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청소년의 인격 발달
1. 자아개념과 신체발달
1) 청소년의 자아개념
2) 자아개념과 신체상
3) 자아개념과 자존감
2. 정체감 형성 대 정체감 혼동
1) 정체감의 의미와 요소
2) 청소년기의 특성과 정체감 확립
3) 청소년기의 자아정체감 대 정체감 혼란
1. 자아개념과 신체발달
1) 청소년의 자아개념
2) 자아개념과 신체상
3) 자아개념과 자존감
2. 정체감 형성 대 정체감 혼동
1) 정체감의 의미와 요소
2) 청소년기의 특성과 정체감 확립
3) 청소년기의 자아정체감 대 정체감 혼란
본문내용
대조적으로 자아정체감의 위기를 성공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면 그는 자의식을 느끼고 자신이 한 인간이라는 점과 인생에서의 자신의 역할에 대해 의문과 혼란을 갖는다. 정체감의 혼란이 일어나면 그는 무력감과 불안정 및 환멸과 소외감을 느낀다. 그는 자신이 스스로에 대한 통제력을 잃었다고 느끼고 뭔가를 하고 싶지만 시작할 수가 없고, 결정을 주저하게 되며, 그러면서도 욕구충족을 지연시킬 수는 없기에 뻔뻔스럽고 건방지게 보이기도 하는 등 심리적으로나 정서적으로 고통스러운 시간을 가지게 된다.
그 결과 자신이 동일시해 왔던 부모의 모습을 완전히 거부하거나 비판적인 태도를 가지게 되기도 하는 반면 자신이 좋아하게 된 사람과 과잉동일시하게 되기도 한다. 그는 성인기에 들어감으로써 자신의 유일성을 잃어버릴 것이라고 두려워한 나머지 성인의 행동을 피해버리기도 한다. 정체감 혼란의 실제적인 위험은 젊은이가 자신의 정체감에 대해 부정적인 결론을 내렸을 때 크게 나타난다. 그와 같은 경우 패배감을 느끼며 자기를 상실하거나 지나치게 억압하기도 하며, 가출, 무단결석 등과 같은 비행 및 반사회적 행동을 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김소야자(2004). 청소년의 성장발달과 간호. 수문사.
그 결과 자신이 동일시해 왔던 부모의 모습을 완전히 거부하거나 비판적인 태도를 가지게 되기도 하는 반면 자신이 좋아하게 된 사람과 과잉동일시하게 되기도 한다. 그는 성인기에 들어감으로써 자신의 유일성을 잃어버릴 것이라고 두려워한 나머지 성인의 행동을 피해버리기도 한다. 정체감 혼란의 실제적인 위험은 젊은이가 자신의 정체감에 대해 부정적인 결론을 내렸을 때 크게 나타난다. 그와 같은 경우 패배감을 느끼며 자기를 상실하거나 지나치게 억압하기도 하며, 가출, 무단결석 등과 같은 비행 및 반사회적 행동을 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김소야자(2004). 청소년의 성장발달과 간호. 수문사.
추천자료
청소년의 자아정체성
[아동발달][아동신체발달][아동성격발달][아동발달이론][청소년발달][청년기 자아정체감 확립...
[자아정체감][자아정체성][자아정체감확립프로그램]자아정체감(자아정체성)의 정의, 청소년기...
청소년 사이버 공동체와 자아 정체성에 관한 연구
자신의 청소년기를 생각하면서 자아정체감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갈등적이고 힘든 부분과 어려...
[청소년기][청소년][자아발달][사회적 특성][2차성징]청소년기(청소년)의 자아발달, 청소년기...
[청소년 문제][비행 및 일탈 & 자아정체감 및 가치관 문제]
자아정체감 - 청소년심리2공통) 자아정체감이란 무엇이며, 왜 청소년기에 자아정체감의 형성...
청소년기 발달단계에 따른 자아 중심성에 관한 특정사례의 문제점과 해결방안