 해결방안
1). 외국어로 구성된 안내책자
2). 안내소와 안내자 배치
3). 주제성 있는 부스의 배치
5. 신라문화제 및 지역 축제의 활성화 방안
1). 축제기획 및 평가의 과학적 기법 도입
2). 외국인관광객 친절안내와 신변보호를 위한 제도 도입
3). 체험관광 프로그램 개발
4). 재원조달 확보 방안 및 수익성 확보
5).관광상품화
6). 홍보마케팅의 단계별 전략

III. 결 론

본문내용

제지만 아직 한번도 참여 해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포항에서 출발한후 경주에 도착하여 일행과 함께 자전거를 대여 하여 경주를 돌아 보기로 하였다.다른 여느 축제와는 조금 다르게 경주 “신라문화제”는 경주 시내 전역에서 행해지는 행사 이기 때문에 곳곳을 돌아 보아야 했고, 경주는 우리나라 처음 2대 관광 단지 조성에서 중문 관광단지 개발과 함께 보문 관광단지를 개발 하며 자전거 도로가 잘 되어 있기 때문이다. 가을 바람을 맞으며 자전거로 돌아보는 여정은 레포트나 공부를 위해서 라기 보다 일종의 피크닉에 가까운 시간이었다. 행사의 기간은 3일 이었고, 가까운 거리였기 때문에 우리 일행은 축제가 시작하는 7일과 마지막날인 10일 이렇게 이틀동안 경주 답사를 할 수 있었다.
경주는 신라천년의 찬란한 문화와 역사가 살아 숨쉬는 천년고도로서 고대 전 아시아 대륙의 다양한 문화를 독창적으로 수용하고 창조한 세계문화유산의 도시이자 인구 30만의 역사도시이다. “지붕 없는 박물관”이라 불릴 만큼 도시 곳곳에서 고분 및 유적을 감상할 수 있는 것은 경주에서만 누릴 수 있는 특권이라 할 수 있다.지금도 발굴이 진행중인 많은 수의 소중한 유적은 한국민족문화의 원류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그 중에서도 금관총과 천마총의 출토품은 세계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각지에 세워져 있는 사원과 불상, 신라의 역사와 불교정신이 예술의 극치를 이루어 그 자체가 문화재인 남산, 조선시대 유교문화의 전통이 그대로 이어져온 양동민속마을 등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문화유산은 매년 방문하는 800~900만 국내외 관광객의 눈길을 잡기에 충분하다. 신라 천년의 고도와 화랑 정신을 보유하고 있는 경주는 우리 나라에서 으뜸가는 관광도시이다. 또한 경주에는 많은 문화유산뿐만 아니라 매년 열리는 수많은 축제로 사람들의 눈길을 받고 있다. 그래서 나는 올해로 33회를 맞이하는 10월 7일 ~ 9일 까지 3일간 개최한 제 33회 신라문화제를 다녀왔다.
II. 본 론
1. 제 33회 신라문화제 소개
1). 개최현황
-행 사 명 : 제 32회 신라 문화제 32nd Silla Cultural Festibal
-행사기간 : 2001/10/08 ~ 2001/10/10(3일간)
-행사장소 : 경북 경주시 황성공원, 경주시 일원
-주 최 : 경주시
-주 관 : 신라문화선양회, 경주문화원, 예총경주지부
-후 원 : 문화관광부, 경상북도, 경상북도교육청, 경주경찰서, 불국사
-행사종목 : 제전행사 - 사벌향연, 노동노서고분고유제
민속경연행사 - 화랑씨름대회, 신라검법경연대회
예술행사 - 전국국악대제전, 신라미술대전, 한글백일장, 한시백일장, 사 생대회 사진공모전,
불교행사 - 신라불교영산대재, 원효예술제, 전국불교음악제
학술행사 - 문화재 해설의 밤, 신라문화제 학술발표회
전시행사 - 국화 전시회, 찾아가는 박물관
경축공연행사 - 민속줄타기공연, 신라복패션쇼,. 연극 “아비” 현대와 전통의 만남
총 7개부문 21개종목
2). 목적
-찬란했던 신라문화의 재현으로 민족문화의 전승, 보전과 문화 도민의 자긍심 고 취.
-행사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여 신라문화 선양과 세계적인 문화관광도시 육성 및 문화경북 이미지 제고.
3). 발전 연혁
1962. 4. 신라문화제 행사 운영제도 제정 - 신라문화제 경주시준비위원회 구성
1976. 12. 신라문화선양회 운영기금 확보 - 불국사 입장료의 6%, 직영 입장료의12%
1983. 4 도 종합예술제 대표적 행사로 운영(문화공보부)
1984. 7 신라문화제 격년제 운영 결정 - 동일내용의 행사 매년 개최 시
재원확보 애로
1992. 1 신라문화제 행사 주최 변경(경주시 ⇒ 경상북도)
1997. 3 불국사 선양회비 부담변경 - 불교관련 11개 행사 직접 지원
1998. 8 신라문화제 매년 개최 결정 - 경주세계문화엑스포와 연계 개최
- 문화엑스포 개최 연도는 축소, 비 개최 연도 는 전 종목 개최
2000. 11 신라문화제 개최 방법 개선 - 문화엑스포를 3년마다 개최하기로 변경결 정
- 문화엑스포 개최 년도는 축소개최
- 비 개최 1차 년도 전 종목 개최(체육대회 축소개최)
- 비 개최 2차 년도 축소개최(체육대회 전 종목개최)
로 문화와 체육의 조화 유도
2. 신라문화제의 잘된점
1). 참여축제
보통 축제라 하면 사람들이 참여하고 즐기는 것이 축제이다. 하지만 보통 축제에는 보통 참여하기 보다는 관람하는 식의 축제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신라문화제에는 관람하기보다는 시민들이 직접 참여할수 있는 행사들로 가득차 있었다. 먼저 줄다리기, 그네타기, 궁도등 일상 생활에서는 흔히 할 수 없는 우리나라의 옛 놀이들을 시민들로 하여금 해 볼 수 있게 하였고, 한글백일장, 한시백일장, 사진공모전, 그림 그리기 등 일반 사람들이 자신의 관심분야에 참여하여 스스로의 솜씨를 발휘할 수 있는 기회도 마련되어 있었다. 마지막날에는 시민노래자랑을 열어 시민들이 직접 무대에 올라 노래를 부르는 행사도 마련되었다.
또한 개막식전후에하는 퍼포먼스등에 경주시 학생들과 시민들이 오랜 연습기간을 가지고 직접 참여하여 전문가 못지 않은 훌륭한 공연을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경주시가 마련한 행사에는 많은 시민들이 참여하고 있었고, 시민운동장옆에 마련된 전시부스에는 시민들의 발걸음이 끝이질 않았다.
2). 전역축제
신라문화제는 다른 지역축제와 달리 특정 장소에서만 행사를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경주시전체에서 여러 행사를 마련하고 있었다. 황성공원 일대가 주된 축제 장소였지만, 길놀이와 전국 사진 공모전등은 경주시내에서 열리고 있었고, 전국국악대제전과 신라미술대전은 서라벌 문화회관, 한글 백일장은 반월성, 한시 백일장은 경주 향교, 불교행사는 불국사 경내와 분황사 등 경주시 전체에서 행사가 열리고 있었다. 경주시에는 많은 볼거리가 많다. 이렇게 행사를 특정 장소 한곳에서만 하지 않고 여러 곳에서 개최함으로써 타 지역인이나 외국인들은 행사가 열리는 곳의 주변 관광지 및 문화재를 관람할 수 있는 이중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신라문화제 관람목적이 아닌 다른 이유로 경주를 방문 했더 라도 경주를 지나치면서 신라문화제를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5.11.28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32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